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만해 용운선사 『불교대전』의 교의적 성격

        양은용 ( Yang Eun Yo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0 No.-

        한국근대 불교는 격변하는 사회상황 아래서 개혁사조를 띄고 있다. 이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만해 용운(萬海龍雲, 1879~1944)선사이며, 그에게는 개혁 이념서로 『조선불교유신론』(1910 탈고, 1913 출간)과 신행 지침서로 『불교대전』(1914) 등 많은 저술이 전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 『불교대전』의 성립과 구조를 분석하여 교의적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으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대전』은 한국에서 처음 편찬된 불교성전으로, 근대 불교개혁사조를 이끌어나간 상징적인 작품이다. 만해선사의 『조선불교유신론』이 그 실천이념을 밝힌 것이라면, 이 『불교대전』은 신행(信行)을 이끌어나갈 지침서이며, 이들은 같은 시대에 이루어져 상호관련을 가지고 있다. 둘째, 『불교대전』의 편찬에 앞서 만해선사는 일본을 방문하여 불교계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며, 난조 분유(南條文雄)·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불교성전(佛敎聖典)』(1905)의 영향을 받고 있다. 즉 경전 인용의 형식 등에서는 같은 점이 보이나, 내용구성의 체계 등은 독자성이 확연하다. 셋째, 『불교대전』은 전권을 9품으로 구성하여 경·율·론 삼장에 걸친 경전 439종 1,711회의 인용으로 편찬하고 있다. 이들은 한결같이 한국에서 유행한 경전으로, 『고려대장경』 1,511부 6,802권을 열람하여 금구(金句)를 채록하고 해석·현토한 것이다. 넷째, 『불교대전』은 불·법·승 삼보의 신앙체계를 중심으로 사회구제인 포교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경전을 직접 인용한 품·장·절 61항을 마련하여 각각 소제목을 주고 있는데, 이들 소제목을 살피면 만해선사의 편찬의도인 교의적 성격이 드러난다. 다섯째, 『불교대전』은 편찬출간 이후 불교의 사회적 위상을 고양시키는 한편 불교전적의 찬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는 현재까지 성전으로서의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The modern Korean Buddhism reflected a reformative trend under the violent change of social situation at the times. Seon Master Manhae Yong - un(萬海龍雲, 1879~1944) was one of the most famous pioneers. His main texts, among many writings, the reformative ideological book Joseon bulgyo yusillon(朝鮮佛敎維新論 Revit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mpletion of a manuscript 1910, publication 1913) and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guide book, Bulgyo Daejeon(佛敎大典 The Great Summary of Buddhism, 9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doctrinal character of Bulgyo Daejeon by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structure of Bulgyo Daejeon as follows: Firstly, the Bulgyo Daejeon(佛敎大典) is the first Buddhist canon of it``s kind published in Korea which symbolically led the reform trend of modern Buddhism. The Joseon bulgyo yusillon(朝鮮佛敎維新論) explains the practical ideology while Bulgyo Daejeon(佛敎大典) is a guideline that leads the Buddhist faith and practice. Accordingly, both texts are deeply inter - related each other as they are published at the same period. Secondly, Master Manhae visited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specifically the Buddhist situation there before his writing about the Bulgyo Daejeon(佛敎大典). Maybe he was influenced by Nanjo Bunyu (南條文雄)·Maeda eun (前田慧雲) who edited the Bukkyo shoten(佛敎聖典 1905). Even though the qu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he Bulgyo Daejeon is similar to the that of Bukkyo shoten in terms of format, the structure of contents in the Bulgyo Daejeon``s is clearly independent. Thirdly, the Bulgyo Daejeon consists of 9 chapters and edited by quoting all sutra - pitaka (sermons collection) across sutra, vinaya, sastra (經律論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It mentions about 439 scriptures, 1,711 timesof them. All the scriptures were very popular ones here in Korea. Master Manhae persued 1,511 sections, 6,802 rolls of the Goryeo daejang gyeong(高麗大藏經 Korean Buddhist Canon) and interpreted them in detail. Fourthly, the Bulgyo Daejeon connects directly the faith system centered on the Three Treasures(三寶;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amgha) to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social salvation. Master Manhae arranged the directly quoted 61 articles of chapter·division·section from Buddhist scriptures and gave each subtitle to them. These subtitles clearly explain the intention of Master Manhae and also show the doctrinal character he intended. Fifthly, the Bulgyo Daejeon has enhanced the social status of Buddhism and also influenced greatly to the editing of many Buddhist texts. In addition to that, the Bulgyo Daejeon still keeps it``s vitality as holy text in Buddhism up to the present.

      • KCI등재
      • KCI등재

        『화랑세기(花郞世紀)』를 통해 본 선(仙)사상

        양은용(Yang Eun 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본고는 김대문(金大問, ?-704-?)의 『화랑세기(花郞世紀)』를 통하여 화랑도의 조직과 활동, 그리고 그 선(仙)사상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선사(仙史)」로 불리는 이 책은 일실되었다가 1989년에 발굴되어 서지적 검토와 함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의 내용은 『삼국사기』 등의 사서에 나타난 역사적 사항과 일치하며, 화랑도에 관한 다양한 사실을 전해준다. 이를 중심으로 밝혀온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랑세기』는 신라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風月主) 32명의 전기(傳記)이다. 1세 위화랑(魏花郞)랑에서 32세 신공(信功)까지이며, 저자 김대문은 위 화랑에서 부친인 28세 오기(吳起)까지 대를 이은 풍월주로, 오기가 남긴 「세보(世譜)」를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둘째, 화랑조직은 법흥왕대의 원화(源花)제도를 원류로 하며, 진흥왕(540-576)의 등극과 함께 모후 지소(只召)태후의 뜻에 따라 남자조직으로 설치된다. 이후 권력의 흐름에 따라 부침이 일어나며 진흥왕 12년(568)과 29년(576)에 원화제도가 부활되고 있는데, 『삼국사기』는 576년조에 전후의 사항을 찬집(撰集)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8세 문노대에 이르러 풍월주와 부제(副弟) 휘하에 좌‧우‧전 대화랑의 3개대로 구분되는 등의 제도가 확립된다. 이는 도의교육․군사훈련, 심신수련․예악가무, 물자관리․제례공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특성을 보인다. 셋째, 27세 풍월주 흠돌(欽突)은 이후 화랑도조직을 좌우하는 권력을 가지며 결국 모반을 일으키는데, 호성(護城)장군이 된 오기가 모반계획을 알아내어 이를 평정하며, 이를 계기로 화랑도조직을 군부에 소속시킨다. 아마 효성왕 9년(704) 경영(慶永)의 모반사건의 한 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화랑도는 지방조직 등이 있어 결국 부활을 가져온다. 넷째, 화랑도는 풍월도(風月道)‧화랑도(花郞道)‧선도(仙道)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도교의 선과는 무관하다. 최치원(崔致遠)이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유․불․도 삼교를 포함․초월하는 성격으로 본 것은 적실하며, 호국사상의 바탕 위에 홍익인간(弘益人間)․광명이세(光明理世) 등 전통 고유사상의 신라적 전개라 할 수 있다. 화랑의 존재는 진흥왕 12년(551)에 팔관회(八關會)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천하태평을 기원하는 흐름이 고려시대까지 이어지는데, 그 가운데 사선악부(四仙樂部) 등으로 그 정신이 계승된다.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organization, activities and thoughts of the Hwarang Corps (hwarang-do) through the Hwarangsegi (Records of Hwarang’s Generation) written by Kim Dae-mun (?~704-?). This book, called Seonsa (History of Seon), was lost once and discovered in 1989. It was studied in various ways along with a bibliographic examination. The contents correspond to historical details in historic books such as the Samguksagi(History Records of Three Kingdoms), delivering a variety of facts about the Hwarang Coprs. It can be summarized, focusing on these particulars,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Hwarangsegi is a biography of 32 Pungwoljus (master of the wind and moon) who were heads of the Hwarang Corps in the Silla Dynasty. It covers the period from Wihwarang in the first generation to Sin’gong in the 32nd generation. The writer, Kim Dae-mun, was a son of Ogi in the 28<SUP>th</SUP> generation whose ancestors had descended as pungwolju since Wihwarang. Kim Dae-mun wrote it based on the Sebo (world geneology) that had been written by Ogi. Second, the organization of the Hwarang originates from the Wonhwa (original flower) system in the time of King Beopheung. With King Jinheungs’ (540-576) ascent to the throne, and, according to his mother, Jiso’s intention, it was changed into a male organization. Hereafter, depending on power struggles, there were many vacillations and much volatility. The Wonhwa system was revived in 12<SUP>th</SUP> year (568) and 29<SUP>th</SUP> year (576) of King Jinheung. The Samguksagi compiled the details around 576. At the time of Munno in the 8<SUP>th</SUP> generation, a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it wa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corps of the great Hwarang such as Jwa, U, and Jeon under the Pungwolju and his associate. Those corps had responsibilite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morality and military training; physical and mental cultivation, and also learning and training in music such as singing and dancing; and the management of supplies and ritual offerings. Third, the 27<SUP>th</SUP> Pungwolju, Heumdol, attained the power to deal with the Hwarang system and raised a rebellion. Ogi, who became a general to protect castles, found out about the rebellion plan and suppressed it. Since then, as a result of this event the Hwrang-do organization was included withing the military. Maybe this was partly due to the event of Gyeong’yeong’s rebellion in the 9<SUP>th</SUP> year (704) of King Hyoseong. As the Hwarang-do featured a local organizational structure, finally it was revived. Fourth, the Hwarang-do is referred to in various ways such as Pungwol-do and Seon-do,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Seon in Daoism. It was proper that in his Preface to the Stele of Nan’rang, Choe Chi-won opined that the Hwarang-do not only included but also transcended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e Hwarang-do ideology, based on the thoughts of protecting the nation, incorporated perspectives prevailing during the Silla Dynasty such as promoting the welfare of people and ruling in an enlightened manner. The existence of the Hwarang can be traced back to Palgwan-hoe (eight ritual meeting) in the 12<SUP>th</SUP> year of King Jinheung (551), etc. As the tradition of seeking peace in the world flowed to the Goryeo Dynasty, the Hwarang’s spirit was embraced by Saseon-akbu (music division of four Seons).

      • KCI등재

        고운 최치원의 생애와 사상

        양은용(Yang Eun 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39 No.-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857-?)은 동국문학(東國文學)의 조종(祖宗)으로 받들리는 인물이다. 그는 나‧당 말기의 혼란과 변혁을 겪는 사회상황 아래서 양국을 오가는 생애를 살았다. 본고는 이러한 고운의 생애에 유의하면서 유적과 사상을 스토리텔링 등 문화콘텐츠화의 방향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그 가운데서 특히 한반도의 서부축에 위치한 유적에 주목하고자 한다. 고운의 문명은 재당(在唐)시절에 이미 널리 드러나 있었고, 그의 사상은 풍류도(風流道)의 이해에서 보는 것처럼 한국고유의 문화풍토 아래 수용된 유 ․ 불 ․ 도 삼교사상을 회통하며 창의적으로 섭렵하고 있다. 그에 관련된 유적은 여러 곳에 남아 있는데, 이들을 정리하면 근무지 및 주처 7곳, 작품의 연고지역 9곳, 영정의 봉안처 19곳, 배향한 유적 27곳이며, 이 밖에도 여러 설화지역 등이 있다. 배향한 유적 27곳 중에 1900년 이전에 건립된 9곳을 제하면 무려 18곳이 100년 미만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2000년 이후에 건립된 한국의 고운도서관과 중국의 고운기념관의 예는 그에 관련된 유적인 매우 역동성을 띄고 건설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들 유적을 스토리텔링 등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관련해 보면, 국내유적은 동부축과 서부축으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부축은 함양-산천-거창-진주-하동-남해-합천(가야산)-청도-마산-부산(해운대)-양산-고령-경주-대구-의성-김천-문경-영주-안동-영덕-울진-통천(금강산) 등으로 이어져 있고, 서부축은 신안-광주-순창-정읍-김제-익산-군산-서천-보령-홍성-예산-서산-화성-한양(서울)-포천-개성 등으로 이어져 있다. 동부축이 신라왕경인 경주와 가까워 유적이 산재해 있으므로 하나의 선으로 묶기 어렵지만, 서부축은 군산의 탄생설화지와 그 남‧북의 정읍‧서산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비교적 가지런히 묶어낼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고운은 경주 최씨의 시조로 받들리는데, 사촌인 최언휘는 전주 최씨의 시조로 받들리고 있어서 흥미를 끈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에서 고운도서관과 고운기념관을 개관하고, 그에 관한 전시회가 개최되는 것은 문화콘텐츠화를 중심으로 보면, 「소(素)의 확대(OSMU)」방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