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교과에서의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연구의 필요성과 그 적용

        양슬기(Yang Seulk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본 연구는 지리교과와 관련된 개념과 설명, 지리적 사고에 대한 학습자의 실제적인 발달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인모델링(construct modeling) 방식을 통해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중심지 이론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이하 LP)을 제시했다. 각 학교급 사회과 교과에서 직·간접적으로 다루어지는 ‘중심지’에 대한 구인 구성도(Construct Map)를 작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각 학교급 학생들에 적용하였다. 평가 문항별 응답 반응을 부분 점수 모형(Partial Credit Model)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지 이론에 대한 LP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학습자의 중심지에 대한 이해 수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중심지의 개념 및 기능에 대한 이해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다. 둘째, 중심지 이론에서 제시되는 용어 및 개념을 정확히 모르더라도 그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이해 수준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중심지에 대한 LP가 규명됨으로써 추후 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발달과정을 고려할 수 있고, 또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의 구성에서 일관성 및 연계성을 증진시키는 등의 지리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Learning Progressions(LP) about central place theory by using the construct modeling approach so that students’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geographical concepts and thinking can be observed. Firstly, a construct map about central place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dealt with in social studies of each school level was made and evaluation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nstruct map. Then the question were applied to students of each school level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Partial Credit Model. Then, LP about central place theory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Finally,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central place were deduct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concepts and functions of central place was low and undifferentiated irrespective of school level. Moreover, the students are able to rough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concepts in central place theory, even though they do not know them exactly.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for geography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instruction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김수진(Sujin Kim),도재우(Jaewoo Do),권수완(Suwan Kwon),양슬기(Seulki Yang),어정인(Jeongin Eur)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교육연구 수행에서 질적연구의 활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의 확산,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기술의 발달,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요구되는 교육연구의 특성은 교육분야 질적연구 수행에서 온라인 도구의 활용을 촉진하고 있으며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여 질적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질적데이터 수집에 있어서 온라인 도구가 가진 가능성과 과제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여성인 대상 그룹 인터뷰, 학생 대상 그룹 인터뷰, 사용성 평가에서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연구에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한 질적데이터 수집의 강점(참여자 모집 및 일정 수립, 데이터 수집 및 관리의 용이성, 편안한 데이터 수집 환경 조성 등)과 제한점(라포 형성의 어려움, 환경 통제의 제약, 수동적 참여자 및 집중도 유지 문제, 발언 관리 어려움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질적데이터 수집 방안으로 온라인 도구가 가진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안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연구자들에게 온라인 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는 질적데이터 수집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Qualitative research is actively used as a main research approach i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research promote the use of online tools as a way to collect data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online tools in qualitative data collec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researchers who collected qualitative data using online tools. This study adapted a case study as a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three cases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online group interview with adults, online group interview with students, and usability test (demonstr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engths (ease of selection of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creat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data collection) and limitations (difficulties in forming a lapo and managing speech, constraints of controlling environment, issues of passive participant and maintaining concentration)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using online tool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and utilization of online tools as a method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i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