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EX FINDER A.F.A.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양미영,유현미,오태석,Yang, Mi-Young,Yoo, Hyeon-Mee,Oh, Tae-Seok 대한치과보존학회 199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3 No.2

        Recently electronic apex locators have been used widely in root canal treatment, but, accuracy of electronic apex locators i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pex Finder A.F.A(EIE Analytic Technology, U.S.A.) in vivo compared with Root-Zx and radiograph. The root canal lengths were determined with Root-Zx(32 tooth) in before pulp extirpation and after pulp extirpation. Then the radiographs were taken with a file in the canal. The root canal lengths were determined with Apex Finder A.F.A.(21 tooth) in before pulp extirpation and after pulp extirpation and under NaOCl. Then the radiographs were taken with a file in the can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Root-Zx between before pulp extirpation and after pulp extirpation(p > 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Apex Finder A.F.A. between before pulp extirpation and after pulp extirpation(p > 0.05). Bu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under NaOCl(p < 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Root-Zx and Apex Finder A.F.A.

      • KCI등재후보

        반(反)성장 서사 인물과 주체화 기획의 문제

        양미영(Yang, Mi-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50

        지금까지 ‘반(反)성장’이라는 개념은 성장소설의 논의 안에서 함께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반성장 서사를 성장소설의 한 면이 아닌 개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반성장 소설에서 청소년 인물의 주체화 문제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정신분석학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있으며, 이를 위해 김영하의 장편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등장인물을 분석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반성장소설로, 자신들만의 세계에 고립되어 있으며 외부 사회로부터 받는 고통에 괴로워하다 ‘정상적인’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고 마는 소년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두 주인공 제이와 동규는 수동적 성장보다는 능동적 퇴행과 탈선을 선택하여 나름의 주체화를 꾀하는 반성장 인물인데,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제이는 상징계 진입을 거부하고 실재계로 미끄러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자아는 자의적으로 ‘어른 되기’를 거부하는데, 다시 말해 제이는 통상·사회적인 성장을 거부하고 상징계가 아닌 곳에서 스스로 상징(권력)이 되고자하는 나르시시스트적 주체화를 시도하는 인물이다. 한편 동규는 반성장 서사 인물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자의적으로 성장을 거부한다기보다는, 주체화를 기획하여 상상계적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좌절하여 결국 성장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상상계에 남게 되어버리는 양상이다. 제이와 동규의 경우로 미루어 볼 때, 반성장 인물의 주체화 양상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스스로 상징계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비껴나간’ 주체가 되어 실재계로 향하는 영웅적 인물형이고, 두번째 유형은 주체화의 기획을 통하여 상징계로의 진입을 꾀하지만 실패하여 상상계에 고착하는 비극적 인물형이다. 제이와 동규는 둘 다 상징계에 속하지 못하여 ‘어른’이 되지 못했다는 공통점과, 각각 실재계와 상상계로 그 행보를 달리했다는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Antigrowth novel has to be admitted individually, although the concept of ‘Antigrowth’ in literature has been dealt with discourse of Initiation novel. This essay, therefore, suggests forms of juvenile characters’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analysing Kim Young-ha’ “Hear Your Voice” with basic concepts of psychoanalysis. The main characters (J and Tong-gyu) in “Hear Your Voice”are isolated in their own world and suffered from the other world that is ‘society’ They cannot become ‘normal’grownups but end up dead. The unconscious of J and Tong-gyu is analysed like below. J is an orphan and has eager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s. However, his experiences of abandonment make him narcissist and evil. In addition, he is built as a subject who desires to be imaginary phallus. J earns the support of teenage runaways and enjoys mimicking the system of Symbolic. The corrupted desire for power does not lead him to the symbolic way of grownups, but he slides into Real driven by Thanatos came from narcissism. On the contrary to J, Tong-gyu wants to be an orphan fleeing from complicated family affairs. He regards J as his alter ego and follows him unconditionally. Tong-gyu seems to be fixated on J’ desire. In fact, Tong-gyu has a desire to be ‘desire of J’ However, after all, Tong-gyu, is disappointed to J who is arrogant and full of vanity. As Tong-gyu comes to realise that J is lack and devoid, finally, he wants to be a self as subject planning to kill J. Nevertheless, he rather feels guilty of murder, fails to mourn, and internalises J deeply in the end. Tong-gyu kills himself at last and becomes stranded in Imaginary. As we can see, there are two types of juvenile characters and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The first type is the heroic character like J who denies and refuses Symbolic, desires to be a perverse subject and proceeds toward Real. The second type is the tragic character that plans subjectivation him/herself but fails and is caught in Imaginary like Tong-gyu. They have in common that both cannot belong to Symbolic and become ‘adults’ as well as they have differences that they are heading for separate ways - Real and Imaginary.

      • KCI등재
      • KCI등재

        손창섭 대중소설의 실존주의적 고찰

        양미영(Yang, Mi-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8

        이 논문은 손창섭의 60년대 신문 장편소설 『인간교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손창섭 대중소설이 초기문학의 변질이 아닌 확장이자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 손창섭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사상은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실존주의를 택했는데, 실존주의 사상이 손창섭의 50년대와 60년대 작품을 하나로 묶어주는 사상적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손창섭의 전후소설은 이미 실존주의 문학으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인간의 존재 방식에 관한 물음을 가지고 고투하는 작가 손창섭의 실존주의적 관심은 60년대 이후에도 문학 활동 전반에 걸쳐 변함없이 지속된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손창섭은 『인간교실』에 다양한 인간상을 등장시켜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인간은 어떻게 실존하는가’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손창섭의 인간 존재에 대한 가치관은 타락과 통속이라는 키워드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인데, 손창섭은 타락한 삶을 일상성의 특징으로 인정하며 여기에 윤리적 가치의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교실』에서 나타나는 가십, 훔쳐보기, 위선 등의 요소를 하이데거의 빈말, 호기심, 애매함의 세 가지 일상적 존재양상에 빗대어 살펴보았으며, 실존주의의 핵심인 자유가 소설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는지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인간교실』이 존재의 통속성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실존을 추구하는 주체의 기투(企投)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sed Son Chang-seop’s one of novels of 1960s called “A Classroom of Human Being”(InganGyosil) with existentialism of Martin Heidegger and Jean Paul Sartre. “A Classroom of Human Being” is a novel about studying ‘human’. The writer created various kind of human being to represent his thought about ‘what human being is’ and ‘how human exists’. The reason why I analysed this novel with existentialism is that the author Son, for his entire life of writing, considered and studied about human and being as existentialists did. This essay first looked at the elements of ‘gossip, peeping and hypocrisy’ in the narrative of “A Classroom of Human Being”, comparing with Heidegger’s concept of the patterns of being-in-the-world; ‘idle talk, curiosity and ambiguity’. In addition, I examined how ‘freedom’, as core value of existentialism, is practiced in the story, and could find existential possibilities of human being even though its worldliness. This paper could be a case study of investigat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on Chang-seop’s 1950s and 1960s works. Furthermore, in consideration of a convention that existentialism generally has been applied to studies on postwar literature, this comparison between “A Classroom of Human Being” (as Son’s one of popular novels in 60s) and existentialism is a new and significant try.

      • KCI등재

        <만세전>의 텍스트 읽기 -내포작가와 서술자를 중심으로

        양미영 ( Mi Young Y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7 No.1

        이 글은 서사학 이론을 바탕으로 염상섭 중편소설 <만세전>을 텍스트 중심으로 다시 읽어보고자 한 논문이다. 기존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참고하면서도, 특별히 <만세전>의 서술자와 내포작가를 중심으로 그 관계와 역할의 여러 국면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독자가 이 작품의 주제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만세전>의 내포작가는 주인공이자 서술자인 이인화를 통해 식민 사회의 혼종 상태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시류에 휩쓸리며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과 식민지 지식인의 뒤틀린 내면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보여주기의 서술 방식을 통해 <만세전>의 내포작가는 식민 정치가 사회 모든 계층에게 가져다 준 생활의 고달픔과 개인에게 닥치는 삶의 개척에 대한 고뇌를 사실 그대로 전하려는 서사 기획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인화는 때로는 관찰자의 위치에 있기도 하고, 때로는 자기 감시의 시선 주체가 되기도 한다. 자기감시의 결과가 서술자의 자기 반성적 논평을 통해 나타나는데, 이는 내포작가의 윤리성 때문이다. 서술자의 자기반성적 논평은 독자가 이인화라는 자기중심적 인물에게서 성찰적인 면을 발견하여 서술자를 한층 더 신뢰하게 만드는 효과를 준다. <만세전>은 독자에게 조금씩 다른 해석의 여지를 주는 복합적인 텍스트이며, 결코 평면적인 서술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인화의 개인주의적이며 현실주의적인 면모, 텍스트가 시작에서 끝까지 이인화의 사람 관찰과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논평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 또한 삶에 대한 그 논평의 어조가 일관되게 분노와 냉소를 머금고 있다는 점 등의 암시들에서 공통적으로 ‘지금의 이런 삶은 묘지와도 같다’는 것과 더 나아가 ‘근대적 각성이 필요하다’는 내포작가의 메시지를 찾아낼 수 있다. 독자들이 작품을 읽는 방식은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서사 내에서 드러나는 서술자의 암시를 통해 독자는 텍스트 전체, 그리고 여러 독서의 가능태를 아우르는 내포작가의 의도를 읽어낼 수 있고, 따라서 독자의 다양한 독서 가능성과 그에 따른 새로운 비평 방식들 가운데에서도 내포저자의 논의와 그 의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Yeom Sang-seop`s ‘Mansejeon’ with narrative theories focusing on the text itself. Acknowledging existing studies, this essay especially focused on analysing the narrator and the implied author in ‘Mansejeon’, and tried to figure out how the readers approach to the message of the text. Readers can find, in ‘Mansejeon’, the implied author`s intention to report the colonial reality that is weary, and to show the agony of a modern intellectual in a colonial society through Yi In-hwa`s narration. Yi In-hwa, the narrator of ‘Mansejeon’, usually observes people in the story, but monitors self sometimes because of morality that Implied author has. Yi In-hwa`s self reflective comments make readers trust him more as the narrator. Although ‘Mansejeon’ is complex text giving chances of different interpretation to readers, we can notice the message from the implied author that is ‘Your lives now are like cemetery and you need to awake’ using hints from the narrator. Readers can read stories in their own way. However, they eventually construct one implied author of the text embracing the whole narrative and possibilities of different readings. Therefore, discussion about Implied author is still useful and meaningful in the trend of postmodern criticisms or any new methodologies of reading.

      • KCI등재

        손창섭 소설의 희극성 고찰 ― 전후소설에 나타나는 부조리극과 그로테스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미영 ( Yang¸ Mi-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6

        본고는 손창섭의 전후 소설에 나타나는 희극성에 대해 고찰한다. ‘희극성’이 손창섭 소설 세계의 독자적 요인 중 하나라고 보기 때문인데, 작가는 인간사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다룬 전후 소설에서도 ‘웃음’을 유발하는 독특한 서사전략을 구사하면서 연극적 징후들을 보여준다. 서사방식으로서의 희극성은 손창섭 소설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부조리극의 특성을 참조하여 블랙코미디, 그로테스크, 슬랩스틱코미디 등의 희극 개념으로 세 편의 소설―「미해결의 장」, 「혈서」, 「생활적」을 분석하였다. 손창섭은 서사문학의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면서도 거기에 부조리극의 형식적 특성을 조합하여 독특한 연극성을 보여준다.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이야기의 관습을 부정하는 ‘반복’, 실존주의적 주제, 충동적인 반전, 의도적인 극적 행동 등은 손창섭 전후소설이 블랙코미디로서 부조리극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전통적인 극의 양식을 거부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비평의 태도를 가지고 진실을 직시하도록 한다는 부조리극의 의의 역시 손창섭 문학세계의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또한 손창섭 소설에서는 그로테스크와 슬랩스틱이 공존하며 독자로 하여금 밑바닥 인생을 사는 기형적 인물들의 돌발적 행동이 불러일으키는 웃음에 반응하게 한다. 그로테스크와 슬랩스틱이 불러일으키는 희극적 역동성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어져온 민중문화의 맥을 계승하는 것이자,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실존주의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하다. 요컨대 손창섭 소설은 극적이며 역동적이다. 그의 소설들은 불안정과 무의미 속에서 침체된 인간을 그리지만 그 표현방식은 희극적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창조해낸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omic and dramatic features in stories of Son Chang-seop. ‘Comedy’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of specialty in Son’s literature. Son Chang-seop always uses unique narrative strategy that causes laughter and shows theatrical signs even in postwar stories which sketch the darkest side of human history. For various style of comedy is shown in Son’s stories, this essay analyzed ‘The Unsolved Chapters’, ‘A Blood Letter’, ‘Living’ as absurd literature with concepts of black comedy, grotesque and slapstick comedy. First of all, Son shows unique theatricality combining storytelling and theatrical form. His postwar stories, as a black comedy, share features of theatre of the absurd which are 'repeat' that denies the narrative convention, existentialist motif, impulsive reversal, intentional dramatic action, etc..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author’s literary world is also common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play of the absurd that leads audiences to have critical attitude and to face the truth through denying traditional theatrical form. Secondly, as features of grotesque and slapstick coexist in Son’s stories, readers react to the comicality that is sudden action of deformed characters who live at the ‘bottom’. Comedic dynamism from grotesque and slapstick is not only an inheritance of folk culture that has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but also the practice of existentialist resistance to the modernist ‘narrative’. In short, Son Chang-seop’s stories are dramatic and dynamic. His works depict human beings who immersed in instability and meaninglessness, but keep the comical tone consistent in the way of expression, and create unique world of art.

      • KCI등재

        이민진의 『파친코』에 나타난 기독교와 미국 표상

        양미영 ( Yang Mi-yo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이민진의 『파친코』는 재일 디아스포라 조선인 가족의 이야기를 4세대에 걸친 연대기로 풀어낸 장편소설로, 미국에서 화려한 주목을 받았고 한국인들에게도 중요하게 여겨지는 트랜스내셔널한 작품이다. 이 논문에서는 『파친코』의 서사를 구성하는 기독교적 요소와 미국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면서 이 작품에서 자이니치 가족의 삶과 역사가 궁극적으로 보여주는 가치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파친코』는 그동안 문학에서는 잘 주목하지 않았던 재일 기독교의 존재와 항일 역사를 다루고 있다. 먼저 디아스포라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유대인의 이야기를 비유로 함께 등장시키며 ‘자이니치’를 몰랐던 세계의 독자들에게 자이니치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자이니치 서사에 보편성을 부여한다. 또한 재일 기독교인의 신앙적 지향점인 헌신과 환대를 인간의 보편적 가치로 확장시키고 자이니치를 차별받는 소수집단에서 포용하는 존재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미국의 요소도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데, 현대 일본 사회와 문화에 미국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이니치에게는 미국이 어떤 식으로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파친코』는 자이니치가 축이 되지만 자이니치와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기독교적 요소와 미국적 요소가 어우러진 독특한 소설이다. 이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이 작품에 투영된 것으로, 기독교와 미국이라는 요소는 서로 밀접히 엮여 소설의 궁극적 주제를 만들어낸다. 기독교적 가치를 삶의 지침으로 삼은 선자 가족을 통해 인간의 본질적 선함을 보편적 가치로 제시하고, 세계 디아스포라들의 유토피아였던 미국의 양가적 면모와 더불어 디아스포라의 현재와 미래를 고찰하게 한다. Min Jin Lee’s novel Pachinko is a four-generation chronicle of Korean diaspora family in Japan. Korean readers have considered Pachinko important as well as Most of the American media have turned a spotlight on this novel because of its ‘transnationality’.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Zainichi(在日) life and history in Pachinko, analysing the plot and subject matters that are Christianity and America. Pachinko deals with Zainichi church and their anti-Japan (independent) movement history. First of all, in Pachinko the author sometimes depicts Zainichi in comparison with Jew who is the archetype of diaspora to give Zainichi universal position in the field of diaspora literature. In addition, the novel changes the impression of Zainichi from discriminated minor group to magnanimous being through presenting the value of devotion and hospitality, that are religious direction of Zainichi Christian as well as universal human value, as the ultimate theme of Pachinko. Secondly, Pachinko focuses on the influence of America in modern Japanese society and recognition of Zainichi about America. Pachinko is a very unique work which is mixed with Zainichi, Christianity and America in subject. The author Min Jin Lee reflects her diaspora identity in Pachinko and weaves elements of Christianity and America to makes the theme of the novel; presenting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nature as universal value through Sunja’s Christian family, suggesting to rethink about America’s ambivalent aspect and about the here and the hereafter of diaspora. In short, Pachinko can be regarded as a transnational work that promotes Zainichi narrative to the field of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양미영(Yang, Mi-Young),안경민(Ahn, Kyung-Min),손애리(Sohn, Aer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캠페인”에 참가한 C회사의 흡연자 10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5일부터 12월까지 8개월 간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금연 동기, 정서 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생활 스트레스, 희망, 직무 만족도의 정서적 변수를 가지고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성공자에 한 해 금연 프 로그램의 사전??사후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30대 이상 의 연령층과 기혼에서 금연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성공자와 성공자의 정서적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공자의 사전??사후 효과 분석을 한 결과 금연 동기와 관련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불안관련정서 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직무 만족도에서 경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직장인 남성이 금연에 성공하려면 금연동기와 불안이나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적용하는 금연프로그램의 개발 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캠페인의 메시지도 핵심집단(target audience)별로 정서적 측면을 강조한 메시지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on-smoking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 and emotional condition of male office workers. As research subjects, 106 smokers at C company who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of “No Second-Hand Smoking and No Cigarette Smoke at Work” from April 25, 2011 to December, 2011 for 8 month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preliminary surve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tivation to quit smoking, emotional condition, behavior to cope with stress, stress in life, hope, and the emotional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search subjectswas carried out. The studyundertook a pre-and-post effect analysis of the non-smoking program only with those who succeeded in quitting smoking. In terms of the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success rate of quitting smoking was higher in those in their thirties and above and those who were marri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variables was observed between those who were not successful and those who we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motives for stopping smoking and effective dealing with stress or anxiety is important for male office workers to succeed in stopping smoking, based on which smoking cess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message of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should be designed specifically for each target audience, effectively emphasizing the emotional aspects of each targe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