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안전 분야에서의 소비자안전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현행 제도와 운영실태 분석 연구

        여정성 ( Jungsung Yeo ),사지연 ( Jeeyeon Sah ),이선명 ( Sunmyung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품안전 분야에서의 소비자안전관리체계의 제도적 문제점과 체계 작동과정에서의 실질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는 관련법·제도의 현황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틀을 개발하여 관련법, 관리주체, 관리제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최근 발생한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갤럭시노트7 리콜 사건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소비자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과 본 연구가 제시하는 개선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제품안전 관련법은 법의 제·개정과 운영에 대한 합의된 방향성의 부재로 법률 간 기능과 역할의 중복, 법률 간 안전관리 품목의 혼란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법 전반을 아우르는 통일된 정책적 철학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관철될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관리주체들은 타 업무와의 병행, 관련 예산과 집행력의 부족, 기관 간 공조체계 부실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안전 총괄전문 기관을 신설하고 해당 기관에 대해 예산과 역량을 집중 투자하여 제품별 횡적 안전관리의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제품안전관리제도는 잠재적 위험 발굴, 시장 감시 및 신속 대응 측면에서 보완이 요구되었다. 구체적으로 원재료의 위해성 평가와 미관리 제품의 안전성 평가 제도를 마련하고, 소비자안전에 관한 종합대응기구로서 소비자안전센터의 제도와 기능을 활성화하여 시장 감시 업무 및 안전사고에의 신속 대응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ritical issues in consumer product safety regulation in Korea with respect to laws, the related institutions charging safety regulation, and its operational procedure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safety of consumers. To pursue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research frame to analyze current systems and conducted case study analysis on the case of Deaths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 and the case of Galaxy Note 7 Recall. Based on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developed in terms of problems & solutions. Firstly, with respect to product safety related laws, it is suggested to have the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safety principle.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onsistent principle of safety in the process of enactment, revision, and operation of law. It resulted in duplication of functions & roles among institutions, and confusions in different product control lists according to separate laws.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prehensive policy principle embracing related laws is needed and this principle is needed to be consistently applied.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product safety authoritie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the proper institution to deal with consumer product safety issues comprehensively. It is found the authorities are lack of budget and execution power, and there is poor cooperation system among authorities. For this matter, the proper institution with enough budget and executory power is needed to watch over safety issues throughout consumer products related authorities to supplement limitations of product-specific horizontal safety management system. Finally, with respect to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it is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potential risk, market surveillance, and quick response. Risk assessment of raw material and safety assessment of uncontrolled product should be introduced. And market surveillance and quick response can be reinforced by vitalizing role and function of Consumer Safety Center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단체 현황 분석과 소비자운동을 위한 제안

        여정성 ( Yeo Jungsung ),사지연 ( Sah Jeeyeon ),고대균 ( Ko Daekyun ),구명진 ( Koo Myoungjin ),이선명 ( Lee Sunmyeo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5

        우리나라의 소비자단체는 활동의 상징적 의미와 실질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장애요인들로 인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단체 활동의 사적 흐름을 알아보는 한편,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도출한 우리나라 소비자단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단체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취약한 재정이었으며, 이는 우수인력의 확보와 소비자운동의 역량 발휘를 저해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운동 활성화를 위한 재정 확보가 요구되었으며, 소비자권익기금제도의 도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비자단체는 모호한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과 단체 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단체의 전문성 강화, 후속세대 양성을 통한 인적쇄신, 소협 차원의 내부 개혁 등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단체는 소비자단체의 활동 영역과 소비자원의 업무가 중복되어 소비자원과 부적절한 협치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원과의 명확한 역할 분담을 통한 소비자원과의 협치구조 확보가 요구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low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onsumer organizations,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vitalize consumer organizations. To pursue this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history of consumer organizations,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related experts. Based on findings and interviews, the following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developed. Firstly, the most serious problem of consumer organizations was financial weakness hindering them securing outstanding workforce and showing ability.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establishment of consumer rights fund, consumer organizations have to secure finance for consumer movements, Secondly, identity of consumer organizations was ambiguous and inconsistent with social expectation. For this matt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reinforcing expertise of consumer organization and training next generation, and internal reformation are needed. Finally, consumer organizations have improper governance with Korea Consumer Agency because of task duplication. It is suggested to improve governance with Korea Consumer Agency by clear role allo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화와 척도개발 - 질적·양적 방법론을 통한 검증 -

        구명진 ( Koo Myoungjin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으로 광고와 소비자 간의 관계 또한 크게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에 대해 갖추고 있는 광고리터러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을 새로이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실제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은 광고의 수동적인 처리를 전제하여 발전해왔으며, 이론적 검토를 통해 소비자 측면과 모바일 광고 측면에서 개념을 확장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전문가 면접조사를 병행한 질적연구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 효용 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의 세 차원으로 새로이 구성하였으며, 각 하위차원별 세부요소 또한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는 광고와 컨텐츠의 구분능력, 광고내용 이해능력, 광고기만성 판별능력, 광고관련 정보탐색능력, 광고관련 소비자문제 대처지식, 광고발신·관리주체 인지능력으로 구성하였다.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효용인지능력과 비용인지능력을,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광고노출가능성에 대한 사전인지능력, 기술적 조작능력(혜택활용), 기술적 조작능력(비용회피), 신기술 광고사기유형 인지능력을 포함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실제 리터러시 수준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측정문항들은 소비자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를 접할 때 갖추어야 할 기본적 리터러시들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더 나아가 실제 소비자의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총체를 발전시킴과 동시에, 광고관련 소비자 복지 향상을 위한 정확한 진단과 구체적 개선안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have changed the role of consumers, who formerly acquired information from the Ads they encounter or just ignored them. The abilities needed for consumers in the process were centered on the cognitive abilities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 Ads and, if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of Ads critically. This kind of ability was named as ‘Advertising Literacy’ in the current literature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and measuring tool of advertising literacy for mobile advertising due to the changed role of consumers in the current mobile advertising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for the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from interviews with consumers and experts of Ad-related fiel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concep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hich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Technic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This study also constructed th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s follows. Information aspect (ability to recognize ads, ability to understand the ad contents, ability to recognize ad decep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for mobile ads, ability to recognize mobile ad platform), Cost-benefit aspect (knowledge on cost of mobile ad, knowledge on benefit of mobile ad), Technical aspect (preliminary knowledge on ad exposure possibility, technical skills to avoid mobile ad cost, technical skills to utilize mobile ad benefit, knowledge on the types of technical ad fraud). Based on the sub-dimensions and elements derived, the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as developed. The scale was designed to include the items requiring consumer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al materials selected according to the clear criteria, so that the activated literacy can be measured effective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two sets of consumer survey data. The concept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both the diverse role of consumers and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mobile advertising, so that encompass the essential capabilities for consumers with mobile ads in a single frame. In addition,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important issues consumers experience with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lan more specific improvemen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nsumer-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for mobile advertising.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and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academic knowledge and is utilized as a practical tool to diagnose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and the consumer's literacy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nsumer sovereignty.

      • KCI등재

        데이터 경제에서 소비자주권의 확장 방향성과 소비자 데이터권리 연구

        윤수영 ( Yun Sue Young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전통적인 시장경제 및 산업경제와는 달리 데이터 경제에서 소비자는 단순히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 주체가 아닌 가치창출의 핵심자원인 데이터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자원의 생산자이자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소비자주권의 개념 또한 기존의 사회내 한정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는 역할에서 데이터 자원을 통해 창출된 가치의 공유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경제적 권리를 주장하는 소비자 정체성을 포함하여 확장되어야 한다. 데이터 경제에서 확장된 소비자주권은 데이터 경제에서 소비자가 데이터의 생산주체이며 데이터의 공급 및 가치 사슬 체계는 소비자들의 주체적 선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소비자 데이터의 유형은 데이터 처리에 대한 소비자 관여도 및 발생 맥락을 고려하여 신상정보, 콘텐츠데이터, 행태데이터, 추론데이터로 구분되며 데이터유형에 따라 소비자 편익과 위험 또한 상이하다. 데이터 경제에서 확장된 소비자주권은 소비자 측면에서는 소비자 데이터 리터리시와 소비자 데이터 편익 및 위험선호도로, 시장 측면에서는 데이터 처리에 대한 소비자 주체성 보장과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성으로 구성된다. 시장 측면의 구성요소는 소비자 데이터 10대 권리로 구체화되며 데이터 처리에 대한 소비자 주체성 측면에서는 데이터 이동권, 데이터 배당권, 자동화 의사결정으로부터 차별받지 않을 권리, 데이터를 흐릴 권리, 데이터 처리 제한권이 있으며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성 측면의 소비자권리는 데이터 접근권, 데이터 정정권, 데이터 삭제권, 데이터 활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데이터 보호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해당된다. 특히, 소비자 주체성 보장을 위한 소비자 데이터권리는 데이터 경제의 도래와 함께 비교적 최근에 그 논의가 시작되어 정부, 기업, 소비자 전문가 그룹간 권리 보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이하므로 소비자 데이터권리의 제도화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이 높다. 또한, 소비자 데이터권리 보장을 위해 기업은 소비자 친화적 데이터권리 보장 방안을 선도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정부는 소비자 데이터 유형별 실질적인 편익과 위험에 기반한 규제 정책을 마련하고 기업의 적극적인 소비자 친화적 데이터권리 보장을 위한 보호 중심의 경직된 개인정보보호 규제 정책보다는 기업의 자율적 활동을 장려하여야 한다. 소비자 또한 데이터 처리와 알고리즘의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는 등 데이터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중장기적 계획 수립과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가 필수적이다. In the data economy, consumers are not simply subject of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in the traditional market economy or industrial economy, but rather take the role of producers and suppliers of resources of data which is a core resource for value cre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consumer sovereignty should also embrace consumers’ identities claiming to share the value created through data resources and economic rights. The expanded consumer sovereignty in the data economy means that in the data economy, consumers are the producers of data, and the data supply and value chain system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ubjective choices of consumers. On the other hand, consumer data types are classified into Personal Information, Consuemr Generated Content Data, Behavior Data and Inference Data in consideration of consumer involvement in data processing and the context of occurrence, and consumer benefits and risks a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data type. Expanded consumer sovereignty in the data economy consists of consumer data literacy and consumer data benefits/risk preferences on the consumer side, and ensurance of consumer subjectivity in data processing and businesses’ transparency/ accountability for data platforms on the market side. In terms of consumer subjectivity in data processing. The components on the market side are embodied in the consumer 10 data rights. The things from consumer subjectivity for data processing are right to data portability, right to data dividend, right not to be discrimiated against automated decision-making, right to blur and right to restrain. The other data rights from business’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for data platforms are right to access, rignt to rectification, right to erasure. right to be informed on data usage, right to be informed on data protec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aspect of utilization rather than the aspec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uch as the right to data dividen and the right to blur, the discussion of consumer data rights to ensure consumer identity has been started relatively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data economy. The importance of social consensu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ata rights is high becaus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rights is different among expert groups. In addition, business should take the lead in considering consumer-friendly data rights guarantee methods in order to guarantee consumer data rights,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regulatory policies based on the practical benefits and risks of each type of consumer data and encourage companies to engage in autonomous activities rather than a rigid protection-oriented privacy policy to ensure business's active consumer-friendly data rights. Consumers also need to strengthen data literac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how data processing and algorithms work.

      • KCI등재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인식

        김인혜 ( Kim Inhye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에서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생산하거나, 기록되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들이 사업자에 의해 수집·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개인정보로 인식하는 수준을 알아보고,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0대에서 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패널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개된 정보와 이용내역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성이, 50대가 아닌 연령대가, 개인정보 보호 행동 점수가 높고,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거나 유출된 적이 없음을 확신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정보를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공개된 정보보다 이용내역정보를 개인정보로 더 높게 인식하였다. 소비자는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더라도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전반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일부 혜택을 제공할 때에도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낮았다. 단, 사업자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고지하거나 동의를 받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하는 경우 소극적 조치를 취할 때보다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높았다. 또한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과정과 범위에 자신의 의사가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입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정보 활용의 과정과 범위에 대한 사실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정보주체인 소비자를 존중하며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stablished Big data Guideline which allows operators to use consumer information. Korean society calls for amending the guideline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vasion of privacy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operators’ using such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ich information consumers perceive as their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usage of information by operators in big data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s the consumers’ percep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usage in big data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with 574 consumers in their teens to 50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highly perceive as their personal information all the information produced in big data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ich they make public and online behavior information. This resul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lated studies. Second, most consumers do not give consent to the operators’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consumers do not accept the usage when operators do not inform on it well, they consent a little more when operators inform on it and get consumers’ consent directly. This result reveals that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big data environment should be careful. Lastly, consumers give their consent to operator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opinion is reflec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information usage. That is why we need to hear the voice of consumers when amending Big data Guideline in Korea.

      • KCI등재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고은경 ( Ko Eunkyong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권리의 필요도와 보장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보장수준에 따라 의료소비자권리는 어떻게 나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이용한 의료서비스에서의 공유의사결정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공유의사결정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의료소비자권리 보장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의료소비자 주권 향상에 기여하고, 의료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20~50대 남녀 소비자 619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실시해,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료소비자권리 중에서 비밀보장권의 보장수준이 가장 높았고, 알 권리, 건강권, 선택권 순으로 잘 보장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불만제기 및 보상받을 권리와 참여권의 보장수준은 낮았다. 둘째, 가장 최근에 이용한 의료서비스에서의 공유의사결정 수준은 3.47점(5점 만점)으로, 소비자와 의료진 사이의 의사소통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유의사결정 수준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소비자적 특성과 의료공급자 측면의 특성만이 공유의사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의료소비자적 특성 중에서는 주관적 소비자역량의 영향력이, 의료공급자 특성 중에서는 소비자친화적 의사 태도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넷째, 의료소비자권리 보장수준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소비자친화적 의사 태도였고, 권리의 필요도, 공유의사결정 수준의 순으로 그 영향력이 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소비자들은 본 연구에서 추가로 제시한 참여권, 안전할 권리, 불만제기 및 보상받을 권리 등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보건의료기본법』 상의 의료소비자권리에 참여권, 안전할 권리, 불만제기 및 보상받을 권리 등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가 치료 대안과 함께 각 대안의 장단점(혜택, 위험, 비용 등)도 함께 설명해야 의료진과 소비자 간 원활한 공유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는 치료 대안과 함께 각 대안의 장단점도 함께 설명하도록 주지시키고, 소비자에게는 의사에게 치료결정과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요구하도록 하는 의료소비자권리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공유의사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에서 소비자친화적 의사 태도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컸는데, 이러한 결과는 공유의사결정 수준 향상을 위해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의료진의 태도 변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환자로서의 권리(건강권, 안전할 권리, 비밀보장권)의 보장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수적이고, 소비자로서의 권리(알 권리, 선택권, 참여권, 불만제기 및 보상받을 권리)의 보장수준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는 평상시 꾸준히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소비자로서의 주관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의료서비스 이용 시 치료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또한 의료공급자는 소비자가 의료서비스 이용 시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소비자친화적 태도를 함양하고, 소비자의 알 권리 충족을 위해 설명의무를 다하며, 소비자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그들의 결정 회피 유인이 제거되도록 돕고, 소비자가 선택권을 충분히 행사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level of healthcare consumer rights need and guarantee, and how healthcare consumer right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guarantee.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level of Shared Decision-making in medical service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and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healthcare consumer rights assuran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f healthcare consumer education. We conducted an internet survey on 619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50s, an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tent of assurance of healthcare consumer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ssurance of confidentiality rights was the highest, and that it was guaranteed in the order of right to be informed, the right to health care without discrimination and to choose. The guarantee level of rights to complain and redress, the right to participate was low. Second, the level of shared decision - making in the most recently used medical service was 3.47 out of 5 point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medical staff is relatively well done. Thir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level of Shared Decision-making showed tha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consumer and medical provider excep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level of Shared Decision-making. Among the healthcare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f subjective consumer competency was the greatest,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 friendly attitude of physician. Fourth,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on the level of assurance of healthcare consumer right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consumer friendly attitude of physician, necessity of rights, and level of Shared Decision-making.

      • KCI등재

        소비자의 상품큐레이션서비스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연주 ( Yoo Yunjoo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상품큐레이션서비스의 등장 이래 시장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현실적인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을 토대로 상품큐레이션서비스를 ‘큐레이터가 선별하여 구성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로 정의하고, 누가, 왜, 어떻게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포괄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83개의 개념, 22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 및 ‘정보 과잉 환경에서 상품큐레이션서비스 이용을 자신에게 맞추어 나감’이라는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상품큐레이션서비스 이용자들은 새로움과 효율성 추구 성향을 가지며 구매하는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았고, 정보 탐색에 대한 부담과 직접 선택에서의 한계와 더불어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기대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 시 다양한 혜택과 문제를 지각했으며 다수는 합리화와 회피를 통해 문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 하였다. 한편 소비자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들을 유형화한 결과, 기대 충족형, 완벽 추구형, 갈등 회피형, 적극 대처형이라는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어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상품큐레이션서비스 이용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소비자의 구체적 경험에 대해 밝혀냈다는 의의를 가진다.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이탈이 손쉬운 서비스 특성상 큐레이터의 전문성보다 새로운 경험을 중시하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명확히 파악해야 하며, 유형별 이용자 특성 및 경험에 맞추어 큐레이션을 통한 신뢰 관계 구축과 이용자 고착화를 위한 전략이 차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Despite the continued growth of curated shopping service market,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insufficient.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who these consumers are, why and how they use curated shopping services. In this study, a curated shopping service is defined, as per the literature review, as an “e-commerce service that provides consumers with products selected by curator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3 consumers an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analysis was “adapting the use of curated shopping services in an information overload environmen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onsumers had a tendency to seek newness and efficiency in their search for information, and that their involvement was high. Due to information overload, consumers felt burdened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online as well as limitations when shopping on their own. Additionally, the expectations of the curated shopping services made people use the services. Additionally, the service users perceived various benefits and problems, and most users attempted to escape from problematic situations through rationalization and avoidance.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participants, four classifications were derived: “satisficer”, “perfect seeker”, “conflict avoider” and “endeavor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rvice providers should clearly set their key values by understanding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the users. Also, the necessity of dividing users by type was raised because of this model of catego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