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심력과 원심력에 대한 지구과학Ⅱ 교과서 분석

        안혜영 ( Hye-yeong An ),정덕호 ( Duk-ho Chu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1 No.1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2종의 지구과학Ⅱ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원운동과 관련된 자연 현상을 기술할 때 구심력과 원심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두 교과서에서는 원심력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은 채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원심력에 대한 잘못된 개념이 형성될 수 있다. 교과서의 설명과 그림은 고정된 계에서 자연현상을 관찰하는 시점이므로 구심력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원심력으로 설명할 때 더 쉽게 설명되는 현상이 있다.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심력의 개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원심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명시해야 한다. Currently, Earth ScienceⅡ Textbooks describe natural phenomena associated with a circular motion in the various chapter. Textbooks explain a circular motion with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But two textbooks are not presented accurately the defini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Therefore, students can form misconception to centripetal force. Textbooks should depict a circular movement with centripetal force because explanation and pictures in textbooks are inertial system. However, in some situations, centrifugal force is a better explanation. Thus, Textbooks specify definition of centrifugal force for th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설퇴소아동 자립생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신혜령(Sin Hye Lyeong),김성경(Kim Seong Gyeong),안혜영(An Hye Ye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6

        본 연구는 시설퇴소아동의 자립생활에 초점을 맞추고 퇴소아동의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아동을 모집단으로 하여 전국 11개소의 자립지원시설의 거주아동과 43개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아동이며, 총 157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조사결과, 퇴소아동들의 평균연령은 약 22세이며 퇴소기간은 평균 26.95개월이고, 주거형태는 자립생활관에 60.9%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아동의 자립생활의 수준은 자립생활 영역 중에서 자기보호 영역을 제일 높게 평가하였고, 사회적 발달 영역, 일ㆍ공부습관, 돈 관리, 주택 및 지역사회자원, 일상생활과업 순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퇴소아동의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동시투입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전체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이사횟수, 가족의 지지, 시설의 지지 등 네 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소아동의 자립생활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의 지지가 많을수록 여자아동인 경우 자립생활의 하위영역에 공통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가족의 지지는 오히려 자립생활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립생활관의 거주여부는 퇴소아동의 자립생활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라 사회복지 개입전략이 논의되었고 임상적,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endent living level of the discharged from the child residential care and define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m. Data for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survey of 157 adolescents discharging from child residential ca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unmarried, the average age was 21.75, an average period after the discharging was 26.95 months, and public dormitory dweller were 60.9%. Independent living level of the respondents was average 2.01 on the 6 domains. Essential domains to positiv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money management, housing and community resources, and daily living skill domain are lower than average scores. And 4 factors of gender, a number of moving experience, family support, and support of residential care system influenced on the independent living level. Especially, support of child residential care system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family support was negatively influential on independent living after discharging from the child residential care. Public dormitory living was not related th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of the respondent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independent living program and family connected program place more emphasis on the children of residential care and that residential care and public dormitory living systems need to develop social service program for independent living the discharged.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장학자료에 수록된 장애관련 활동 분석

        이효신 ( Hyo Shin Lee ),안혜영 ( Hye Yeong 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기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용 자료에 장애관련 활동이 어느 정도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행한 장학자료이다. 분석은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로 이루어졌고 장애관련 활동으로 분석된 활동에 어떤 장애유형이 소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분석에서는 장애관련 용어,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관련 인물 등을 분석기준으로 삼았고 장애유형 분석에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제시된 특수교육대상자를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는 총 활동수 대비 0.94%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고, 생활주제별 분석에서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3∼5세 전체에서 장애관련 활동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주제도 있었다. 활동유형별 분석에서는 대소집단활동이 자유선택활동보다 더 많은 장애관련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고, 장애유형별로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가 언급되어 있었다. 장학자료 분석에서는 Ⅰ수준보다 Ⅱ수준에 2배 이상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고 전체 활동수는 20개로 누리과정의 20개와 동일한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유아기 보육과 교육을 통합한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소개된 활동에는 1%가 채 안되는 미미한 수준의 장애관련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유아들에게 이른 시기부터 장애관련 용어와 도구 및 시설을 접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친숙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관련 활동을 다양화하고 양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to seek for an efficient application plan for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reflected disability-related contents, terms and methods with 10 volumes for children aged 3, 11 for those aged 4 and 11 for those aged 5 of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eight of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was 0.15% for children aged 3; 0.94% for those aged 4; and 1.72% for those aged 5, and yet, out of the total 2,116 activities,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were only 20 types, (0.95%) which was very low.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the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ities, out of a total 20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free-choice activities were 6 while large and sub-group activities were 14, which overall were distributed evenly.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nd the materials for the encouragement of teaching accounted for a very low propo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