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염지혜(Yeom, Ji-Hye),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가로가 활성화되기 시작하면, 음식점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활성화된 가로인 삼청동길의 음식점 변화와 활성화와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신문을 통한 언급빈도분석을 기준으로 활성화 단계를 구분하였으며, 활성화 단계를 음식점변화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음식점 변화를 통해 구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해 본 결과, 첫째, 가로가 활성화될수록 음식점의 수가 증가하며, 특히 본격적으로 상업화가 진행될수록 카페의 수가 다른 음식점의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향후 상업가로활성화를 분석하는 표본으로 음식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상업가로를 구성할 때, 음식업종의 종류가 활성화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각 구간별로 주요시설의 입지 등에 따라서 구간별 특성이 상이했으며, 그에 따라서 음식점의 종류와 수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지에 특성에 따라서 상업가로 관리계획을 마련해야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ized streets and the changes in the restaurants of Samcheongdong-gil, one of the famous revitalized streets in Seoul.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hen the street gets revitalized, the biggest influence can be measured related to its restaurants. The stages of revitalization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frequency of relate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revitalization stages and changes in restaurants was mad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ection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street gets revitalized, the number of restaurants increases. The number of cafes, especially, increased more as compared to other types of restaurants when the street came under commercialization. The restaurants could be used as a standard to analyze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ized streets in the future. It can also be interpreted that when the commercialized street is being constru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industry influence its vitalization. Secondly, each section of the street ha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relative to the store being located as its major facility. Depending on this aspect, the number and the type of restaurants located varied.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hen coming up with management plans for the streets.

      • KCI등재

        노인 가구의 변화와 돌봄 서비스

        염지혜 ( Jihye Yeom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9 장기요양연구 Vol.7 No.1

        노인 1인 가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노인 돌봄에 대한 수요와 형태의 변화를 낳을 것이다. 기존의 돌봄 체계로는 증가하는 노인 1인 가구의 돌봄 필요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변화하는 인구구조,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 다양한 돌봄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돌봄 체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가족가치관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가구변화 중 65세 이상 노년층의 1인 가구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추계하고 현재의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며 이를 배경으로 노인 돌봄이 미래에 어떠한 형태로 나아갈 것인지에 대하여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후 2045년에 공식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 1인 가구 수는 1,245천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들의 상황을 세심히 고려하여 돌봄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성별 중 남성 노인에 대한 돌봄 서비스가 정서적, 신체적 특성에 따라 고려되어야 하며, 무연고 노인 1인 가구의 경우는 집중 돌봄이 필요하다. 성별과 관계 없이 무연고 노인일 경우 남녀 모두에게서 우울감이 높고 고독사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전담 돌보미가 필요하다 하겠다.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돌봄 서비스는 도농별로 상이한 접근이 필요한데 어느 곳에 거주하고 있든 노인 1인 가구를 위해서 꼭 필요한 서비스가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 한 24시간 대응 시스템이라고 하겠다. 이동 서비스의 경우 도시와 농산어촌의 지리적 특색에 따라 서비스가 특화되어야 하는데, 도시의 경우 공식적 돌봄이 필요한 취약집단, 위기집단, 관심필요집단에 대해 긴급히 이동 서비스가 필요할 때 지역의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여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 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노인 1인 가구의 증가 및 특성에 따라 이들에 대한 돌봄 서비스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It should be happened that the increase of household living alone among older adults challenges to long-term care policy in near future of Korea. Given the 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ow many changes there will be in the number of household living alone among older adults and to suggest how to approach in meeting the needs of long-term care service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future long-term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terms of gender and residential area. Particularly, older men should be regarded in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lso, older adults living along without family member should be taken care of by long-term care services intensively. Also,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s needed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because it responds for 24 hours. Further, the volunteers living in city or rural areas could be resources for emergency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고찰

        염지혜(Yeom Ji-Hye),이숙향(Lee Suk-H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국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의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방법 및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외 통합교육 연구 총 51편을 선정하고 연구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6가지 연구 주제로 분류하였다: (1)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실태 및 연구동향, (2)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비장애또래의 인식, (3) 통합교육환경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증진, (4) 통합교육환경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5)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수업참여행동 및 학업성취) 증진, (6) 기타(2가지 이상 주제 중복). 각 연구 주제별로 발표연도와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분석대상 논문 중 실험연구 20편을 대상으로 실험대상, 실험설계, 실험중재자,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의 각 요인별로 세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국외의 최근 연구들은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증진, 문제행동 감소,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 20편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사용한 중재방법에는 자기점검, 삽입교수, 교수적 수정, 또래 지원 및 협력적 팀이 포함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 적용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위한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 with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m by analyzing precedential abroad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Of relevant articles published abroad from 2000 to 2016, a total of 51 articles were identified using specific criteria, and were categorized into six research themes as follows: (1) current situations and research trends, (2) percep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3)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and skills, (4) reducing problem behaviors, (5)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6) others including more than two theme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by year, of each research theme and conducted analyses per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In addition, 20 experimental research them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factor: experimental subject, experimental design, intervener,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studies abroad mainly focused on improving social intervention and skills, reducing problem behaviors, and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veral interventions were frequently used for the students including self-monitoring, peer support, curriculum modification and team teach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교의 영향:

        염지혜(Yeom Ji Hy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종교유형과 각 종교집단별 모임 참석 빈도가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우울이 두 변인들 간에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에 실시된 제 4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를 활용했으며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생존패널 중 65세 이상 노인 4,015명(무교 1924명, 개신교 854명, 천주교 355명, 불교 882명)을 연구대상자로 추출하고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준거집단 인 무교에 비해 불교만이 유의미하게 우울을 낮췄으며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높였다. 무교에 비해 불교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개신교집단에서만 종교모임 참여 빈도가 높아질수록 유의미하게 우울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는 높아졌다. 개신교집단에서만 종교모임 참여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천주교집단과 불교집단에서는 두 변수간에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불교를 믿는 다는 것 자체는 무교에 비해 우울을 낮추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지만 불교를 믿는 노인들의 종교모임 참석빈도는 매우 낮고 종교모임활동은 실질적으로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불교의 교리 상 개인의 수행이 중심이 되지만 불교를 믿는 노인들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종교모임을 노인들이 참여하기 쉽도록 활성화하고 경축일을 중심으로 한 모임이 아니라 자주 정기적인 종교모임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ertain religions affe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having no-religion an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between the relig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lso, it attempts to explore for which religion the frequency in participating in religious meetings affec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between the frequency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ve 4 conducted in 2012. It selected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so that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4,015 persons (no-religion 1,924, Protestant 854, Catholic 355, Buddhist 882).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Buddhis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Buddhism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having no-religion. Secondl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rotestant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meetings an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the frequency and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religious group meetings should be more frequent and regular in Buddhism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염지혜(Jihye Yeom),전미애(Miae Chu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Baltes와 Baltes(1990)의 선택, 적정화, 보상 이론(SOC)과 Prandini(2014)의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노년기에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1인가구를 추출해 연구대상자(남 n=370, 여 n=1770)로 삼았으며, 친구·이웃만남과 경로당·복지관 참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가족관계가 친구·이웃 또는 경로당·복지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는 가족과의 연락빈도가 친구·이웃만남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는 가족연락빈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영향이 나타난 반면 가족만남빈도는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Prandini(2014)의 주장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어떠한 종류의 지역사회참여인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Based on Baltes and Baltes (1990) s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eory (SOC) and the argument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by Prandini (2014), we test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can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is,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xtract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ale sample=370, Female sample=177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friends·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at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en, family relation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in friends·neighbors, or Kyungrodang·welfare centers.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meeting friends·neighbors.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Kyungrodang·welfare center participation, while family meeting frequ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women, although Prandini s (2014) claim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seems to be supporte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c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practic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가 자녀로부터의 지원 제공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염지혜(Yeom Ji hye),전미애(Chun Mi ae)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자녀로부터의 지원 즉, 만남빈도(정서적), 금전지원(경제적), 돌봄시간(도구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변화가 노인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고령화패널연구(KLoSA), 2006년 1차부터 2012년 4차까지를 활용하였으며 1차 시점에서 65세 이상이면서 4차까지 생존한 패널, 남자 1252명, 여자 1850명 총 310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고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성노인의 경우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첫 시점의 만남빈도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남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로부터의 금전지원이 낮았으며 이는 남녀 간 차이가 없었다.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돌봄시간 초기값은 높았으며 이 경로는 남녀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시간에 따라 악화되는 변화율이 자녀로부터의 돌봄제공 시간 변화율을 증가시켰지만 여성노인의 경우 남성노인 보다 자녀로부터의 돌봄제공 시간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자녀로 부터의 지원에 취약성을 보이기 때문에 남성노인에 대한 세심한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nge in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affects the support from their children, such as frequency of meeting (emotional), financial support (economic), and hours of caregiving(instrumental), and if these changes differ by gender of older adults. For this study, we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d(KLoSA), from the 1st wave in 2006 to the 4th wave in 2012, selected a total of 3102 (1252 males and 1850 females) study subjects who were 65 year-old and older in the 1st wave and who were in the survival panel through the 4th wave, and use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worse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men at the initial point, the significantly lower the frequency of meeting at the initial point among older men;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groups. Older adults with worse self-rated health at the initial point received significantly less financial suppor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enders. Also, the worse the self-rated health was at the initial point, the higher the hours of caregiving at the initial point; this path showed a difference by gender. In both older male and female groups, the declining rate of the self-rated health over tim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increase in the hours of caregiving. However, the female group showed a much higher rate of increase in the hours of caregiving than that of ma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lder males should be given thoughtful consideration and support as they are shown vulnerable in the support from their children compared to older females.

      • KCI등재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염지혜(Ji Hye Yeo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경과에 따라 결혼상태 변화와 친구ㆍ이웃과 만남 변화가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006년 1차부터 2012년 4차까지 네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차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2, 3, 4차 각 시점 사망자패널 155명, 254명, 270명을 제외한 2,839명(농촌 n=853, 도시 n=1,986)을 최종분석에 활용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를 사용했고, 결혼상태 변화, 친구ㆍ이웃 만남 변화, 삶의 만족도 변화 간의 관계성 검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했다. 또한 도시와 농촌 두 집단의 경로계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로는 첫 시점에서 배우자가 있을 경우 농촌노인이 도시노인보다 친구ㆍ이웃 만남빈도가 낮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배우자였던 도시노인의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천천히 증가했지만 유배우자였던 농촌노인의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첫 시점에서 배우자가 있을 때 삶의 만족도는 농촌노인이 도시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친구·이웃 만남빈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농촌노인이 도시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농촌노인의 경우 도시노인보다 배우자가 있을 때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더 낮고 삶의 만족도는 더 높은 배우자 중심적인 삶을 살고 있었으나 친구ㆍ이웃과의 만남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시노인 보다 더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d life satisfaction and what induced life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in Korea.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ve 1 was conducted in 2006, wave 2 in 2008, wave 3 in 2010, and wave 4 in 2012. The study selected 65 year old and over participants from wave 1; in wave 2, 3, and 4, the deceased was removed - numbers 155, 254, 270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cases in the study was 2,839 (urban older adults 1,986 and rural older adults 853). Exogenouse variables from wave 1 were age, sex,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health. Endogenouse variables from wave 1, 2, 3, 4 were marital status,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tent Growth Modeling were conduct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the coeffici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that linked marital status to life satisfaction. Further more, when rural older adults had spouses, their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was less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lso, as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increased among rural older adults, their life satisfaction became great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rural older adults were more likely to live in a family-centered system, particularly when they were involved with their spouses. However, at the same time, when rural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their life satisfaction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ir counterparts. From these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노(老老)케어의 시행과정과 향후 정책적 과제

        염지혜(Jihye Yeom)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노(老老)케어 정책의 시행배경을 살펴보고,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에서 노노(老老)케어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며, 두 정권에서의 노노(老老)케어를 비교 평가하고,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시행배경으로는 급속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젊고 건강한 노인과 연세 드시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 증가, 돌봄노동의 탈가족화, 노인일자리 창출의 반복되는 실패로 정책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요구 등으로 분석될 수 있다. 참여정부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이 시작된 이듬해 노노(老老)케어의 전신인 노-노간병사업이 시작되었고 이후 노인주거 개선사업을 포함시켜 노노(老老)케어의 다각화를 꾀했다. 이명박정부는 노노(老老)케어 서비스 제공자의 연령 제한을 낮추고 교통비를 제공하는 등 지원을 확대했으며 집권 후반부에는 사업 참여시간의 탄력적 운영과 참여자에 대한 자격제한 등 유연화와 규제를 동시에 사용했다. 노노(老老)케어는 일자리 수 증가에 있어서만큼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으나 두 정권 모두 노인의 소득보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는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업의 경계가 모호해 다른 사업과 혼동을 초래한 반면 참여노인에게 미친 사회ㆍ경제적 효과는 긍정적이었다. 향후 노노(老老)케어가 노인의 소득창출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기간을 순차적으로 12개월로 연장, 참여연령의 탄력적 운영, 서비스 대상자의 명확화와 발굴, 지원 내용의 다양화, 단순 소득창출을 넘어 정서적 지원인 "노-노그물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in implementing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and the history of the program, evaluate the program, and propose plans to develop it. The background of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are dramatical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socialization of care, need to change in previous policy paradigm. Nomuhyun government launched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and included house renov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in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tried to make the program to be various. MB government made age qualification extended to 60 years old and supported transportation costs to participants. MB government also limited qualification of participants, which means the government used the carrot and the stick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it would be evaluated that both governments failed to achieve income security for older adults.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needed to be defined more carefully and obviously because it was confused with other similar programs. However, the elderly-the elderly care program affected participants very positively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dimens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namely to secure income for older adults, it is need to extend the duration to work up to 12 months, make flexible age restriction, find target population, make the supports various, and make the elderly and the elderly network.

      • KCI등재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기인 구조 진동저감 성능 연구

        염지혜 ( Jihye Yeom ),김정진 ( Jeong-jin Kim ),박준홍 ( Junhong Par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6

        주거지에서의 정숙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중요한 소음원 중 하나는 엘리베이터 작동 소음이다. 엘리베이터는 층 사이에서 작동하며 인근 생활 공간에 상당히 성가신 소리를 생성한다. 입주민들에게 성가심을 유발하는 주요 소음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층간 이동을 위해 여러 위치에서 건물 구조에 지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지 위치에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실증하였다. 시멘트 콘크리트와 폴리머 콘크리트에 지지했을 때의 진동 발생량을 측정 및 비교하여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였다. 폴리머 콘크리트는 승강로를 모방한 벽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브라켓에 충격진동을 인가하고 진동전달크기를 측정하였다. 감쇠비는 과도응답의 정규화 및 곡선맞춤을 통해 평가하였고, 각 레진 혼합 질량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구조적 강성에 대한 손실 없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진동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With the increased interest on quiescent place for residential place, the noise generation from facilities needs to be minimized. One important noise source include sounds from operation of elevators. The elevator operates between floors and generates significantly annoying sounds to the nearby living spaces. It is recognized as the significant contributor inducing noise annoyance to residents. Elevator is support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t several locations for movements between floors. In this study, the vibration reduction by use of polymer concrete on the support location was demonstrated.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vibration generation when supported on cement and polymer concrete,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The polymer concrete was made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wall that imitates the hoistway. The impact vibration was induced to the bracket and vibration transfer magnitude was measured. The damping ratio was evaluated through normalization and curve fitting of transient response, and comparison was performed for each resin mixing ratio. By use of polymer concrete,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generation in an effect manner without sacrifice on the structural rig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