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생과 그들 부모의 가치관 비교 연구

        엄경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이화교육논총 Vol.1 No.-

        중학생이라는 시기는 발달단계상 아동기에서 청년기로 접어드는 시기로서 교우관계가 확대되고 자아의식이 싹틈으로 인해서, 부모에게 순종하고 부모의 가치관을 그대로 받아들였던 아동기와는 달리 부모와 다른 생각을 갖게 되고 가정으로부터 점차 이탈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과 그들 부모 사이에는 가치의식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있다면 어느 정도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서울시내 중학교 5개교를 선정하여 학생 450명 학부모 370명을 대상으로 M. Rokeach의 질문지로 가치관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7단계 평정척에 의해 각 문항별로 총점을 계산하고 변인별, 집단간 평균·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점수차를 비교하였으며 각 변인별로 T검증, F검증을 통해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有意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생·학부모 사이에는 상당한 가치관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18개의 궁극적 가치문항 중에서 9개 문항(50%), 18개의 수단적 가치문항 중에서 7개 문항(28.8%)에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순수한 우정」, 「만민평등」, 「자유」, 「과업의 성취」, 「슬기로운 삶」, 「명랑한」, 「남을 잘 돕는」항목 등에서 부모들보다 높은 가치를 두었고 부모들은 「물질적으로 여유있는 생활」, 「건강한 상태가 지속되는 장수」, 「정신·육체적으로 성숙된 사랑」, 「야망있는」, 「성실한」, 「예의바른」, 「책임감있는」문항 등에서 학생들보다 더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좀 더 자주적이고 독립적이며, 남을 도우면서 명랑하게 살기를 원하며, 순수한 우정을 특히 중요시하는 반면, 부모들은 성실하고 예의바르며 자제력있는 생활태도를 더 중시하며, 물질적으로 여유있고 건강하게 장수하는 생활을 특히 더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가정에서 부모-자녀간의 의견충돌의 한 원인이 될 수도 있는데 이 때 부모가 일방적으로 자신의 가치관을 학생들에게 강요한다면 가정에서의 대화는 더욱 단절될 것이다. 오히려 서로의 가치관 차이를 인정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치관을 갖도록 끊임없는 대화와 설득의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매립예정 간척지토양의 잡초발생 양상변화

        엄경란,장윤희,안기홍,차영록,유경단,이지은,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3

        This study was firstly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for the cultivation of bioenergy crops. Each vegetation survey site was approximately 15 m × 3 m on the inside of each experimental plot that consisted of 50% (A-1), 30% (A-2), 15% (A-3), and 5% (A-4) mixture of solidified sewage sludge, and original reclaimed soil (ORS). After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we monitored the changes of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for three years. In first year,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exchangeable Ca 2+ content was 9.4 ~10.8, 9.10~14.41 dS m -1 , and 62.1~204.2 cmol kg -1 , respectively, while three years later, it decreased to 8.1~8.4, 1.65~5.98 dS m -1 , and 21.9~43.1 cmol kg -1 ,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veral of soil chemical elements which have nagative impacts on the plant growth in the plots of mixtures of solidified sewage sludge, steadily declined as the years go by. The vegetations in each survey site were recorded as 6 families and 12 species in 2014, while the vegetations were not occurred at all survey sites in 2012, and only halophytes as Phragmites australis and Suaeda asparagoides were observed in 2013. Diversity of vegetation, which was calculated by shannon index (H’), increased as the season progressed at each experimental plot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In original reclaimed soil, however, there was showed the high community similarity of vegetation due to the fact that P. australis and S. asparagoides were only occurred for survey periods. Keywords : reclaimed soil, solidified sewage sludge, shannon index, vegetation 본 연구는 김포간척지에 속하는 쓰레기 매립예정 간척지에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바이오에너지 ‘거대1호’ 시험재배 포장에서 시기별 발생 잡초종 및 식생변화 분석을통하여 향후 바이오에너지작물의 대규모 재배에 적용할 수있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잡초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본 연구의 시험포장은 김포간척지에 속하여 토양화학성(pH, EC, OM, T-N 등) 및 토성 조사결과, 우리나라간척지에 넓게 분포하는 대표적인 간척지 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2. 각 시험구에 강알칼리성의 하수슬러지 고화물의 처리로 인하여 토양 pH와 EC 및 치환성 칼슘함량이 원지반토에 비하여 급격히 증가하였다. 3. 2012년, 2013년 및 2014년에 각 시험구에서 발생한잡초식생을 관찰한 결과, 2012년에는 전 시험포장에서 잡초의 발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었으나2013년에는 벼과의 갈대(Phragmites australis)와 명아주과의 나문재(Suaeda asparagoides)가 관찰되었고, 2014 년에는 전 시험포장에서 염생식물 이외의 다른 다수의잡초종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4. 포장 조성 후 3년이 경과하여 토양 숙전화가 이루어지며,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6과 12 종의 다양한 잡초의 발생이 확인되어 그 식생 다양성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간척지 원지반토의 경우 갈대및 나문재와 같은 염생식물 이외의 다른 잡초종의 발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시기가 지나도 커다란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유휴 간척지토양에서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 1호의 생육특성 연구

        엄경란,장윤희,안기홍,차영록,유경단,이지은,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3

        This study firstly provide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cultivatable bioenergy grass in barren reclaimed land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a plot containing reclaimed land mix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MSS 50), a plot covered by solidified sewage sludge (CSS 100), and an original reclaimed soil plot (ORS). The growth, biomass production of bioenergy grass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for 5 years. The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both MSS 50 and CSS 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ORS. In bioenergy grasses,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showed an excellent growth and adaptability o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d soil nutrition in the reclaimed land due to the fact that bioenergy crops grew better in soil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an in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had higher OM and T-N content than untreated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is the most suitable biomass feedstock crop for biomass production and that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used as a soil material

      • KCI등재

        국내 수집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 특성

        안기홍,엄경란,이준희,장윤희,이지은,유경단,차영록,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4

        Miscanthus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bioenergy crop for lignocellulosic biomass production. In Korea,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can be found easily in all regions. It is a great advantage to utilize as important species with respect to genetic and cross-breeding programs materials for creation of novel hybrids. For successful breeding programs,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understand the variability of flowering traits among Miscanthus species as breeding parents materials. In this study, flowering traits were observed daily in 960 germplasms of two Miscanthus species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for growing seasons over 2 years. The flowering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T (sprouting time) was recorded when first leaf of the plant emerged on soil. FS1 (flowering stage 1) and FS2 (flowering stage 2) were recorded when flag leaf was firstly observed, and 1 cm of panicle was showing on at least one stem, respectively. For 2013 and 2014, the latest germplasms exerted flag leaf, i.e. September 30 (DOY of FS1 164.1) and September 4 (DOY of FS1 141.0) occurred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and M. sacchariflorus cv. Uram collected from Southern Korea (Jeollanam-do), while Miscanthus germplasms collected from northern Korea (Gyeonggi-do) which emerged the earliest flag leaf in July and August, significantly decreased DOY. For DOY from ST to FS2, M. sacchriflorus germplasms ranged from 140 to 190 days, and 110 to 170 days for 2013 and 2014. The highest frequency showed to 160 days for 2013, and 150 days for 2014. In M. sinensis germplasms, the highest frequency showed to 180 days for 2013, and 170 days for 2014.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the day of years from ST to FS2 for 2013 and 2014, M. sacchriflorus and M. sinensis showed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0.70 and 0.89). It can be supposed that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Miscanthu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unique phenotypic characteristic of native habitat than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urrent planted site. This study for flowering traits of Miscanthus may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in order to expedite the introduction as breeding materials for creation of new hybrid.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유휴 간척지토양에서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 1호의 생육특성 연구

        안기홍,장윤희,엄경란,유경단,이지은,차영록,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3

        This study firstly provide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cultivatable bioenergy grass in barren reclaimed land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a plot containing reclaimed land mix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MSS 50), a plot covered by solidified sewage sludge (CSS 100), and an original reclaimed soil plot (ORS). The growth, biomass production of bioenergy grass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for 5 years. The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both MSS 50 and CSS 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ORS. In bioenergy grasses,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showed an excellent growth and adaptability o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d soil nutrition in the reclaimed land due to the fact that bioenergy crops grew better in soil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an in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had higher OM and T-N content than untreated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is the most suitable biomass feedstock crop for biomass production and that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used as a soil material

      • 불임성 억새 품종육종을 위한 종별 개화 특성 및 임성 분석

        안종웅,안기홍,김석,장윤희,엄경란,유경단,문윤호,차영록,윤영미,양정우,최인후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억새(Miscanthus spp.)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대표적인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로 다년생 C4 식물이며 배수성이 다른 유전자원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자연 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해 종자번식 억새의 재배 를 규제하고 있어 불임성 억새 품종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국내 수집 1,500여 종의 유전자원 중 재배년수가 비슷한 물억새 518점, 참억새 297점 등 총 815점을 대상으로 불임성 억새품종 육종에 필요한 종별 개화 특성을 조사 하였다. 억새의 자가불화합성은 물억새 3종, 참억새 3종 및 3배체 억새 이삭에 봉지를 씌워 개화 후 이삭의 지경수, 총영수 및 결실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억새 유전자원의 개화기(FS3)까지의 전체 생육일수 210일에서 220일 사이 에 개화하는 물억새는 전체의 80% 이상, 참억새는 56%였다. 또한 억새 유전자원의 자가불화합성을 검토한 결과, 자연수분 조건에서 참억새의 임실률은 45.7%인 반면, 봉지를 씌운 참억새의 임실률은 8.3%로 매우 낮았다. 한편, 2배체 참억새와 4배체 물억새 종간 교잡종으로 알려진 3배체 억새는 자연수분 조건에서도 임실률이 0.9%로 매우 낮아 기존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국내 수집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 특성

        안기홍,엄경란,이준희,장윤희,이지은,유경단,차영록,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4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외로부터 1,200 여점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재배연수가 3년 이상인 유전자원 960여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억새의 주요 생육기간 동안인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 및 출수일까지의 생육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억새의 맹아가 진행되는 4월초부터 생육말기인 11월까지의 2013년도 평균기온은 19.1°C이었고, 2014년의 평균기온은 13.9°C로 관측되었다. 평균 강수량 및 누적 강수량은 2013년에 3.8 mm와 921.0 mm 이었으며, 2014년에는 4.5 mm와 1092.5 mm 이었다.2. 2013년 및 2014년 3월초부터 11월말까지의 지표로부터10 cm 이내의 평균 토양수분 조사결과, 2013년에는 24.9% 이었으며 2014년에는 32.2%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3 년에는 3월초부터 8월 20일까지 20.7%의 평균 토양수분을 나타낸 반면, 2014년 동일시기의 평균 토양수분은31.7%로 나타났다. 3. 수집지역별 억새 유전자원의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까지 평균 생육일수를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에서 수집한억새 유전자원의 평균 생육일수가 가장 짧았으나 남부지역으로 내려갈수록 평균 생육일수가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2014년도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2년간의 조사결과, 전남지역에서 수집한 물억새 중에서거대 1호(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및우람억새(M. sacchariflorus cv. Uram)는 지엽전개가 가장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맹아일로부터 소요되는 생육일수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나, 타 억새종에 비하여 영양생장기간이 긴 것으로 판단된다. 5. 2013년도 맹아일로부터 출수일까지의 생육일수와 2014 년도 생육일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물억새 유전자원의 경우 상관계수(r)가 0.70으로 나타났으며, 참억새 유전자원은 0.89로 나타나 2년간의 생육일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 2014년에 비하여 2013년도 출수가 지연된 요인으로는높은 기온, 낮은 강수량 및 토양수분의 영향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3년 이상 동일조건에서 재배한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일수는 수집지역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특성은 현재 재배지역의 환경적 요인보다 자생지에서 다년간 적응되며 나타난 고유한 유전자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Miscanthus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bioenergy crop for lignocellulosic biomass production. In Korea,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can be found easily in all regions. It is a great advantage to utilize as important species with respect to genetic and cross-breeding programs materials for creation of novel hybrids. For successful breeding programs,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understand the variability of flowering traits among Miscanthus species as breeding parents materials. In this study, flowering traits were observed daily in 960 germplasms of two Miscanthus species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for growing seasons over 2 years. The flowering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T (sprouting time) was recorded when first leaf of the plant emerged on soil. FS1 (flowering stage 1) and FS2 (flowering stage 2) were recorded when flag leaf was firstly observed, and 1 cm of panicle was showing on at least one stem, respectively. For 2013 and 2014, the latest germplasms exerted flag leaf, i.e. September 30 (DOY of FS1 164.1) and September 4 (DOY of FS1 141.0) occurred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and M. sacchariflorus cv. Uram collected from Southern Korea (Jeollanam-do), while Miscanthus germplasms collected from northern Korea (Gyeonggi-do) which emerged the earliest flag leaf in July and August, significantly decreased DOY. For DOY from ST to FS2, M. sacchriflorus germplasms ranged from 140 to 190 days, and 110 to 170 days for 2013 and 2014. The highest frequency showed to 160 days for 2013, and 150 days for 2014. In M. sinensis germplasms, the highest frequency showed to 180 days for 2013, and 170 days for 2014.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the day of years from ST to FS2 for 2013 and 2014, M. sacchriflorus and M. sinensis showed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0.70 and 0.89). It can be supposed that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Miscanthu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unique phenotypic characteristic of native habitat than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urrent planted site. This study for flowering traits of Miscanthus may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in order to expedite the introduction as breeding materials for creation of new hybrid.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유휴 간척지토양에서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 1호의 생육특성 연구

        안기홍,장윤희,엄경란,유경단,이지은,차영록,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3

        This study firstly provide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cultivatable bioenergy grass in barren reclaimed land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a plot containing reclaimed land mix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MSS 50), a plot covered by solidified sewage sludge (CSS 100), and an original reclaimed soil plot (ORS). The growth, biomass production of bioenergy grass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for 5 years. The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both MSS 50 and CSS 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ORS. In bioenergy grasses,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showed an excellent growth and adaptability o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d soil nutrition in the reclaimed land due to the fact that bioenergy crops grew better in soil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an in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had higher OM and T-N content than untreated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is the most suitable biomass feedstock crop for biomass production and that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used as a soil material for cultivation of bioenergy grass on reclaimed lands. Keywords : cellulosic bioenergy grass, barren reclaimed land, biomass production, 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soil cover material 본 연구는 매립예정 유휴간척지 토양에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시험구 및 간척지 토양에서 적응성이 높은 바이오에너지작물을 선발하여 간척지 토양을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의 재배와 바이오매스 생산 가능성에 대한기초자료를 얻고자 5년간 재배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매립예정 간척지 토양에 하수슬러지 고화물 처리는 바이오에너지작물의 생육에 있어서 토양양분 공급과 토

      • KCI등재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억새 가해 해충 이화명나방 유충 월동양상

        안기홍,유경단,양정우,장윤희,엄경란,김석,차영록,윤영미,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4 한국작물학회지 Vol.59 No.3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wa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 of rice for the 1960sand 1970s in Korea. Recently, it is newly recognized as apotential risk factor to the biomass yield of bioenergy crops. The current research was firstly conducted to investigateoverwintering larvae population density and pattern of ricestem borer attacking 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1 which is referred to as an ideal lignocellulosic bioenergycrop in Korea. Population density of larvae per 1 m2 in stemsand rhizomes at the Miscanthus experimental plots andrates of damage (wormhole, abscission) of M. saccharifloruscv. Goedae 1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2012 to March2013. The population of larvae per 1 m2 in stems of Miscanthuswere 23, 4, 1, and 1 in October, November, December2012, and January 2013, respectively. Over the same period,the population of larvae in basal stem rots and rhizomeswere increased, whereas decreased in stems. Interestingly,the positions of larvae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wereconfirmed to 5~10 cm below the soil surface such as basalstem rot and rhizome, whereas the most common overwinteringposition known in rice is a part of stem on the ground suchas rice straw and rice stubble. It would suggest that thelarvae gradually moved to bottom of stems and rhizomesin soil in line with decline in temperature. Moreover, thedamage rates of stems per 1 m2 were up to more than 50%in some places. In conclusion, this might be the first reportthat rice stem borer could affect the productivity of biomassof Miscanthus in case of mass cultivation. Moreover, it shouldbe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in insect control managementfor this bioenergy feedstock and other related c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