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유두부 십이지장 표재성 상피 종양의 내시경 치료

        양효준 ( Hyo-joon Yang ) 대한소화기학회 202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7 No.4

        Superficial nonampullary duodenal epithelial tumors are considered rare but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endoscopic treatment for the lesions are also increasing. An endoscopic resection can be considered for duodenal adenoma and mucosal cancer. The choice of resection method should be made based on the size of the lesion, endoscopic findings, pathologic diagnosis, and risk of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 For small adenomas <10 mm in siz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cold snare polypectomy, and underwater EMR can be considered. An en bloc or piecemeal resection using EMR or underwater EMR can be selected for 10-20 mm sized adenomas. For lesions ≥20 mm in size or suspicious for mucosal cancer, a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llowed by closure of the mucosal defect conducted by an experienced endoscopist is appropriate. (Korean J Gastroenterol 2021;77:164-170)

      • KCI등재

        조기위암 내시경 절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오랜 질문, 명확한 답변

        양효준 ( Hyo-joon Y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1 No.6

        우리나라는 국가 암 검진을 통하여 위암의 다수가 조기위암의 형태로 발견되고 있으며, 림프절 전이의 위험이 없는 조기위암에 대해 내시경 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내시경 절제 후 남겨진 위점막에서 새롭게 위암이 재발할 위험이 10년간 20%를 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가 이러한 재발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으나, 이를 살펴본 두 개의 무작위 임상 시험은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위암 환자에서 이미 발생한 위점막의 위축과 장상피 화생은 헬리코박터 제균 후에도 호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point of no return” 개념은 헬리코박터 제균이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조기위암의 내시경 절제술 후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제균 치료가 이시성 위암의 재발과 위점막의 위축 및 장상피화생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 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조기위암 혹은 고도 이형성 선종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받은 470명의 환자를 등록하여 위전정부 점막 위축의 병리학적 등급에 따라 층화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군 혹은 위약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군은 amoxicillin, clarithromycin, proton pump inhibitor 3제 요법을 1주간 투여받았으며, 제균 실패 시 추가 제균 치료는 받지 않았다. 두 개의 일차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첫째로 두 군 간에 내시경 절제 후 1년 혹은 이후에 진단되는 이시성 위암 발생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둘째로 두 군 간의 3년째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위 체부 소만의 점막 위축이 한 등급 이상 개선되는 비율을 비교하였다. 이차 결과로는 두 군 간의 이시성 위선종의 발생률과 전체 사망률의 차이를 각각 알아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총 396명이 modified intention-to-treat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중간 추적 기간 5.9년(사분범위 4.0-8.2년, 최대 기간 12.9년) 동안 이시성 위암의 발생률이 위약군의 13.4% (27/202)와 비교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군은 7.2% (14/194)로 의미 있게 낮았다(위험도, hazard ratio, 0.5; 95% 신뢰구간, 0.26-0.94; p=0.03). 치료군에서 3제 요법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율이 80.4% (154/194)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제균 3개월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상태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이시성 위암의 발생률은 지속 감염 환자군의 14.5% (32/228)와 비교하여 제균 환자군 5.4% (9/167)로 역시 의미 있게 낮았다(위험도, 0.32; 95% 신뢰구간, 0.15-0.66; p=0.002). 추적 3년째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327명을 분석하였을 때 위 체부 소만의 점막 위축이 한 등급 이상 개선되는 비율이 위약군의 15.0% (23/153)와 비교하여 치료군은 48.4% (76/157)로 유의하게 높았다(우도비, odds ratio, 5.30; 95% 신뢰구간, 0.308-9.13; p<0.001). 또한 위체부 소만의 장상피 화생이 한 등급 이상 개선되는 비율도 위약군의 18.3% (30/164)와 비교하여 치료군은 36.6% (59/161)로 유의하게 높았다(우도비, 2.58; 95% 신뢰구간, 1.55-4.30; p<0.001). 이외에 체부 대만이나 전정부에서는 점막 위축과 장상피 화생의 개선 정도가 두 군 간에 비슷하였다. 또한 이차 결과로서 이시성 선종의 발생과 전체 사망률에 있어서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치료 약제에 의한 부작용은 치료군 42.0%로 위약군 10.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모두 입맛의 변화, 설사, 어지러움과 같은 경미한 부작용이었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 KCI등재

        아스피린 및 항응고제 복용 환자에서 소화성궤양 출혈의 치료

        양효준 ( Hyo-joon Yang ) 대한소화기학회 202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6 No.5

        Antiplatelet and anticoagulation agents are increasingly prescribed for secondary prophylaxis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hese drug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cluding peptic ulcer bleeding. It is difficult to decide when to restart the agents after peptic ulcer bleeding in these patients because the risk of rebleeding and thromboembolism should be balanced. The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revised the guidelines for drug-induced peptic ulcers as evidence-based guidelines using a de novo process. This paper introduces new recommendations on the resumption of antiplatelet and anticoagulation agents after peptic ulcer bleeding based on the revised guidelines for drug-induced peptic ulcers. (Korean J Gastroenterol 2020;76:242-245)

      • KCI등재후보

        한국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치료 근거 기반 임상 진료 지침 개정안 2020

        정혜경 ( Hye-kyung Jung ),강승주 ( Seung Joo Kang ),이용찬 ( Yong Chan Lee ),양효준 ( Hyo-joon Yang ),박선영 ( Seon-young Park ),신철민 ( Cheol Min Shin ),김성은 ( Sung Eun Kim ),임현철 ( Hyun Chul Lim ),김지현 ( Jie-hyun Kim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3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s worldwide. Although its incidence is gradually decreasing, about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still get infected. H. pylori infection is responsible for substantial gastrointestinal morbidity worldwide. It is the most common cause of gastric and duodenal ulcers as well as gastric cancer. Since the revision of the H. pylor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2013,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has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use of classical triple therapy, wherein amoxicillin, clarithromycin, and proton pump inhibitors are administered, for 7 days. According to a nationwid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released in 2018, the intention-to-treat eradication rate was only 63.9%, which was due to increased antimicrobial resistance induced by the use of antibiotics, especially clarithromycin. The updat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reatment of H. pylori was developed based on evidence-based medicine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The draft recommendations were finalized after expert consensus on three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indication for treatment and eight recommendations on the treatment itself. These guidelines are designed to provide patients, nurses, medical school students, policymakers, and clinicians with clinical evidence to guide primary care and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These may differ from current medical insurance standards and will be revised further, if necessary, based on research-based evidence. (Korean J Med 2021;96:160-189)

      • KCI등재

        약제 연관 소화성궤양의 임상 진료지침 개정안 2020

        주문경 ( Moon Kyung Joo ),박찬혁 ( Chan Hyuk Park ),김준성 ( Joon Sung Kim ),박재명 ( Jae Myung Park ),안지용 ( Ji Yong Ahn ),이봉은 ( Bong Eun Lee ),이정훈 ( Jeong Hoon Lee ),양효준 ( Hyo-joon Yang ),조유경 ( Yu Kyung Cho ),방창 대한소화기학회 202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6 No.3

        The Korean guidelines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induced peptic ulcers were previously developed under co-work with the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and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t 2009. On the other hand, the previous guidelines were based mainly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s. Therefore, the guidelines need to be revised. In this study, a guideline development committee for drug-induced peptic ulcers was organized under the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in 2017. Nine statements were developed, including four for NSAID, three for aspirin and other antiplatelet agents, and two for anticoagulants through de novo processes based on evidence-based medicine, such as a literature search, meta-analysis, and the consensus was established using the modified Delphi method. The primary target of this guideline was adult patients taking long-term NSAIDs, aspirin, or other antiplatelet agent and anticoagulants. The revised guidelines reflect the consensus of expert opinions and are intended to assist relevant clinicians in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rug-induced peptic ulcers and associated conditions. (Korean J Gastroenterol 2020;76:108-1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