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주일대사 에드윈 라이샤워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

        안종철 ( An Jong Chol ) 역사문제연구소 2013 역사문제연구 Vol.17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Edwin O. Reischauer`s “Modernization Theory” in relation to Korea. As is well known, the theory has diverse meanings such as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cy. However, Reischauer rather focused on industrialization. To Reischauer sometimes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s interchangeable. In his idea, Japanese society had prepared well for modernization before Meiji Restoration (1868) because it had feudal society with commercialization. Japanese Modernization is a role model to East Asia so that he supported Korean-Japanese Normalization Treaty (1965) as US Ambassador to Japan. In his chapters related to Korea writing in East Asia: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he and his disciple and professor, Edward W. Wagner argued that Korea was more sinicized than even China. Wagner studied in Japan under Takahashi Tooru who was colonial expert on Korea before 1945. In the book, traditional Korea was full of stagnation and political strife. Just after World War II, there was so few Korean history textbook in English so that they relied upon English translation of the Chosenshi [Korean History] written by Hatata Takashi, a Japanese historian who focused on China before World War II and changed his interest into Korean history after Japanese surrender. In Chosenshi, Hatada might resurrect Koreans in traditional society with a dynamic relation between the oppressed people (minjung) and ruling class. However, most Korean people is depicted as only oppressed by the ruling class so that the society was still stagnant and oppressing. It assumed that Korea was only modernized by outer forces. The thesis is typical impact and response model. In terms of the fact that Korean traditional society was not prepared for modernization, Hatada and Reischauer has a common ground. Through Reischauer and his influence, it is explained how Korean Studies was set up not only as institutions but also with unique contents. In forming the Korean Studies in the US, there were complex nexus among colonial Japanese intellectuals, progressive postwar historians, and US modernization theorist.

      • KCI등재

        미군정 참여 미국선교사ㆍ관련 인사들의 활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안종철(An Jong-Chol),정병준(토론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이 논문은 해방 직후 미군정에 참여한 선교사 및 관련인사들의 입장과 활동을 다루었다. 전후에 선교사 혹은 자녀들은 미군정 측이 한국 통치를 위해 가장 주목한 집단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19세기 말부터 한국의 의료와 교육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고 한국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한 유일한 집단이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이들은 우선 한국에 군정관리와 자문관으로 입국해서 미군정에서 활동했다. 선교사 관련 인사들은 태평양전쟁기에 미국정부의 대일전 수행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한국에서 선교사업과 ‘민주주의’의 확립을 같은 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군정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그러나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남한에 선교사들이 공식적으로 입국하기 시작한 것은 남한주둔 미전술군의 감축과 물가안정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이후였다. 한국에 1946년 초부터 입국하기 시작한 선교사들은 대체로 1947년 말부터 1948년 초에 걸쳐서 선교부를 다시 구축했다. 선교사들 중 가장 중요한 교파는 북장로교 측이었는데 귀환한 이들 중 상당수는 대체로 식민지 시기 신사참배문제에 대해 당국에 협조적인 인물들이었다. 특히 H. H. 언더우드는 선교사들의 귀국을 돕고 선교부 재산을 다시 찾을 수 있게 해준 가장 중요한 인사였다. 새로운 환경 속에서 북장로교 측은 교회, 학교, 병원 등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해 한국 개신교계에 대한 영향력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미군정과 우호적인 관계에 있었고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대해 우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미군정에 참여했던 H. H. 언더우드와 J. E. 피셔이다. 아울러 이승만의 오랜 친구 H. B. 헐버트는 대한민국의 탄생을 가장 열렬히 환영했다. 선교사들 중 미군정과 남한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 인사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해방 전 YMCA에서 활동한 A. C. 번스와 숭실전문학교 교장 아들인 G. M. 맥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해방 전후로 미 국무부에서 활동했고 미국 대학의 교수를 역임했다. 물론 이들은 남한의 개혁이 소련과 북한에 대비되는 더 건강한 반공체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이승만을 수반으로 하는 신생 대한민국 정부는 선교사들의 활동에 우호적인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했다. 선교사들에 대한 훈장수여, 국장 수준의 장례 등은 그 단적인 예이다. 선교사들과 정부의 우호적 관계는 이승만을 수반으로 하는 신생 공화국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American missionaries’ activities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JIK) jus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The USAMGIK noticed the importance of this group in liberated Korea given the fact that they had worked in the realm of education, medicine, etc in Kore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Some former missionaries or their children participated as officers or advisors in the USAMGIK as they collaborated with the U. S. government in the war aims against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Due to colonial experience, they also thought that Christianity and ‘Democracy' were not two different entities. Since there were physical difficulties in securing their return, only after a number of military members left and the economic stability, missionaries were able to come back to their former mission field. As missionaries had appeared since early 1946. they reestablished their missions around late 1947 and early 1948. The most important denomination wa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CUSA) and most returning members were ones who had tried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in terms of Shinto Shrine worship issue. Horace. H. Underwood was the key figure in that he helped the return of missionaries while securing mission properties. Under the new circumstances, PCUSA revived its influence through the financial aid to churches, schools, and hospitals, etc. Most missionaries preserved positive views on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presentative persons were H. H. Underwood and J. Ernest Fisher who joined the USAMGIK. Also, Homer B. Hulbert was an ardent supporter of the new Republic. Some persons with missionary background such as Arthur C. Bunce and George M. McCune, both State Department officials and university professors, showed critical attitudes towards the ROK as well as the USAMGIK. They argued that only the meaningful social reforms would brought more healthy regime to Korean peninsula with anti-Communistic tone. The ROK with the president Syngman Rhee tried to mak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missionary activities. Medal awarding and state-level funerals for the deceased missionaries were a few exampl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aries and the ROK shed some li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Republic.

      • KCI등재

        윤산온의 교육선교 활동과 신사참배문제

        안종철(An Jong-chol)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3 No.-

        이 논문은 1905년에 내한해서 1936년 신사참배문제로 미국으로 출국해야 했던 평안도 지역의 대표적 선교사였던 맥큔(George S. McCune, 尹山溫) 선교사를 다루었다. 윤산온은 파크대학의 설립자의 딸과 결혼했고 그 자신이 파크대학 출신이자 교수로 일을 했다. 그는 한국에 교육선교사로 와서 파크대학의 자조부처럼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제도를 평안도 지역의 교육기관에 접목시켰다. 처음에는 선천의 신성학교에 후에는 평양의 숭실학교와 숭실전문학교에 이것을 소개했다. 이러한 일과 학업의 병행은 당시의 평안도의 지역적 특성, 즉 자주적이고 위계질서가 강하지 않은 중산층문화에 하나의 촉매작용을 해서 후일 이 지역에서 사업가들이 많이 나오게 하는데 일조했다. 그의 신학적 입장은 보수적이었지만 그가 1912년에 있었던 데라우치 암살미수사건 혹은 105인 사건의 주모자로서 일본인들에게 알려져 있었던 데서 보듯이 그는 한국인들의 민족주의적 열정에 일정한 공감을 가졌다. 물론 그것이 그가 늘 반일적이었다는 것은 아니다. 그의 활동에서 보듯이 근본적으로 교회의 확장과 기독교 교육에 그의 삶은 집중되었지만 30년대 중반 점점 더 강화되어가는 일제의 전체주의 체제에서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종교의 자유 때문에 식민지 당국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이 이른바 1935년 말에서 1938년까지 진행된 신사참배문제였다. 윤산온은 그 사건의 한 가운데 있었는데 당시 미국영사관과 일본 지역의 선교사들은 평양 지역의 북장로교의 이러한 입장에 동조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추방은 바로 미국과 일본 당국의 갈등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 prominent missionary in Pyeng-an province, George S.McCune who came to Korea in 1905 and departed in 1936. After graduating from Park College, McCune worked as a faculty member and was married to a daughter of the Park College founder. As an education missionary in Korea, he tried to connect the work and study program to the education institutions in Northwest region in Korea. At first Sins?ng middle school at S?nch?n and later Soong-silmiddle school/ college at Pyengyang, he introduced the departments of industry and agriculture to students. This work and study program contributed to the regional atmospheres from which many middle class people rose. Though his theological position was conservative and even “fundamental” especially in the Bible issues, it was estimated that he was participating and had sympathy with Korean Independence cause at the time. One example was his presumable involvement in the event of “Terauchi assassination plot” in 1912. It does not mean that he was always anti-Japanese. His main enthusiasm was always on the evangelism and education. But regardless of his will, his works was fundamentally contradictory to the Japanese authorities because the mid-1930s saw the totalitarianism over the thoughts and religion in the Korean colony. That was the Sint? shrine issue which started fully in late 1935 until 1938. McCune was at the center of this issue, but the American consulate in Seoul and embassy in Tokyo did not give consent to his and Northern Presbyterian collegues' position. Even American missionary circle in Japan did not side with him. Although he did not get support from his government, his deportation signaled the chasm in the margin of the Japanese empire in terms of the U.S. and Japanese relations.

      • KCI등재

        19세기 ‘국제법’의 성격과 조일수호조규(1876)

        안종철(Jong-Chol A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Korean-Japanese Treaty, or Kanghwa Treaty (1876) is a signal for the coming of modern Korean-Japanese relations. Ultimately, Chosǒn Korea was annexed by Japan in 1910 and the dynasty foiled in its own endeavors to preserve sovereignty and pursue development through “International law.” Thus, conventional wisdom shows tendency to understand this treaty as a starting point for Japanese aggression on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arrival of European “International Law” in East Asia. It is assumed that there had been continuity of Japanese colonial scheme and the solid structure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in this paper, the Kanghwa Treaty has more points in terms of revival of the traditional Korean-Japanese relations so that Extraterritorial Jurisdiction, no customs tariff, and opening ports could be understood by the traditional Korean-Japanese perspective on the part of Chosǒ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we can evaluate the Kanghwa Treaty in the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law formation, not an established or given order. This perspective seeks for shedding a new light on the Treaty, rather than denying unequal characters of the treaty and the incorporation of European international law into East Asia.

      • KCI등재

        하와이원주민 문제의 역사적 쟁점과 미 연방대법원의 관련 판결분석

        안종철(An, Jong Chol) 한국법사학회 2013 法史學硏究 Vol.48 No.-

        이 글은 미국 영토 내에서 유일하게 왕국으로 존속했던 하와이에 대한 역사와 하와이원주민 문제에 대한 미국법원의 판결들을 분석한 것이다. 하와이는 1893년 미국인들에 의해 왕정이 폐지되고 1898년에 미국령이 되었는데 당시 하와이왕실이 가지고 있었던 토지는 하와이왕국의 정부 토지와 함께 공공토지로 미국 정부로 넘어가게 되었다. 1920년 미 의회에서 하와이원주민들을 위한 토지대여법이 통과되고 이들에 대한 연방의회의 “신탁의무”가 규정되었지만 대상토지는 전체 공공토지의 1/10에도 미치지 못했다. 1959년 하와이가 미국의 한 주가 되면서 주정부가 공공토지에 대해 관리를 맡게 되었다. 이후 개정된 하와이 주 헌법(1978)은 하와이사무청을 설치해서 하와이원주민들의 복지를 담당하게 했다. 연방행정부가 통과시킨 다양한 법률에서도 하와이원주민들을 미국원주민으로 간주했지만 연방의회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그것을 인정한 것은 아니었다. 이 글이 다루는 두 개의 미연방대법원 판례(Rice v. Cayetano; Hawaii v. Office of Hawaiian Affairs)는 각각 2000, 2009년에 결정된 것이다. 전자는 하와이원주민에게만 하와이사무청의 이사선출을 위한 투표권을 부여한 것을, 후자는 하와이원주민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공공토지의 불하를 제한하는 것을 연방대법원이 위헌이라고 판결한 것이다. 미연방대법원은 하와이원주민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 의회를 통해서 하와이원주민을 미국원주민으로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현재 진행 중이다. 연방대법원의 판결은 한국과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도 시사점을 던져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a history of Hawai’i whose territory was the only kingdom in the US, and with court decisions relevant to Native Hawaiians. The Kingdom of Hawai’i was toppled by some Americans in 1893 and annexed by the US in 1898. Concurrently, the crown lands of Hawai’i became part of US government land. US Congress passed Native Hawaiian Homestead law in 1920, defining Federal Government’s “trust responsibility” toward Native Hawaiians. However, the designated lands were less than 10% of the whole Public Land in Hawai’i. Thereafter, Hawai’i became a State in the US in 1959, so that the Public Lands were delivered to the State government for administration. Later, the revised State Constitution (1978) established the Office of Hawaiian Affairs which is in charge of Native Hawaiian issues. The US federal administration also supports an idea that Native Hawaiians are one of US Native Americans. The two US Supreme Court cases, however, explain how Native Hawaiian issues are framed in the Federal Courts. The cases are Rice v. Cayetano (2000) and Hawaii v. Office of Hawaiian Affairs (2009). The former case is a judicial review of election limitation to Native Hawaiians in the election of Board members of Office of Hawaiian Affairs. The latter is whether the State of Hawaii should stop liquidating Public Lands due to Congress “Apology Resolution” before Native Hawaiian issues are wholly solved. The Court were negative on two issues because the judges thought that whether Native Hawaiians are Native Americans was not clear. Thus Hawaiian community is eager to have US Congress pass a bill for recognizing Native Hawaiians as one of Native Americans. Thus the recognition process is still ongoing. If US Congress recognizes this, then it might also affect Japanese perception of colonial issues in Korea.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에서의 “근대화론” 수용과 한국사 인식 ― 고려대와 동국대 학술회의를 중심으로

        안종철 ( An Jong-chol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2

        1960년대 한국에서 수용된 “근대화론”은 크게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로 나뉘어볼 수 있다. “근대화론”은 각 사회가 처한 현실과 별개로 근대사회로의 도약이 어디서나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추구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 이론은 상당한 주목을 끌었다. 따라서 이 글은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과 의 관계를 다룬다. “근대화론”은 한국에서는 고려대 개교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와 동국대 개교 60주년 학술회의를 통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고려대 회의는 서구사회에서 “근대화론”을 주장하던 학자들도 대거 참석했는데, 그들은 한국 측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합의와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이 회의 이후에 한국에서는 한국사시대 구분론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은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을 인정하는 위에서, 근대사회로 진입하는 계기를 한국사의 특정 시점에서 찾고자 한 점에서 “근대화론”의 한국적 맥락화라고 할 수 있다. “근대화론”의 수용 과 한국사 인식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근대한국사의 특징이 더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Modernization theory`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1960s consist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 position that all societies are able to make the leap to modern society, this theory aimed to seek a universal framework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world, regardless of the specific situation of each society. This theory was viral and popular in Korea in the 1960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studies on Korean history, an area tha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In Korea, modernization theory was widely discussed at two important conferences: the 60th Anniversary of School Founding Conference in Korea University (1965) and Dongguk University (1966). Particularly, several modernization theorists from western societies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t Korea University. Through the diverse exchanges of opinions that took place, the conference illuminated both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scholars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After these conferences took place, the theory came to be projected into Korean discourse on periodization in Korean historiography. Debate centered on identifying the impetus of moder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history, which would allow a recogni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In other words, the debate was a intern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theory. It is therefore argued t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exam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zation theory` and Korean history research

      • KCI등재

        아더 베커(Arthur L. Becker)의 교육선교활동과 ‘연합기독교대학’ 설립

        안종철(An Jong-Chol)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아더 베커(Arthur L. Becker)는 1903년 한국에 와서 1940년에 미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오랫동안 북감리교 선교사로 일했다. 그는 미국 중서부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물리와 화학 등 자연과학을 공부한 인물로 그의 선교사역의 대부분은 교육사업과 관계가 깊었다. 그의 활동은 숭실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등에서 자연과학을 가르치는 데 집중되었다. 그는 자연과학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믿었으므로 과학을 잘 가르치는 것이 자신의 본연의 사명이자 선교라고 생각했다. 그는 비기독교인들도 포함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사역을 염두에 두었다. 베커가 가진 이러한 생각은 평양에서 연합교파 사역으로 운영된 숭실전문학교에 대한 북장로교 선교부 측과의 차이로 나타났다. 베커를 중심으로 한 다른 북감리교 선교사들은 교육에 몸담은 인물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사무엘 모펫이나 윌리엄 베어드 등이 가진 교회를 세우기 위한 인물양성이라는 교육철학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은 서울의 북장로교 선교사인 H. G. 언더우드와 함께 서울에 연합대학을 세우는 안을 추진했던 것이다. 그간 연합대학 설립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북장로교 선교부 내의 문제로 접근된 경향이 있는데 북감리교는 언더우드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었던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베커와 같은 교육선교사들의 입장은 식민지조선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었기에 그의 생각과 활동은 이 시대 한국의 교육사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실제 해방 후 그의 제자들이 한국 과학계에서 중진으로 활동했다. 게다가 그의 가족들이 해방 후 한국문제에 개입하게 되었다. Arthur L. Becker came to Korea as a North Methodist missionary up to 1940, the year that he returned to the USA. He studied natural science such as physics and chemistry in the small college in Mid-west USA. Therefore, his activities focused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and colleges such as Paijai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etc. He believed that natural science was compatible so that science education was his own calling and missionary work. Therefore, he even supported non-christian’s education in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ker had different ideas from those of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especially Py?ng Yang’ station since Samuel A. Moffett and William M. Baird believed that mission schools provide some environment where christian workers should be raised. Many Methodist missionaries who were mostly educational ones supported Becker's ideas. This position led to the situation that Becker and other methodist missionaries supported the idea that a college should be established in Seoul, the plan that Horace G. Underwood,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in Seoul, eagerly had endorsed. It was the case that Northern Methodist decision helped the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Y?nh?i College) a lot. Since Becker's idea was amenable to many Koreans, his thoughts and activities shows one important dimension in educational thoughts. In reality, his disciples became leading figures in Korean science circles. Moreover, his family members were involved in post-war Korean situ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1930년대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의 시대사상: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안종철 ( Jong Chol An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이 글은 근대 민족주의 내지 `문화민족주의` 사학의 대표적인 인물인 호암 문일평의 업적과 대외관계사를 다루었다. 이 글이 새롭게 주목한 지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호암 문일평은 개화기 기독교가 강했던 서북의 국경관문 의주출생으로 생애 초기에 미국 유학을 시도 했지만 여의치않자 그 대안으로 일본에 유학한 인물이다. 이것은 그가 초기에 한국민족주의와 더불어 근대서구문명에 노출되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그는 20대 초반에 일본과 중국에서 20세기 초 한국에서 활동한 박은식, 신채호, 정인보, 홍명희 등 민족주의자들과 교류하게 되었다. 그것은 그가 서구문명과는 달리 한국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배경이 되었다. 셋째, 호암은 다른 일본의 식민사학자나 이들과 대결한 한국인 민족주의 역사학자와는 달리 한국민족의 기원이라든가 고대 한일관계내지는 조선후기 `실학`문제에 그다지 집중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그는 고려 중엽 이후부터 조선시대를, 정치적으로 문제점이 있었지만 `문화`의 관점에서 역사의 진보가 있었다고 보았다. 넷째 그는 대외관계사에서 한국과 다른 지역과의 교류, 예를 들면 유학생, 문물교류 등에 주목했다. 다섯째로 그의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매우 드물게도 개항기 이래의 한국의 대외관계, 특히 한미관계를 다루었다. 그리고 선교사, 한인교민, 그리고 유학생 등이 한국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이러한 대외교섭이 `문화`의 형태로 한국사회를 변화, 발전시킬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러한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은 한국사를 외부와 끊임없이 교류해온 발전의 역사로 상정했다는 점에서 시대적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Hoam (penname) Mun Il-Pyong`s life and works. Mun was one of the distinguished modern nationalists in the realm of "Cultural Nationalism." New Points that this article focus 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un was born in Uiju, northwestern border town in Korea where Christianity was strong. He tried to study abroad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However, he failed and instead went to Japan for study. This shows that he was exposed to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Korean nationalism. Secondly, while staying in Japan and China in his twenties, he met several prominent Korean nationalists such as Hong Myong-hui, Park Un-sik, Chong In-bo, and Sin Chae-ho etc. This contact seems to make him lean toward Korean Studies rather than western culture. Thirdly, Mun did not focus on th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or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as Japanese colonial scholars and Korean counterparts did. Rather, he argued that while there were political problems since mid-Koryo up to the Choson dynasty, Korean society did show progress in term of culture. Fourth, he paid attention to Korean foreign relations such as Korean study abroad students and cultural exchanges etc. Fifthly, Mun focused on Korean-American relations as a part of modern foreign relations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Specifically, he dealt with American missionary, Korean emigrants, and Korean study abroad students etc. As important factors for Korean progress and cultural transformation, Mun considered these encounters to be very critical. It is meaningful that Mun`s cultural nationalistic works put Korean history as a developing one with incessant encounter with outer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