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버너드 쇼의 합리주의적 종교관과 Saint Joan

        엄태용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2 현대영미드라마 Vol.35 No.3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how Shaw’s rationalistic view of religion was formed, and then at confirming that Life Force and Creative Evolution are Shaw’s religious beliefs theoretically embodied and explaining what the meaning of Superman is, all of which are based on Shaw’s literary works. Another purpose is to show how Shaw’s rationalistic view of religion is converged in his play Saint Joan (1923) so that the oxymoron of its concept can be properly understood. While Shaw recognizes religious creeds which can be understood by reasonable mind, he believes that cosmic forces are spiritual and mental realities such as God, vitality, will, spirit and conscience, which cannot be resolved by reason. Therefore, I regard Shaw’s religious thought as a rationalistic view of religion between deism and pantheism. Life Force is not a tangible material but the spiritual force omnipresent in the univers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world, and morality is embedded in the force. Creative Evolution can be defined as the volitional, progressive, and creative manifestation of Life Force. Superman is the reformer of the world and civilization, who is born through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by Life Force. Superman should appear as a “political Providence” and a form of community of race that will replace the current mankind. Shaw embodies in Saint Joan his faith that a kind of amalgam of religion, morality and rationalism can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humankind. Joan’s rationalistic attitude is clearly revealed not only in her witty refutation against the questions of the rulers but also in her conviction of wearing a soldier’s uniform all the time. In Joan’s rationalistic piety, morality can often be glimpsed, too. Her morality is most intensely expressed on her dying at the stake. Joan can be said to be a hero, genius and sai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she is a Superman, on considering Shaw’s various conditions of Superman. Saint Joan can be regarded as the total figuration of Shaw’s realism in the light of its convergence of morality, rationalism, Life Force and Creative Evolution.

      • KCI등재

        Pygmalion: 볼로쉬노프의 언어철학에 입각한 고찰

        엄태용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0 현대영미드라마 Vol.33 No.2

        Pygmalion: An Analysis Based on Vološinov's Language Philosophy Abstract Eom,Tae-yong(KangwonNationalUniv.) This article is aimed at observing multifaceted signs and analyzing their class attributes and ideological properties in lots of lines of verbal wit in Pygmalion (1912), a Shavian comedy, in the light of the main theories of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by Valentin Nikolaevič Vološinov. Vološinov says that word is the ideological phenomenon par excellence and an individual consciousness is only a tenant lodging in the social edifice of ideological signs. He focuses on the dynamic of parole or utterance rather than langue and emphasizes the ideological multiaccentuality and refraction of a sign in utterance while regarding the sign as an arena of class struggle. The signifier ‘Miss Doolittle’ of Pickering, which affected Eliza's heart deeply, conceals a cunning class ideology where he intends to keep a moderate distance from the lower class. A signifier of Eliza, ‘good girl’, expresses a protesting ideology with connoting a virtuous and independent woman. Two signifiers, ‘undeserving’ and ‘marrying’, of Alfred Doolittle imply the defiant class consciousness rejecting the morality of the middle class. Freddy’s ‘Ahdedo?’ replacing ‘How do you do?’ reflects and refracts an outdated desire of a ruined nobleman. Another signifier of Eliza, ‘lady’, deviates from the way of economic desire slightly through the ideological refraction. The screech of Eliza, ‘Ah—ah—ow—oo!,’ is a signal of primitive and raw feeling which is hardly structuralized ideologically as a sign of ‘I-experience,’ a term of Vološinov. These signifiers suggest that the human properties and the relative autonomy of ideological superstructure exist in the process of the refraction of signs.

      • KCI등재

        피그말리온: 사회언어학적 고찰

        엄태용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영문학연구 Vol.61 No.4

        Pygmalion (1912), a shavian story, not only illustrates the correlation of language and class but also suggests alleviating a linguistic gap between classes and pursuing social equality by virtue of education. This article is aimed to illuminate refreshingly the relation of language, class and social structure, which Shaw intended to represent, by analyzing a variety of linguistic phenomena uttered in Pygmalion. A lot of lines of Pygmalion are appropriate to exemplify the semiology of Saussure dealing with langue, parole, signifier (signifiant), signified (signifié) and arbitrariness of a sign. The aphasia theory of Roman Jakobson, referring to contiguity disorder and similarity disorder, is exemplified in the speeches of Eliza and her father. Kate Fox, William Labov and Peter Trudgill regard pronunciation as the most important linguistic indicator to distinguish classes. The audience can confirm vivid examples by listening to Cockney of Eliza and a Bystander on the street. This drama also illustrates elaborated codes and restricted codes of Basil Bernstein through the speeches of characters of the middle and upper class and those of the lower class. It is highly remarkable that Pygmalion proposed the social correlation of language and class on the stage earlier than the great attainments of linguistic trailblazers.

      • 애자일 기반 정보시스템 시험활동 위한 감리모형 개선연구

        엄태용,김동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정보화 수준향상 및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고자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고객의 요 구사항이 반영된 제품을 고품질로 개발하여 적시에 출시하고자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또한 초기 폭포수모델부터 V모델 방법론까지 다양하게 등장하고 발전해왔다. 최근 가장 이슈화되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생산성 품질을 향상 을 위한 방법으로 애자일이 등장하였으며 애자일은 고객 요구사항을 민첩하게 반영하고 고객에게 최우선 가치를 두고 계획 중심의 전통적인 방법론보다 경량화 되며 반복 점증적인 방식으로 빠르고 유연한 개발을 가능하게 한 다. 그러나 새로 방법론이 등장하였음에도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개발 기간 및 비용이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로인하여 시험활동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해 제품의 품질 저하 및 오작동으로 사용자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애자일 기반 프로젝트의 경우 시험활동에 대한 감리방식이 기존 전통적인 방법론기반의 감리방식과 동일하여 애자일 기반의 방법론에 대한 시험활동 감리를 체계화하여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애자일 기반 프로젝트의 관리 방식, 구축 단계의 진행방식에 대하여 연구하여, 애자일 기반 시험활동에 대하여 시험을 계획하고, 시험케이스를 설계하며, 시험활동을 준비, 시험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활동이 시스템 구축 계획단계부터 이루어 질수 있도록 정보시스템 감리 점검 해설서를 기초로 하여 각 단계에서 필요한 감리 점검 항목을 설계하였다. 감리 전문가 집단 통한 시험 활동 감리의 범위 및 기존 감리 점검 해설서를 기초 로 각 단계별 점검항목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완료하였다. 이를 통해 애자일 기반 시스템의 구축단계에서부터 개 선된 시험 감리 점검항목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시스템과 효율적인 감리가 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와 고객만족을 극대화 할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것이다.

      • KCI등재

        『비사회적 사회주의자』에 나타난 청년 쇼의 정치사회적 고민과 속류 마르크스주의 비판

        엄태용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연구 Vol.55 No.1

        The genre George Bernard Shaw took the first step into as a man of letters is not the play but the novel. Shaw’s five novels have not attracted popular attention, but they already conceived a variety of ideas for many dramas which won him fame as a playwright. However, the domestic studies about Shaw’s novels are too poor, especially considering his literary reputation. As a result, I will introduce and analyze An Unsocial Socialist, expecting more advanced studies regarding his novels forward. Sidney Trefusis, the hero, who is a snobbish socialist dyed with vulgar Marxism as well as a member of the contemporary English ruling class, severely criticizes his father, who grew from a petty merchant to a mammoth capitalist, and his maternal grandfather, who succeeded in being in collusion with capitalists as a peer, based on the theory of exploitation of surplus value. While the surplus value in vulgar Marxism is generally the theoretical base of the revolution of militant class struggles, Trefusis opposes the violent struggles and insists on the dissemination of socialism by means of propaganda and organization. His moderate strategy is seen as a germ of Fabianism, which Shaw decides to devote himself to later. Trefusis is confronted with one problem to figure out how much he should pay his hired man for a fair wage and another problem with the value of artistic genius which is likely to differ from that of ordinary commodities. Probably Trefusis does not know that utility is important in deciding upon the value as well as the quantity of labor is. Shaw describes Trefusis as a snob who sticks to the mechanical cause of vulgar socialism while ignoring human desires and nature. Trefusis disparages fine art as a simple hand-skill but highly appreciates photography, for he aims to reveal the miserable realities of capitalism by taking advantage of photos. In An Unsocial Socialist, the romantic traits of the remaining feudal culture and the anti-romantic elements reflecting the capitalistic realities appear to be mixed, particularly as for love and marriage. Meanwhile, Trefusis tends to expose his patriarchal attitude, regarding ‘unsocial’ women just as the objects of edification. In addition, meticulous readers can notice that this novel includes a faint root of Shavian eugenics and life force, the Shavian New Woman who is not active for social reform, and the background that Show turns his genre into the drama from the novel.

      • KCI등재

        解放政局期 韓國光復軍豫備隊 硏究

        엄태용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3

        본 연구는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을 지지하는 세력으로서 해방정국기에 국내에 창설, 운영되었던 ‘韓國光復軍豫備隊’의 성격에 관하여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광복군예비대는 1972년 서울시청 12호 창고내 금고에서 관련 유물이 대대적으로 발견됨에 따라 그 실체가 공개된 바 있으며 당시 언론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당시 이 유물들의 상당수가 군 기관으로 이관되어 육군박물관에 소장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군복 상하의 1벌과 군모, 완장 각 1점만이 광복군예비대 유물로 공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해방 전후의 관련 사료와 1972년 서울시청 금고 개방 당시 보도된 여러 언론기사 및 서울시 공보실에서 촬영된 사진자료와 함께 그동안 미공개 또는 그 성격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던 육군박물관 소장 광복군예비대 유물을 일괄적으로 정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바탕으로 광복군예비대의 창설과 활동내역, 조직구성 및 운영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 파악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1972년 언론기사 및 사진에 제시된 발견 자료와 육군박물관에 현전하는 유물 목록의 비교를 통해 향후 광복군예비대 유물의 추가적인 발굴 및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 및 육군박물관 소장 유물의 분석을 통해 그동안 실체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던 광복군예비대의 성격에 대하여 밝힌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高麗․朝鮮朝 「貞觀政要」의 刊行에 관한 硏究

        엄태용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9 No.-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ublication of Jeongkwanjeongyo(貞觀政要) which was widely adopted as a textbook for the disciplines of kingship in East Asian kingd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analysed several records about Jeongkwanjeongyo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all the book of Jeongkwanjeongyo owned i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In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book of Jeongkwanjeongyo into six editions. Of that, Goryeomokpanbon(高麗 木板本) and Jeongkwanjeongyojoohae(貞觀政要註解) were sorted into the old edition of Jeongkwanjeongyo before the publication of Gwajikbon(戈直本). Editions published in Sukjong and Youngjo period were also analysed in detail.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帝王學 文獻으로서 폭넓게 강독되었던 「貞觀政要」의 간행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현존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와 조선의 「貞觀政要」와 관련된 文獻 기록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였다. 특히 기왕의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承政院日記」의 내용을 제시하여 英祖代 「貞觀政要」의 간행에 관한 상세한 사실을 파악하였다. 둘째, 「貞觀政要」의 판본을 전수적으로 조사하고 목록화하였으며 각 판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貞觀政要」의 판본을 총 6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중 高麗 木板本, 乙亥字本 「貞觀政要註解」 卷5의 경우, 戈直이 언급한 舊本에 대한 내용을 참조하여 이 두 판본이 戈直本 편찬 이전의 舊本에 가깝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舊本은 현재 대부분 소실된, 吳兢 편집의 原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 미진하게 검토되었던 肅宗代 판본과 英祖代 판본에 대해서도 상세히 검토하였다.

      • KCI등재

        「國朝寶鑑」의 編纂에 관한 硏究

        엄태용,신승운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7 No.-

        This study has analyzed bibliographic pedigre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Gukjobogam (國朝寶鑑), and also examined Sokgukjobogam (續國朝寶鑑).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bliographic pedigree of Gukjobogam have been investigated. The literature of Gieun-che (記言體, a style of writing to describe words), which was based on Sangseo (尙書), has been established as a history book by Jeongkwanjeongyo (貞觀政要) compiled in Tang Dynasty and was further compiled consistently as Song and Ming dynasty were continued by Bohun (寶訓). Gukjobogam was compiled by accommodating chinese Gieun-che history books in institutional and ideological mann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gam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forms of expression, Gukjobogam in Jeongjo Dynasty shows high convenience in search and reading compared to the first three Bogam. When it comes to the contents, many articles related to the basic duties of the state and the disciplines of kings were commonly found, and the others had differing subjects that were emphasized according to the compilation period. Most included articles were taken from Sillok, but Yeongjongjobogam (英宗朝寶鑑) holds relatively many articles with no reference from Sillok. Moreover, a total of 17 articles quoting Sokgukjobogam published in Yeonsangun Dynasty, which is a missing book, were found from Anlakdangjip (顏樂堂集) and Sillok (實錄). 본 연구는 「國朝寶鑑」의 문헌 계통,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고 燕山君代 「續國朝寶鑑」의 실제 간행 여부를 밝히고 失傳된 내용 일부를 복원한 것이다. 첫째, 「國朝寶鑑」의 문헌적 연원이 되는 中國 記言體 史書의 종류와 특성을 살피고 「國朝寶鑑」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尙書」를 시원으로 하는 記言體 史書는 唐 吳兢의 「貞觀政要」의 편찬에 이르러 史書로서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후 「貞觀政要」를 체제적 典範으로 삼아 宋․明代에 「寶訓」이 편찬되었다. 「國朝寶鑑」은 이러한 記言體 史書의 전통을 수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둘째, 체제와 내용적 특징에 있어 각 「寶鑑」이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체제는 존경을 표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改行과 空格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正祖代 편찬본은 이전 「寶鑑」에 비하여 검색과 열람의 편이성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내용에 있어서 대부분의 「寶鑑」은 국가의 기본적 책무 및 군왕의 수신과 관련된 기사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그외 각 「寶鑑」은 편찬된 시대에 따라 내용상 강조 부분이 다르다. 한편 각 「寶鑑」은 대개 「實錄」에서 해당 내용을 취하였지만 正祖代 편찬의 「英宗朝寶鑑」은 「實錄」에서 전거를 가져오지 않은 경우가 비교적 많다. 셋째, 燕山君代 「續國朝寶鑑」의 실제 간행 여부를 밝히고 「顔樂堂集」과 「實錄」에 수록된 逸文을 모아 失傳된 내용 일부를 복원하였다. 그 결과 燕山君代 「續國朝寶鑑」의 간행본이 壬辰倭亂 이전에 존재했음을 밝혔으며 총 17건의 「續國朝寶鑑」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중 11건은 「實錄」에서 대응 되는 전거 기사를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 박물관 평가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엄태용(Tae Yong Eom)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6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는 박물관 통계와 관련한 ISO 18461:2016 - International museum statistics와 박물관 평가지표인 ISO 21246:2019 - Key indicators for museums의 2개 박물관 표준을 발행한 바 있으며 이 표준들은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산하 CIDOC(International Committee for Documentation)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서 작성 및 공개되었다. 본 연구는 ISO 18461을 다룬 기존 연구에 이어 그동안 국내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ISO 21246을 상세히 소개 및 분석하고, ISO 21246과 국내 박물관 평가 지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개선된 박물관 평가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ISO 21246의 전반적 소개에 이어 ISO 18461과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여 박물관 통계 지표와 평가 지표의 연계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편, ISO 21246의 용어 및 정의와 개별 평가 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ISO 21246과 기존의 국내 박물관 평가에 관한 연구 및 평가인증제 지표,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지표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을 토대로 9개 분류 48개로 구성된 초안적 성격의 국내 박물관 평가 지표의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박물관평가 제도 개선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2019년 새롭게 발행된 박물관 국제 표준인 ISO 21246을 국내에 상세히 소개하고 개선된 박물관 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박물관 평가제도의 발전을 위한 보완재로 유용하게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published two museum standards, ISO 18461:2016 - International museum statistics and ISO 21246:2019 - Key indicators for museums,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Committee for Documentation (CIDOC)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ISO 21246 and to derive practical results for the improvement of museum evaluation in Korea by analyzing ISO 21246. ISO 21246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museum indicators, consisting of six clauses and two annexes. Firstly, This study summarized ISO 21246:2019, compared it with ISO 18461, and analyzed terms and its definitions and each evaluation indicator of ISO 21246. Secondly, this study compared ISO 21246:2019 with museum and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other related research. Thirdly, based on that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new museum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museums of Korea consisting of 48 indicators in 9 categories and proposed various recommendations for Korean museum evaluation poli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can usefully function as a complement to Korean museum evaluation policy through examining in detail ISO 21246:2019 which has not been clearly studied in Korea until rec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