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점 없는 상호작용’

        예성호(Rui, Sheng Hao)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6 중국과 중국학 Vol.- No.29

        한중 양국 정부기관 및 기업들은 상호 적극적 협력 의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교류를 진행하고 있지만 실질적, 지속적인 협력이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중 비즈니스 교류의 특징을 양국 간 상호대화가 한 점에서 수렴하기 위한 ‘포컬 포인트’ 부재로 발생하는 ‘초점 없는 상호작용’으로 개념화하고 그 원인을 한중 문화 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실증 분석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 양국의 행위자의 상호작용을 관계와 내용 차원으로 개념화한 ‘관계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용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한중 간 비즈니스 교류가 진행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진행했고,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위해 한국 정부, 유관 기관, 경제단체들의 대중국 인식 및 대응 전략에 관한 자료, 신문기사, 논문 등 기존 문헌에 대한 문헌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초점 없는 상호작용’은 불확실성에 대한 한중 양국의 상반된 인식과 그 대응전략의 차이에 인한 것으로, 이는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라는 문화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강한 한국은 ‘정보 차원의 대화’를 통해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려 하고, 회피 성향이 약한 중국은 ‘관계 차원의 대화’를 통해 불확실성을 흡수하려고 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는 한국의 ‘정책 분석’과 중국의 ‘정책 실험’, 한국의 시장 내지위 정보와 MOU를 통한 ‘제도 의존적 신뢰’형성과 중국의 ‘다리 놓기’ 전략을 통한 ‘과정 지향적 신뢰’형성이라는 상반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There has not been effective and continuous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 institutions and other enterprises, through various kinds of mutual collaboration though. This investigation names this features ‘Unfocused Interaction’ which comes from being without focal point for gathering communications between each country, and finds out its causes from cultural gap between each country. As a tool for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applies relational communication theory which is conceptualized by relationship dimension and content dimension from both countries’ actors. To look into further and actually,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for business communication from Korean SMEs’ entering Chinese market and condu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t also carried out document analysis previous information such as published materials, newspapers and journals regarding recognition and strategy against Chinese domestic market faced to Korean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s and economic groups. It concluded ‘Unfocused Interaction’ coming out from each country’s opposite awareness and dealing strategy against uncertainty, which comes from cultural difference when coping wit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Korean has strong tendency and it tries to decrease this with content dimension of dialogue while Chinese absorbs this uncertainty with relationship dimension of dialogue. This shows out conflicting formations between both countries e.g. policy analysis (Korea) vs. policy experiment(China), Institutional-based Trust through status signals in Korean market vs. Process-based Trust through building a bridge strategy(China).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여성의 배우자관 ― 여성지 『연변여성』의 「오작교」란을 중심으로

        방미화 ( Fang Meihua ),예성호 ( Rui Shenghao ),김흠 ( Jin Xin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2

        본 논문에서는 『연변여성』의 「오작교」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여성들의 전통적인 성별분업 지향의 ‘역행’현상에 고찰하였다. 1960~1970년대 조선족 여성들이 선호하는 배우자 직업은 노동자, 군인 등이었으나, 개혁개방 이후인 1980~1990년대에는 공무원, 사업가 등으로 변화되었으며, 사업이 있는 남자, 사업심이 강한 남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이러한 배우자 선택관의 변화는 국가의 경제체제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체제 하의 여성들의 취직난, 경제체제 변화에 부응한 남성들의 창업, 나아가 1980~1990년대 조선족 여성들의 이중적인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식변화 등 요소들이 맞물려 여성들은 사업이 있거나 사업심이 강한 남자를 선호하면서 자신들의 가정 내에서의 역할을 더욱 강조하는 전통적인 성별분업을 지향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하지만 개혁개방을 맞이하며 여성들이 사업심이 강하고 사업이 있는 배우자를 선호한 것은 결코 혼인에서의 자유를 포기하고 전적으로 남성에 의탁하여 살아가겠다는 것이 아니라 소비사회에 진입하면서 여성들이 더욱 풍요로운 삶을 위해 부의 축적을 욕망하는 등의 시대적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존 성 역할의 강화 내지 지속은 조선족 여성들이 젠더 정체성 수행이라는 입장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면서 기존의 가부장적 문화는 단번에 해체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수행하는 주체들의 행위에 의해 지속, 해체, 생성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변화되는 것이다. This paper uses text mining methods to analyze Yanbian Women’s < Ojakgyo >. It also investigates the “retrograde” phenomenon of Korean women’s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after reform and liberalization. During the 1960s and 1970s, Korean women chose to marry workers and soldiers. However, starting in the 1980s, more women became civil servants and entrepreneurs and preferred men with stable careers and, presumably, with greater ambitions. This change of mate selection coincided with national economic changes. After the reform,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acquire desirable employment, and men’s entrepreneurship became a new systemic way to adapt to market changes. In particular, between the 1980s and 1900s, Korean women faced a double burden of finding a job and adjusting to the rise in male-centered entrepreneurism. They had to deal with a new social consciousness that expected them to seek ambitious men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divisions of labor and fulfilling their familial responsibilities. However, women did not simply forego all independence and rely on men to live; women became important actors in consumer society.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living richer lives became crucial values for them. Such pursuits became the rising raison d’etre of the times. Yet, gender roles remained cemented in tradition and Korean womens’ belief that spousal responsibilities reaffirmed their Korean identity. Despite today’s turn toward a new, more liberal era, parental culture, while influenced considerably, remains a persistent phenomenon that maintains much of its earlier forms but with minor adjustments to account for systemic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