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生産的 福祉政策과 社會福祉法制의 課題

        延基榮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1 比較法硏究 Vol.2 No.-

        生産的 福祉란 社會全體 시스템이 生産的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前提에서 출발한 槪念이다. 舊民法에서 출발한 傳統的인 施惠的 福祉와 區別되는 개념이다. 스스로의 能力을 開發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福祉政策이며, 中産層育成과 庶民生活을 목표로 하는 人間開發中心의 生産的 福祉라고 할 수 있다. 生産的 福祉란 유럽을 비롯한 여러 先進國家의 社會保障政策의 問題點을 克服하기 위해 政策的으로 제시된 ‘제3의 길’과 비교될 수 있다. 生産的 福祉의 比較法的인 연구를 통하여 先進 福祉國家의 成功과 失敗를 분석해 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生産的 福祉시스템을 정립해 나가는 작업을 위하여 社會保障制度의 개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社會保障의 法政策的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社會安全網을 갖춘 새로운 福祉패러다임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個人들의 勤勞意慾을 減退시키지 않는 福祉政策을 통하여 競爭力을 提高하고 雇傭을 增大시키며, 效率的인 福祉政策을 펼쳐 나갈 수 있는 代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 論文에서는 生産的 福祉政策의 理念을 구현하기 위한 法政策的 課題를 槪括的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전통사찰보존법의 제정과 불교계의 당면과제

        연기영 중앙승가대학교 1988 僧伽 Vol.5 No.-

        여기서는 주로 불교재산관리법의 폐지의 의미와 전통사찰보존법의 제정에 대한 배경과 내용 그리고 문제점을 검토한 다음 우리 불교계가 안고 있는 앞으로의 법률적 당면과제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종교단체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현행 민법상의 사단, 재단법인 제도의 활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종교단체는 대부분 사단적 특성과 재단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허가 설립주의를 취하는 결과 법인 설립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진다는 점을 지나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단체의 사단적ㆍ재단적 특징을 가진 혼합법인 형태도 법인격을 부여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본다. 종교 법인법의 제정이 신중히 검토될 단계라고 보여진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는 국가권력의 제도적 간섭 없이 불교종단이나 사찰 스스로 내부적인 질서와 평화와 공공성을 지켜 나갈 수 있는 역량을 다져 나가는 일이다. 각종 사찰 분규나 종권다툼에서 벗어나 마음을 비우고 본래의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사부대중이 화합하기를 발원한다. 눈앞에 주어진 불교계의 당면과제를 실천하는 기존 보수 세력과 진보세력간의 갈등 등 다소 개혁의 아픔이 따르게 마련이며, 이러한 진통을 함께 나누며 불국정토를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종단 지도자들을 비롯한 모든 불제자들의 집결된 지혜와 화합이 국가의 법제도의 개선에 우선하는 일임을 강조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2016리오올림픽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반도핑중재부의 규정과 활동

        연기영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7 스포츠와 법 Vol.20 No.1

        “This is a major step forward to make doping testing independent, following the decis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 three months ago after the proposal of the Olympic Summit. It represents support for the IOC’s zero tolerance policy in the fight against doping and in the protection of the clean athletes,” the IOC President Thomas Bach said.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has been adjudicating on a variety of disputes arising on the occasion of the Olympic Games (OG) through its CAS Ad Hoc Divisions since 1996. Over the years, it has dealt with qualification matters, doping and other disciplinary issues, primarily as a last instance body. The main particularity of the CAS Ad Hoc Divisions is that it provides athletes and federations with free access to justice within very short deadlines (generally, within 24 hours from lodging the claim or in accordance with the competition schedule). The Rio Games established CAS Anti-Doping Division, AD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the CAS was in charge of doping-related matters arising on the occasion of the Games as a first-instance authority. This CAS Anti-doping Division handled doping cases referred to it in accordance with the IOC Anti-doping Rules. It had the power to impose provisional suspensions pending the conclusion of the procedure and its final decisions could be appealed before the CAS ad hoc Division in Rio or before the CAS in Lausanne after the end of the Olympic Games. The Executive Board (EB)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agreed to delegate the decisions on alleged anti-doping rule violations during the Olympic Games to an independent body. The CAS Anti-Doping Division replaced the IOC Disciplinary Commission to hear and decide on doping cases at the Olympic Games, as well as the subsequent re-analysis of samples taken at the Games. The move comes as part of the Olympic Agenda 2020 reforms, and follows the Resolution of the Fourth Olympic Summit to make anti-doping testing independent of sports organisations. The delegation by the IOC Executive Board to the CAS Anti-doping Division is pursuant to Rule 59.2.4 of the Olympic Charter. Generally, the parties to an ADD procedure may be individual athletes (or members of the athlete’s entourage), IFs, the IOC, NOCs and WADA. The typical disputes brought before the ADD are anti-doping rule violations committed during the OG, therefore the application (that will be further examined below) is always filed by the IOC, as soon as the latter asserts an anti-doping rule violation. The sanctions determined by the CAS ADD are limited to the OG (i.e. disqualification from a sports event, withdrawal of medals, exclusion from the OG), and all further sanctions are then determined by the relevant IFs. The ADD Rules apply in case of violation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 (WADC) arising upon the occasion of the OG: the narrow scope of the ADD Rules is juxtaposed to the broader scope of the AHD Rules, which includes “any disputes covered by Rule 61 of the Olympic Charter, insofar as they arise during the Olympic Games or during a period of ten days preced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Olympic Games”.( Article 1 AHD Rules). The temporal scope of jurisdiction of the AHD Rules is systematically examined by CAS Ad Hoc Panels and this should also be the case for the ADD Rules. However, in cases where all parties agree, they may waive their objections to the admissibility of the application and agree to have the matter heard by the AHD Panel. The main procedural difference between the CAS ADD and the AHD Rules is that the former acts as the first instance authority for doping-related matters, responsible for the conduct of the proceedings and the rendering of decisions under the IOC ADR. As seen above, all these cases were so far decided by the IOC Executive Board upon recommendations by the Ad Hoc DC of the IOC. As held by the CAS ADD in its first case, there is no overl... 스포츠중재재판소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in Lausanne, Switzerland: CAS)는 1984년 설립된 후에 1996 년부터 특별중재부(Ad Hoc Division)를 설치하여 올림픽게임 (OG) 행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분쟁에 대해 중재결정을 내렸다. 수년 동안 선수자격 문제, 도핑 및 다른 징계 문제 등에 관하여 최후의 관할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CAS 특별중재부의 가장 큰 특징은 운동 선수와 연맹이 매우 짧은 마감 시간 내에 무료로 분쟁해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2016년 리오올림픽게임에서는 CAS Anti-Doping Division (ADD)을 설치하여 올 IOC 반 도핑 규칙에 따라 해당 도핑 사건을 처리했다. 일반적으로 CAS ADD 절차의 당사자는 운동선수, IF, IOC, NOC 및 WADA 일 수 있다. 반도핑중재부 설치 이전에 제기된 전형적인 분쟁은 반 도핑 규정 위반을 주장하자마자 IOC가 신청서를 제출한다. 반도핑중재부에 의해 결정되는 제재는 올림픽경기(즉, 스포츠 경기 결격, 메달 철회 등)로 제한되며 모든 추가 제재는 관련 국제경기연맹에 의해 결정된다. 반도핑중재규칙은 올림픽경기에 따라 발생하는 세계반도핑규약 (WADC)을 위반 한 경우에 적용된다. 반도핑중재규칙의 범위가 특별중재규칙보다 더 넓은 범위에 된다.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는 2016 리우올림픽 관련 8건의 중재신청에 대하여 판정을 내렸다. 위 8건은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도핑방지 중재부(CAS ADD)”에 신청된 건이었다. 즉, 중국 수영 선수의 도핑사건, 브라질 싸이클 선수의 도핑사건(동일 선수에 대하여 2건), 키르키즈스탄 역도 선수의 도핑사건, 몽골 역도 선수의 도핑사건의 중재신청사건에 대한 결정을 내렸다. 중재판정부는 국제올림픽위원회가 금지약물의 존재를 밝혔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더 이상 선수 자격이 없다고 선언했으며, 임시자격정지를 인정하고, 선수들이 얻은 결과를 박탈하였다. 그리고 중재판정부는 해당 사건을 해당 종목의 국제스포츠연맹에 회부하여 리우올림픽 이외의 결정을 내리도록 하였다. 본건 판정은 선수들은 해당 경기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규정들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도핑 사건에 대한 분쟁은 특히 관련 규칙과 판단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스포츠선수계약의 문제점과 과제

        연기영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8 比較法硏究 Vol.9 No.1

        Generally the Player's exclusive contracts are the contracts that are signed by the entertainers with the theatrical company,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production company. Unlike the some famous celebrities most of the players have to sign in the contract with enterprise, even with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free contract" is not applied due to the unbalance of the status. The details of these contracts are ruled by the regulation law. These exclusive contracts are producing the actual business relations in various ways and are created in complicated forms in employment, undertaking, and commissions etc. But unlike those famous celebrities who has the private office to reach the direct contract, rest of the entertainers have to sign in the exclusive contracts and as the fact that these situation are based on the entertainer's labour, it is reasonable that these contracts can be categorized as the unfixed contracts. Players' Contract is conducted when a player agrees with the KBO Rules, the Uniform Players' Contract. The Uniform Players' Contract holds the statutes and agreements which form the legal source of baseball league. Therefore, I examined whether the terms of the Uniform Players' Contract is incorporated with the player's contract. The examination forced this study to analyze the contract that because it was established with the exclusion of the players. Therefore, the concern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ttributes of unfairness of the contract in the aspect of players' benefit. For the protection of player's right, the provision of terms should be inserted in the regulation of the Uniform Players' Contract. Unlike the some famous celebrities most of the players have to sign in the contract with enterprise, therefore the these contracts should be controlled by the labor law. Respecting the player's rights, the new legislation should be proposed since the various forms of these exclusive contracts, can not be handled by the current labor law.

      • KCI등재

        음악저작권의 내용과 P2P서비스 침해에 대한 이용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연기영,손미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6 스포츠와 법 Vol.19 No.1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usic copyright, and in view of the conflict going onlin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review the legal liability for infringement through the P2P network services. In particular, it will now be made to the judicial configuration for the civil liability and tort liability on a joint copyright of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Musical works by collecting evidence that many cases is difficult because it is emotionally than the other works are used randomly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copyright holder without a license does not leave any written legal action difficult. This is also a time large quantities spreads easily around the globe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the play, broadcasting, recording, internet, cyber spac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long with the use of networked forms of musical work it is also greatly changed the music industry and cultural industri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work in which music is used most often in public. The legal disputes relating to music copyright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has increased. While this increase was the illegal distribution of books, including legal disputes caused by the global piracy problem. By P2P service on the Internet infringes aspects of copyright and neighboring right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especially the reality is that the institutions that protect the rights of performers infringement insufficient. Development of case law and legislative policy relating to musical works protected can see that mainly focuses on the protection of composers, lyricists and music copyright holders. In other words, the protection of copyright for music performers receive an insufficient and ill-treatment in reality often does not recognize the rights properly. Legislative policy response,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for it sees necessary. 이 논문에서는 음악저작권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온라인상에서벌어지는 분쟁 가운데에서 P2P방식에 의한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검토하여 보기로 한다. 특히, 인터넷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상의 책임과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책임에 대한 법리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음악저작물은 다른 저작물에 비해 감성적이기 때문에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무작위로사용되어 기록이 남지 않는 경우가 많고 증거수집이 곤란하여 법적 대응이 어렵다. 또한 한 번에많은 수량이 연주, 방송, 녹음, 인터넷, 사이버공간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지구촌 곳곳에 쉽게 퍼져나간다. 아울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화, 네트워크화에 따라 음악저작물의 이용형태도 크게 변화하여 음악산업이 문화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음악이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이용되는 저작물이 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음악저작권과 관련된 법률분쟁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P2P 기술을 통해 디지털화된 영화․음반․도서 등의 불법유통이 증가하면서 전세계적인 저작권침해문제로 법적 분쟁이 발생되었다. 인터넷상의 P2P서비스에 의하여 저작권과 저작인접권의 침해양상은날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실연자의 권리침해를 보호하는 제도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음악저작물 보호에 관한 판례의 발전과 입법정책은 주로 작곡가·작사자 등 음악저작권자의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음악실연자를 위한 저작권법상의 보호가 미흡하고 현실적으로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권리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저작권법의 개정등 입법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

      • KCI등재

        「학교체육진흥법」제정을 위한 과제

        연기영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1 스포츠와 법 Vol.14 No.2

        In this paper, I tried to point out necessities and right directions for enactmen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bout this matter, which have been put forward as bills including proposals of members of the Korean Parliament, Park Young-A and An Minseok in the National Assembly. Instead of trying to set short-term targets right away, what needs to be done is set a direction and come up with answers on what needs to be done. If we would look all around carefuuly about the Law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ere are no legal base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to get over a crisis of such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certainly necessary to legislate new law in this field. I would like to show the problems and legal policie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as follows:First of all, we should return to norma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itarianism, our nation's founding principle and ideals of education iin the Baisic Education Act, which were exhibited by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and modern times of our country. The second, nation and local government must carry out a duty they prepare, and to enforce material human base establishing a basic policy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We must promote a policy to be able to advance with student physical strength health through the administration that is school athletic sports club. In addition, we must introduce the reflex system that there is into an upper school entrance examination by student physical strength health evaluation (PAPS) and resul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such as the sports activities. The third we have to prepare for system-like grounds so that human rights and learning right of student are not infringed. Violences related to the system of the Student Athletic Scholarship and various injustice corruption should be prevented by the new law. The fourth, it should be secured a budget and made up of the financial reforms for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though the building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placement of the lecturer specialized in a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itution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nd the enforcement of the healthy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system. I think carefully with time I consider the setting of a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fund or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foundation. The fifth, I think expansion of the administration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organization are necessary. Diverseness is the which is lack so that human resources remain to promote it which valued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t I did. I consider that the upgrading of the charge post for smooth duties accomplishment, extended reinforcement are necessary. In addition, an engine in charge of sustained study and progra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the leader training for promotion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necessary.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되었던 법안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각계각층의 여론을 수렴하여 박영아 의원이 마련한 「학교체육진흥법」시안을 검토·분석하고, 이 법의 올바른 법안의 내용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현행 교육관계법령이나 스포츠관련 법령을 살펴보면 이러한 학교체육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교체육진흥법」의 제정은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법의 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교육이념과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목표였던 “덕양(德養; 덕을 기름), 체양(體養), 지양(智養)의 조화”를 통하여 모든 국민이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학교체육를 정상화시켜야 한다. 둘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물적·인적 토대를 마련하여 시행할 책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각급 학교에서 체육교과과정의 운영을 충실하게 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학생체력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체력건강평가(PAPS)와 스포츠클럽활동 등과 같은 학교체육의 성과를 상급학교 입시에 반영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셋째, 학생선수의 인권과 학습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체육특기자 입시제도의 개선, 학생선수지도자의 자격과 양성제도 및 처우개선, 신분보장 등을 통하여 각종 부정부패·비리를 방지하고 폭력·성폭력이 근절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체육을 정상화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재원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학교체육시설,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처우개선, 건강체력평가제도의 실시, 스포츠전문강사의 배치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재정이 필요하다. 학교체육진흥기금이나 학교체육진흥재단의 설치를 신중히 고려해 볼 때라고 생각한다. 다섯째,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행정기관의 확대와 연구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학교체육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이 너무나 부족한 편이다.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담당부서의 격상, 확대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교체육의 진흥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개발, 정책개발, 지도자연수 등을 담당할 기관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