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복(占卜)과 제사(祭祀)에 관한 문자 연구

        염정삼(JungSam YU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서강인문논총 Vol.0 No.26

        이 글을 쓰는 목적은 제사 의례에 관한 문자들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역사속에서 성과 속이 일치하는 연속적 경험으로서의 종교적 특질의 단면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설문해자(說文解字)』의 ‘복(卜)’ 부와 ‘시(示)’ 부의 글자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제사를 통한 조상 숭배의 문화와 자연신 숭배의 문화가 문자에 어떻게 담겨 있는지 연구하고, 또한 복록(福祿)에 대한 개념을 표상하는 문자와 금기(禁忌)에 대한 관념이 표상된 문자를 살펴 볼 것이다. 은허(殷墟)에서 발견된 갑골(甲骨)에는 점을 친 내용과 점의 결과를 새겨 넣은 복사(卜辭)가 담겨져 있다. 은(殷)은 극히 제사 의식이 극성했던 국가였으며 제사의 중요한 대상이 되었던 것은 ‘상제(上帝)’를 포함한 조상신이었다. 이러한 문화가 주(周)왕조가 성립하면서 ‘상제’를 대신하여 ‘천(天)’의 관념이 성립되고 천(天)을 제사지내는 교제(郊祭) 및 종묘사직의 제사로 변형 계승되었다. 이 전통은 진한(奏漢) 제국이 출현한 이후에도 국가의 통치제도로서 자리를 잡았다. 시황제(始皇帝)와 한무제(漢武帝)의 봉선제(封禪祭)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과 전통이 다시 유가(儒家)의 예(禮) 관념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The paper examines characters related to fortune-telling and ritual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china' s religious characteristics were interpreted in different eras and expressed in scripts. To that end, the study focuses on scripts that belong to the "bu(卜)" radical and "shi(示) radical."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culture of worshiping ancestors and natural gods using rituals to offer sacrifices to them is reflected in scripts, while examining characters representing the concept of "fulu(福祿, inborn fortune) and the perception of taboo, jinji(禁忌),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se representations have influenced the conceptual formation of li (禮). Jiaguwen(甲骨文) discovered during the Shang(商) Dynasty have incidents of fortune-telling and the resulting fortunes are engraved. Shang was an extremely religious nation, and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Shang Dynasty is shown in rituals performed at graves and the royal sanctuary. The main target of these rituals was Shangdi(上帝). With the arrival of the Zhou(周) Dynasty, such a culture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tian(天, sky) notion, which replaced Shangdi, and the rituals evolved into offers of sacrifice to the sky or ceremonies for royal ancestors. Although the religious elements of rituals of the Shang Dynasty were lost to a great degree, this tradition was established as the nation's governing regime even after the Qin(秦) Han(漢) Dynasty came into being. The fengchan(封禪) rituals of the Shihuangdi(始皇帝) and Hanwudi(漢武帝) are representative of such a characteristic. It is needless to say that such religious traditions became a main pillar of the li concept of Confucianism.

      • KCI등재

        장서각 소장 군영 자료로 본 조선 후기 삼군영의 군사 복식 보급

        염정하(Yum, Jung-ha)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조선 후기 군영 자료는 다양한 군사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 중 군사의 의생활 문화도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정보이다. 이 글에서는 장서각에 소장된 군영등록을 바탕으로 그동안 파악하기 어려웠던 조선 후기 삼군영의 계급별 군사 복식의 보급에 관해 알아보았다. 삼군영의 대장은 왕의 갑주를 사여 받아 착용하거나, 고급재료의 갑주를 착용하였다. 중군 이하 장관과 장교는 주로 단갑주 등을 착용하였다. 훈련도감의 군병은 병종에 따라 갑주를 보급받았으며, 어영청과 금위영에서는 각 상황과 수행 위치에 따라 갑주를 보급받아 착용하였다. 삼군영의 장관과 장교는 군복값과 전대용 남방사주, 전립용 상모를 지급받아 군복을 마련하였다. 각 군영의 재정과 운영 상황에 따라 지급 기준에 약간씩 차이가 나타났다. 훈련도감은 대다수 군병에게 군복을 지급하였으나, 어영청과 금위영에서는 행행과 관련된 군병을 중심으로 군복을 지급하였다. 그리고 각 군병은 시위하는 대상에 따라 지급받는 군복값이 달랐다. 이 글을 기반으로 장서각 소장 군영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더욱 다양한 군사의 의생활 문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The Military Camps-Related Documents at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cludes a variety of military information and military clothing life culture is one of the main information among them.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distribution of the Military Costum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Military offices’ Deung’rok Registers, a collection of materials from Jangseogak archives. The captain of Three Military Camps wore high-quality armor or the one bestowed upon them by the king. Low-rank graded officials and civilian employees of military force wore a studded coat type armor called Dangap (緞甲) and a helmet with ear flaps. Soldiers at Hun’ryeon Dogam were supplied with armor according to their roles while those at Eo’yeong-cheong and Geum’wiyeong were suppli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ituations and locations of operations. Ministers and Officers of military force of Three Military Camps received sashes, helmets and the expenses for their uniform. Each Military Camp provided different equipment basis of issue was varied according to the financial and operational situations of each Military Camp. Hun’ryeon Dogam issued most soldiers with uniform, however, Eo’yeong-cheong and Geum’wiyeong supplied uniform to the soldiers those who participated in parades. Also, the different expenses were offered to each soldier according to whom they escorted.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diverse studies on military clothing life culture based on Military Camps-Related Documents at the Jangseogak archives.

      • KCI등재

        논문(論文) : "유(類)"와 "상(象)"을 통한 문자의미의 생성과 분화 -《설문해자》 "구(口)"부를 예증으로

        염정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4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nalysis of 說文解字(Shuowenjiezi), an authoritative text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examining the meaning creation, division and linking processes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象xiang’; and clarifying the generative principles behind the formation of polysemous characters through a classification method called ‘類lei’. The research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steps. The first is defining the principles that shaped the basic meaning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second is studying the creation and alternation ofmeaning by looking into examples of character division and compound letters. Lastly, the thesis concludes by further explaining these basic formation principles through the theory of exceptions of basic principles.

      • KCI등재

        허신(許愼) 문자관(文字觀)의 이론적(理論的)인 축(軸) ― 육서론(六書論)을 중심으로 ―

        염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中國文學 Vol.41 No.-

        本文從探討“許愼通過文字確立的世界觀是如何表現出來的?”這一問題出發,從不同角度論證許愼完成文字觀的個個旅程,試圖揭示其整體面貌. 爲了明確其文字觀的理論基礎,本文深入硏究分析了許愼創造`字形`, `聲音`, `意義`相結合的文字理論過程,獲得了如下結論: 首先,許愼以`道(太極)`的分化過程爲理論基礎, 說明了文字的生成過程. 其次,他把文字的發展和演變原理與相關關係的類比性擴充理論結合了起來. 關係論在≪易≫的`咸`中也能?到,是當時盛行的理論之一, `感應論`. ≪說文≫中意義的相關關係就非常明顯地表現出了≪易·繫辭傳≫的二元論觀点. 再次,許愼以文字創生論和相關關係論爲基礎,分析了文字的`字形`, `字音`, `字意`的結構,幷完成了貫穿整個文字體系的六書論. 這就是許愼能勾將過去未曾整理好的文字構造理論加以明確的原因.

      • KCI등재

        『명리탐(名理探)』에 소개된 서구 논리학의 특성

        염정삼(Yum, Jungsam)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6

        17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서 서양의 학문이 소개되었을 때, 신학에 관한 여러 종의 저서뿐만이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서가 『명리탐(名理探)』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번역의 저본이 되었던 것은 17세기 포르투갈의 코임브라 대학에서 예수회의 논리학 강의교재로 사용된 Commentarii Collegii Conim bricensis Societate Jesu In Universam Dialecticam Aristotelis이다. 예수회 선교사들이 논리학을 중시한 이유는, 물론 중세 신학적인 토미즘의 토대 위에서 논리학을 통해 기독교 선교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그들이 서양학문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는 중국인들에게 ‘논리학’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서양의 학문이란 무엇이고 어떤 체계로 이루어졌는지를 먼저 설명하고 그곳에서 ‘논리학’은 어떤 자리를 차지하며 어떤 중요성이 있는지를 설명해야 했다. 그래서『명리탐』 속에는 라틴본 서문의 내용이 1권으로 번역되어 있는데, 그곳에서 서구학문이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 정의하고 전체적으로 개괄하는 동시에 학문의 상하 분과 체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특히 논리학의 위상과 의의 및 필요성, 논리학의 하위 분과 등을 상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명리탐』 권1에서 ‘명리탐’이라는 한문 번역 제목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설명하는 대목을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17th century when Jesuit missionaries first introduced Western studies to China, Aristotle’s writings of logic and other prestigious works in theology were translated into a book named Minglitan名理探. Aristotle’s logic was an academic realm that was consistently studied since birth and whose academic importance was repeatedly argued among academics during the course of Western history. What is interesting about Minglitan is that these historical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academic status of logic was demonstrated in the book. For example, in Minglitan vol. 1 there is an exclusive chapter wholly contributed to the discussion of whether logic can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realm of academic study. The chapter also presents different arguments that responded to this question and offers details on how they differ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Minglitan vol. 1’s argument: ‘Can logic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science?’, this thesis intended to clarify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arguments that arose to this question and study the methodology of how Western logic was first introduced to China in the 17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