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남성과 자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 si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남성과 한국인 아내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가구 월평균 소득, 배우자 지지, 부부간 문화적 차이가 결혼이주남성(아버지)-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결혼만족도의 간접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차별 경험 여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구 월평균 소득과 부부간 문화적 차이는 아버지-자녀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결혼이주남성의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아버지-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남성이 사회적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배우자 지지는 아버지-자녀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아버지-자녀 관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사회적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married immigrant male’s marriage satisf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onthly incomes, partners’ support, and cultural differences on their father-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vary depends on perceived experience in social discrimination. The participants of current study were married immigrant male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and the results using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are as follow. First, family monthly income and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 of couple turned out to have no statistical direct effect on father-child relationship whil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male turne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father-child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partner encourages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get stronger through marriage satisfaction. Third,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from parter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stronger in men who experiences social discrimination than who do not.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관계 특성에 따른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차이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차별적인 특성을 갖는 유형이 있는지 확인하고, 차별적 특성을 갖는 유형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의 5,54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 하 집단(18.6%)’,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둘째, 일원분산분석결과 5개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이 나머지 4개 잠재계층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 수준이 높았으며,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이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 하 집단(18.6%)’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높기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와의 관계의 질을 높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logical outcomes (school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ifficulty related to multicultural identity)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of 5,540 samples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8 were analyzed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best-fitting model identified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1) father low-mother average (6.5%), (2) father average-mother low (2%), (3) father low-mother low (18.6%), (4) father average-mother average (31.2%), and (5) father high-mother high (41.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OVA, the father high-mother high (41.7%) group of adolescents showed more school participants and higher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identity than the other profiled groups. The father average-mother average (31.2%) group of adolescents also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father low-mother average (6.5%), father average-mother low (2%), and father low-mother low (18.6%)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mprov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s would be important in improving psychological outcomes.

      • KCI등재

        아버지 우울 변화 양상에 따른 양육행동 및 자녀의 문제행동, 학교적응 차이 비교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의 우울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하고, 잠재집단에 따라 2년 후의 아버지 양육행동과 자녀의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년)부터 8차년도(2015년)의 5개년도 자료와 10차년도(2017년) 자료의 1,17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 출생 후 4년부터 8년까지의 아버지 우울의 변화 궤적은 고수준 변화형 집단,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의 3개의 잠재집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5년 동안 계속 낮은 수준의 우울을 보인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은 고수준 변화형 집단과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권위적(Authoritative)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반면, 고수준 변화형 집단과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은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권위주의적(Authoritarian), 허용적(Permissive)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수준 변화형 집단,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 순으로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수준 변화형 집단이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경우 저수준 저변화형 집단이 중수준 저변화형 집단보다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가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문제행동을 많이 보일 때 아버지의 우울 수준을 함께 고려한 상담 및 가족 프로그램 운영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father"s depression and the changes of relevant parenting practice in fathers" as well as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schoo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address these goals, the data from 1,172 samples from the 4th to 8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fathers" depressive lev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groups: 1) the high-changing group, 2) the middle-low changing group, and 3) the low-low changing group.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fathers within the low-low changing group practiced more authoritative but permissive parenting than the fathers in the two other groups. Children from high-changing group showed more problematic behaviors than the children of the two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children from the low-low changing group reported higher school adjustment such as academic achievements,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further studie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 대화, 또래애착, 센터교사만족도,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구조모형의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4차 조사(2017년)의 청소년 438명이 분석 대상이다. 첫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모-자녀 대화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반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자녀 대화 정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센터교사만족도가 자아탄력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체계를 통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성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atent mean analysis and path analysis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nversation, peer attachment, satisfaction in teacher at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ego-resiliency,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in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For this purpose, 438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4th(2017) questionnaire in the 2nd child panel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ere used. From the analysis results, first, peer attachment and satisfaction in teacher at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ncreased ego-resiliency and career identity, but parent-child conversation did not predict ego-resiliency and career identity. Peer attachment and satisfaction in teacher at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as fully mediated by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to career identity. Second, in the latent mean analysis,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ues in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ues in parent-child conversation than male students. Thir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different paths to career identity between the genders. Peer attachment can buffer the effect of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on career identity of male students, but satisfaction in teacher at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buffers more on the ego-resiliency of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or enhancing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is needed to encourage career identity, and that gender needs to be considered.

      • KCI등재

        일-가정 갈등의 잠재프로파일분석: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비교를 중심으로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중심적 접근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에 기초하여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개인 내에서 어떤 프로파일로 존재하는지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더불어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간에 ‘일→가정 갈등’과 ‘가정→ 일 갈등’의 수준과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도에 조사된 여성가족부의 2015 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양부모와 한부모 가정의 부모 631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간에 ‘일→가정 갈등’에서는 평균 차이가 없는 반면, ‘가정→일 갈등’ 수준은 한부모 가정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1) 낮은 수준의 일→가정, 가정→일 갈등 집단, (2) 평균 수준의 일→가정, 가정→일 갈등 집단, (3)가정→일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 (4) 높은 수준의 일→가정, 가정→일 갈등 집단의 네 유형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셋째, 상대적으로 양부모 가정보다 한부모 가정의 경우 ‘가정→일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과 ‘높은 수준의 일→가정, 가정→일 갈등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 내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 양상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different sub-group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in single families and intact families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t sub-group to a diverse set of conflict patterns. 631 two parent families or single parent families were obtained from the “ 2015 Welfare Facilities Status ” and this study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ngle-parent families showed higher work-family conflict, in contrast work-family conflict did no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family. Second,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sub-group of conflict pattern were found; (1) low-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2) middle-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3) higher family-work conflict, (4) high-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And single-parent families showed more conflicts when they faced stress between work and family. These findings imply that patterns of conflic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pport more effective intervention to help problems for employed mothers.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잠재적 유형과 양육참여, 양육태도, 자녀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 Si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다중 심리적 속성에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잠재적 집단을 통해 각 집단에 속해있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 집단 분류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상태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의 다중 속성에 의해 (1) 심리적으로 불행한 집단, (2) 심리적으로 안정된 집단, (3) 심리적으로 행복한 집단의 세 개 하위 잠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아버지가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집단일수록 양육참여와 긍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이 건강하고 행복한 집단의 자녀들은 유아의 사회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또래와의 놀이 상호작용이 원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sychological groups of infant-father by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to explore influences of fa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engagement and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By using a sample of Korean infant-fathers from the 4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ree groups were generated regard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pression: (1) psychologically depressed group (2) psychologically stable group (3) psychologically pleased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ces of infant-fathers‘ psychological statu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psychologically more stable and pleased group of infant-father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parenting a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renting. Moreover, a child of psychologically pleased infant-fathers showed sociable relationships with peers through on interactive peer play.

      • KCI등재

        모-자녀 상호작용 변화 양상에 따른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차이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와 초등학령기(초2까지) 4년 동안의 모-자녀 상호작용의 변화 궤적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2013년)∼9차(2016년), 10차(2017)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 성장분석,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 중 BCH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기와 초등학령기(초2까지) 4년 동안의 모-자녀 상호작용의 변화 궤적은 무변화, 이차곡선변화의 형태보다는 선형으로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선형으로 감소하는 변화 궤적은 3개의 이질적인 특징을 갖는 잠재계층(상수준 감소형, 중수준 감소형, 저수준 감소형)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저수준 감소형 집단이 상수준 감소형, 중수준 감소형 집단보다 초3 시점의 미디어 기기 중독의 하위 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금단, 내성 모두 평균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기와 초등학령기(초2까지) 동안 모-자녀 간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이 초3 시점의 미디어 기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in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4-year-old children in primary school as well as the effects on media device addiction. To explore interaction typ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LCGM) and BCH were used in a three-step approach. Data from the 6-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were used. First, the trajectory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was linear and decreased across time. This linear decreas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trajectories: high-decreasing, average-deceasing, and low-decreasing. Second, BCH was performed to examine media device addiction in each trajectory, and the findings show that children who had low initial mother-child interactions over tim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aily disturbances in adaptive functions such as withdraw or tolerance than other groups of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 that maximizing the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s in childhood through primary school can lower media device addiction in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교환경, 자아존중감, 행복감 간 관계: 집행기능곤란, 성별의 조절효과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지각된 학교환경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집행기능곤란 및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특징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0차년 도(2017년) 자료의 초등학교 3학년 1,386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 형에 기초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지각된 학교환경은 자신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교환경이 친구들의 지지와 즐거운 반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고, 교사의 지지와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교환경은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다집단 분석 결과, 집행기능곤란 및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 수준 및 성별에 관계없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이 지각한 학교환경의 특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gender on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nvironments and students’ happiness. This study utilized 1,386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10th wave of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KCYP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approaches were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students’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fficacy and happiness. Students who perceived more warmth and safety from peers and teacher show higher self-esteem and happiness. Second, students’ self-esteem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happiness. Third, students’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nvironment and their happiness. Fourt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gender itself did not show any different patterns of above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ortance of school environment for students’ happines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 인식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학업적 특성 차이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차별적인 특징을 갖는 유형을 탐색하고, 탐색된 유형에 따라 초, 중, 고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 · 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2018)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초등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상, 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중), 중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하-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하-부모 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 고등학생 7개 잠재계층(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중-부모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 중, 고 모두 잠재계층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도)과 학업적 특성(자율적 학습 동기, 자기주도학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부모-자녀 모두 대화 빈도가 높다고 인식한 집단과 부모보다 자녀가 인식한 대화 빈도 수준이 높은 집단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은 부모와의 대화 빈도를 부모와 다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가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an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erceptional differences. Data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8) were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tilized to explore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s contact frequency was classified into six group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even groups in high schoo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job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and reparation) and academic outcomes (autonomou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classified groups related to contact frequency significantly differed. In general, groups who reported a higher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by children than parents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and better academic outcomes. This result implies that perceived contact frequen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differ by school level, and its differences can be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of adolescents.

      • KCI등재

        유아의 기질,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 :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유아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은모 ( Mo Yeon Eun ),최효식 ( Hyo Sik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cified into following two folds: (1)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 child’s temperament, interactive peer play,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hi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nd (2) to explore whether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are influenced by a mother’s employment and the gender of the child. Using data from a survey of 1,525 children from the 4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ised. Survey data revealed that a child’s temperament exerts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influence on interactive peer play and parenting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 child’s temperament and interactive peer play. However,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child’s temperament and interactive peer play.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 child’s temperament, interactive peer play,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ticipation in child-care do not present any differences with regard to mother’s employment and child’s gend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