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볏짚에서 분리한 Bacillus 균주들이 분비하는 항균물질들의 특성들

        류샤오밍 ( Xiaoming Liu ),야오좡 ( Zhuang Yao ),심재민 ( Jae Min Shim ),이강욱 ( Kang Wook Lee ),김현진 ( Hyun-jin Kim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2

        볏짚으로부터 200 bacilli 균주들이 분리되었고 이중 3 균주는 Bacillus cereus ATCC1457를 강력히 저해하였다. 분자생물학적방법들을 사용하여 이들을 동정한 결과 RSC15는 B. licheniforms로 RSC26과 RSC42는 B. amyloliquefaciens들로 확인되었다. 항균물질들은 내열성을 지녀서 100℃ 20분 처리 후에도 활성의 절반이 유지되었다. 배양상등액의 SDS-PAGE 분석결과 2종의 다른 항세균물질들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3.5 kDa 이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들을 사용하여 B. licheniformis RSC15가 만드는 항세균물질들을 부분정제한 결과 비활성은 955.0 AU/mg에서 6,400 AU/mg으로 증가하였다. Two hundred bacilli were isolated from rice straw, and 3 strains showing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ATCC14579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es. RSC15 was identified as B. licheni-forms, and RSC26 and RSC42 were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by molecular identification methods. The inhibitory activities were heat stable, and half of the activity was retained for 20 min at 100℃. SDS-PAGE analyses of the culture supernatant indicated that 2 different kinds of antibacterial substances were present with sizes below 3.5 kDa.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B. licheniformis RSC15 were par-tially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specific activity increased from 955.0 AU/mg to 6,400 AU/mg.

      • KCI등재

        항균력을 지닌 Bacillus 균주들을 종균으로 사용한 청국장에서 Bacillus cereus 억제

        이재용(Jae Yong Lee),심재민(Jae Min Shim),류샤오밍(Xiaoming Liu),야오좡(Zhuang Yao),이강욱(Kang Wook Lee),조계만(Kye Man Cho),김경민(Gyoung Min Kim),신정혜(Jung-Hye Shin),김정상(Jong-Sang Kim),김정환(Jeong Hw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5

        유해균인 Bacillus cereus와 독소 생성 곰팡이 증식 억제능력을 지닌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EMD17)과 Bacillus subtilis EMD4(EMD4)를 단독 혹은 1:1로 대두에 접종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대조구로는 나토균주로 알려진 Bacillus subtilis KACC16450 균을 접종한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B. amyloliquefaciens EMD17 접종 청국장에서는 오염시킨 B. cereus 증식이 즉시 억제되어 37℃ 발효 12시간에 검출되지 않았다. EMD4 접종 청국장에서도 B. cereus 증식 억제가 관찰되었으나 억제 정도는 약했다. 48시간 발효 후 청국장 시료들은 4℃에서 10일간 저장하였고 B. cereus는 EMD4 접종 청국장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에서는 상당수 B. cereus 균수가 유지되었다. 청국장의 pH 값은 시료 간 유의차가 없었고 혈전용해능은 발효 중에는 EMD17을 접종한 청국장이 그리고 저장 중에는 나토균주를 접종한 것이 높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도 나토균주 청국장에서 높았다. 이상 결과들에서 B. amyloliquefaciens EMD17 같은 균주들을 종균으로 사용함으로써 청국장에서 B. cereus 억제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heongg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 food, was prepared by inoculation of Bacillus subtilis EMD4 or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activities into soybeans. Cheonggukjang was also prepared by co-inoculation of EMD4 and EMD17 (1:1, v/v). Control cheonggukjang was prepared by using B. subtilis KACC16450 (Natto strain). Growth of B. cereus cells spiked with starter organism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B. amyloliquefaciens EMD17 after 12 h of fermentation at 37℃. Growth of B. cereus was also inhibited by B. subtilis EMD4, but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weaker. After 48 h of fermentation, cheonggukjang samples were stored for 10 days at 4℃. B. cereus cells were not detected from cheonggukjang inoculated with EMD4, whereas significant numbers still present in control. The pH values of cheonggukjang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fermentatio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EMD17 showed the highest fibrinolytic activity and during storage,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 Natto strain was the highest.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 Natto strain also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The results show that control of B. cereus in cheonggukjang is possible by using starters such as B. amyloliquefaciens EMD17.

      • KCI등재

        다른 종류의 소금들로 제조한 새우 젓갈의 특성

        심재민 ( Jae Min Shim ),이강욱 ( Kang Wook Lee ),야오좡 ( Zhuang Yao ),김정아 ( Jeong A Kim ),김현진 ( Hyun-jin Kim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3

        정제염(PS), 1년 숙성천일염(SS), 3회 죽염(BS)들을 사용하여 새우젓갈들을 제조하였다(소금농도 25%). 젓갈들은 22주간 15℃에서 숙성하였다. 바실라이들과 해양세균들은 6주차 이후 검출되었고 고세균들은 천일염 젓갈에서만 처음 8주간 저농도로 관찰되었다. 죽염젓갈은 타 젓갈들 보다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았다. 아미노태질소는 발효 중 증가했고 특히 2주와 6주 이후 증가 정도가 컸으며 천일염젓갈이 발효초기부터 종료시 까지 타 젓갈들보다 함량이 높았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도 발효 중 증가했다. 천일염젓갈이 가장 높은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4주차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시료의 단백질가수분해측면에서 볼 때 천일염이 타 염들보다 우수하였다. Saeu (shrimp) jeotgal (SJ) was prepared by mixing with 25% salt with different types: purified salt (PS), solar salt aged for 1 year (SS), and bamboo salt. SJ was fermented for 22 weeks at 15℃. Bacilli and marine bacteria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entire fermentation period, and marine bacteria were present in the largest numbers.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detected only during the first 8-10 weeks, but yeasts appeared at the sixth week and later. Archaea were detected in low numbers only from SS-SJ during the first 8 weeks. BS- SJ showe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y (TA) values than other SJs because of strong alkalinity of bamboo salt. Amino-type nitrogen (ANN) contents of SJ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especially, after 2 and 6 weeks. SS-SJ showed the highest ANN cont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fermentation. Ammonia-type nitrogen (AMN) contents also increased like the amino-type nitrogen during fermentation. The highest volatile basic nitrogen (VBN) was also observed in SS-SJ. Salinity was kept constant after 4 weeks. SS was better than other salts for SJ fermentation in terms of protein hydrolysis.

      • KCI등재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메주의 특성

        조민정 ( Min Jeong Cho ),심재민 ( Jae Min Shim ),이재용 ( Jae Yong Lee ),이강욱 ( Kang Wook Lee ),야오좡 ( Zhuang Yao ),류샤오밍 ( Xiaoming Liu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2

        대두에 B. amyloliquefaciens 2 균주들과 P. farinose SY80, 그리고 R. oryzae 총 4 균주를 접종한 메주를 만들었다(메주 1). 대조구로 B. subtilis KACC16450과 A. oryzae를 접종한 메주(메주 2)와 볏짚을 균원시료로 접종한 메주(메주 3)들을 제조하여 총 56일 발효시켰다. 발효 기간중 메주 1과 2의 pH와 적정산도는 메주 3보다 각각 높고 그리고 낮았다. 메주의 혈전용해능은 메주 1이 가장 높았다. 발효 기간중 모든 메주에서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메주 2와 3에서 여러 모양과 색을 띈 잡균들이 검출되었다. 메주 2에서 histamine이 그리고 메주 3에서 tyramine이 저 농도로 검출되었으나 메주 1에서는 둘 다 검출되지 않았다. B. amyloliquefaciens EMD17이나 MJ1-4와 같은 항균력 균주들을 접종하여 메주를 제조하면 미생물학적으로 보다 안전한 장류제품들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A test meju (meju 1) was prepared by inoculating two strain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 MJ1-4), Pichia farinosa SY80, and Rhizopus oryzae into cooked soybeans. A control (meju 2) was prepared by inoculating Bacillus subtilis KACC16450 and Aspergillus oryzae. Another control (meju 3) was prepared using rice straw as the source of microorganisms. Three different mejus were fermented for 56 days outdoors. Meju 1 and meju 2 showed higher pH values than meju 3, whereas meju 3 showed higher titratable acidity than meju 1 and meju 2. Meju 1 showed the highest fibrinolytic activity. Bacillus cereus was not detected in any mejus, but various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meju 2 and 3. Histamine was detected in meju 2 and tyramine in meju 3 at lower concentration, which were not detected in meju 1. It was concluded that microbially safe, fermented soybean products could be produced from meju fermented with starters such as B. amyloliquefaciens EMD17 and B. amyloliquefaciens MJ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