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민주도형 아카이빙 활동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 사례 연구

        양월운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As the concept of local autonomy and residents autonomy spread, the Urban Village Making project, which has been in operation nationwide since late 1990, was used as ‘creating villages’and ‘growing villages’, but now its scope has been expanded to ‘cultural cities’ and “~Daum.” While the Urban Village Making project was led by ordering agencies as a government-led project for the majority of existing urban regeneration or regional projects, the budget support is a resident-led project that is receiv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but is carried out by residents in the region from the stage of planning and public offering to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As residents participate from the initial public offering stage, the Urban Village Making project is well-represented by the identity or character of the area, and as local residents work together on the village project, it can bring about expected effects such as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of the village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industry.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the cultural industry and spiritual culture began to emerge, the early the Urban Village Making project, which were not merely scenic projects, were recently introduc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cluding the creation of village communities, the strengthening of local capabilities, and the operation of training program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background, progress, and examples of Urban Village Making project, check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s of the community-led project through the elicitation of the village’s storytelling elements, and explore the ability to link local cultures. 지방자치, 주민자치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1990년 후반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마을만들기’, ‘마을가꾸기’ 으로 사용되어지다가 현재는 ‘문화도시’, ‘~다움’ 등으로 그 영역이 확되되어지고 있다. 마을만들기 사업은 기존 도시재생이나 지역사업들 대다수가 관주도형 프로젝트로 발주기관에서 주도했던 것에 반해 예산지원은 정부기관 및 지자체에서 받되, 사업 기획 및 공모단계에서부터 수행 전반에 이르기까지 해당 지역 주민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가는 주민주도형 프로젝트이다. 주민이 공모단계에서부터 참여하기 때문에 마을만들기 사업은 그 지역의 정체성이나 성격이 잘 드러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이 함께 마을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따라 마을의 연대성 강화 및 문화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문화산업 육성 및 정신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경관 사업에 그치지 않았던 초창기의 마을만들기 사업은 최근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역역량강화 및 양성프로그램 운영 등 더욱더 그 지역의 특색이 잘 드러나는 사업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등장 배경과 진행 상황 및 사례를 분석하고, 마을의 스토리텔링적 요소들에 대한 도출을 통하여 주민주도형 프로젝트의 중요성과 시사점에 관해 확인해보고 지역문화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만화가 컬렉션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정리․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양월운,김연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2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4

        Content called ‘cartoons’ can be said to b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content. As a fictional character draws information as a scene with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the visual effect is very large compared to reading a record consisting of only text. Therefore, in the past, cartoons were merely tools for fun, but today’s cartoons are demonstrating their value as information resources by showing excellence in content delivery, ripple power and professionalism. While research on cartoons is actively conducted, research on cartoonists is rather incomplete. Even a search based on the keyword ‘cartoonist’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results in less than 1/3 of the search results for ‘cartoon’.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we need to look at ‘cartoonists’ as creators of records. ‘Creator’ refers to a person responsible for producing, preserving, and maintaining ‘records’. In the InterPARES Project, ‘author’ is defined as a person or institution with authority and ability to produce records. Then, wouldn’t it be necessary to study the ‘manga artist’ who produced the record of ‘Catoonist’ and the related ‘publisher’ or ‘editor’? In particular, if ‘Cartoon’ is collected from private record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production context of ‘why’, ‘for what’, and ‘how’ the records were produced, a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o the producer is. In this research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the archiving arrangement and classification method for cartoonists from the point of view of story communicators who convey information and producers of ‘Cartoon’. ‘만화’라고 하는 콘텐츠는 내용전달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만화는 가상의 캐릭터가 ‘정보’를 표정과 몸짓을 담아 장면과 함께 ‘칸’ 단위로 상황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을 이끌어 나간다. 때문에 ‘텍스트’로만 구성된 기록을 읽는 것에 비해 높은 시각적인 효율성으로 많은 영역에서 만화, 카툰, 애니메이션, 웹툰 등의 ‘콘텐츠’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단순 쾌락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의 ‘만화’는 내용 전달력, 전파성 및 파급력 그리고 전문성 등에서 우수성을 드러내며 ‘정보자원’으로써 아카이빙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반면, 이러한 만화를 제작한 ‘만화가’에 대한 연구는 ‘만화’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 미비한 편이다. ‘만화가’라는 키워드로 검색에 도출된 결과로는 도서자료 234건, 학위논문 19건, 연속간행물 및 학술기사 243건, 멀티미디어 12건, 국회 자료 6건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만화+가’라는 뜻의 ‘가’라고 하는 접속사가 접미된 키워드일 뿐, 실제 ‘만화가’와 관련된 자료는 에세이, 수필집 등의 도서자료를 포함하여 전체의 1/3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2022.4.30. 기준 국회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한 결과임) 기록관리 측면에서 ‘생산자’는 ‘기록’을 생산․보존․유지하는 책임이 있는 자를 뜻한다. 특히, InterPARES Project에서 ‘author’에 대하여 기록을 생산하는 데 있어 권한과 능력을 가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만화’라는 기록을 생산한 ‘만화가’와 그와 관련된 ‘출판사’ 또는 ‘담당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특히, 민간기록에서 ‘만화’를 컬렉션한다면, 해당 기록이 ‘왜’, ‘무엇 때문에’, ‘어떻게’ 생산되었는지 생산맥락에 대해 정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생산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기록학적 측면에서 ‘만화가’는 ‘만화’라고 하는 ‘기록’의 생산자라는 점이다. 우리는 만화가를 정보를 전달하는 이야기 전달자이자, 공공의 영역과 사적 영역의 양면성을 지닌 ‘만화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들의 기록자료에 대한 아카이빙 정리분류 방안에 대해서 본 연구논문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

        평택시 생애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민간아카이브 활동 방안 연구

        양월운,한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3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6

        “Life history” can be said to be the story of his life and what happens in an era, the story of a family, and even the story of a nation through an individual. However, in order to expand these individual daily records to the stories of regions and countrie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e that their lives are closely combined with history and that their daily lives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regions. A total of 6,953 records were collected through two years of collection activities in Pyeongtaek City, which began in 2020 with the aim of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e local government’s daily records. Most of the collected records are photographic materials showing the past and present of Pyeongtaek City, but some museums that contain stories such as teacups and bowls were also collected. Another feature is that rather than collecting each photo individually, it was prioritized to receive donations in the form of an “album” to understand a person’s story. Rather than selecting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collecting them in the form of individual records, it was to understand the story of how each individual’s daily records were “storytelling”. In addition, collecting daily records through this collection ca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private sector to restor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to their region, rather than ending their stories or individuals, and participation in more private archiving activities will take plac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nalyze private records collection activities conducted in Pyeongtaek City to establish the “Pyeongtaek City Life History Archive” and examine how daily records can be established as local archives through exhibitions planned based on this. ‘생애사’는 한 개인을 통해 그의 삶과 한 시대에서 일어나는 일, 한 가족의 이야기, 더 나아가 한 민족의 이야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의 일상기록에 대해서 지역, 국가의 이야기로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삶이 역사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들의 일상은 지역과 치밀하게 얽혀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기도 한다. 평택시는 ‘생애사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2020년부터 민간기록을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민관의 경계를 허물고 지자체의 기록과 함께 민간의 일상기록 자체도 평택시의 지역성을 가진 지역 아카이브라는 취지하에 시작된 생애사 아카이브는 2년간의 수집 활동을 통하여 총 6,953점의 기록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기록은 평택시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담은 사진 자료가 대부분이나, 일부 찻잔, 그릇 등 이야기를 담고 있는 박물류 역시 수집되었다. 또 하나의 특징은 사진을 개별 한 점 한점 수집하기보다는 한 개인의 스토리를 이해하기 위해 ‘앨범’의 형태로 기증받는 것을 우선시하였다는 점이다. 기관의 입장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개별 기록의 형태로 수집을 하기보다 각각 개인의 일상기록이 어떻게 ‘스토리텔링’ 되었는지 그 이야기를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이러한 수집을 통하여 일상기록을 수집함으로써 민간에서는 자신의 이야기가 나 개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에 대한 소속감과 정체성을 회복해줄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더욱더 많은 민간의 아카이빙 활동에 대한 참여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평택시 생애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평택시에서 진행한 민간기록 수집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획되는 전시를 통하여 어떻게 일상기록을 지역아카이브로써 구축할 수 있을지 그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천호준,양월운,최태석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collect records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was held in February 2018.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value and types of records of the 2018 Winter Olympics follow-up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cases of mega sports event follow-up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esented to collect record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rst,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methods over time. Secon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ject and subject of recording. Thir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subject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yeongchang Winter Olympics memorial hall and to prepare a collection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holding a domestic mega sports event.

      • KCI등재후보

        행정박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나영선,왕영훈,양월운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1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aiming to establish an archival objects system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archival objects systems in the US, Canada, Australia, and China. This paper attempts to conceptualize archival objects and substantiate a management system of archival objects based on legal statues and guidance of each nation's records management. Moreover, this paper includes present conditions of utilization of exhibition by scrutinizing official websites of archival institutions and interviewing related officials in above mentioned countries. 이 연구는 한국의 행정박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미국캐나다호주중국의 행정박물 관리체계를 조사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국의 기록관리 법령 및 지침을 분석하여 행정박물의 개념과 관리체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국의 기록물관리기관 홈페이지 분석과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행정박물의 전시활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의 행정박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벤치마킹요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