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사실적 비주얼 광고의 감성 반응과 광고태도 효과

        안의진(Eui Jin Ah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이 논문은 비사실적 비주얼 광고의 수용자 감성 반응과 광고태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광고사진 크기의 조절효과 역시 가설로 제시하였다. 인쇄광고를 조작하여 2(광고 유형: 비사실적 비주얼광고/사실적 비주얼 광고) × 2(광고 크기: 큰 사이즈/작은 사이즈) 실험 방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사실적 비주얼 광고가 수용자의 감성 반응과 광고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광고 크기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광고 연구 및 실무와 관련 논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unrealistic ad visuals on consumers` affective responses and attitudes toward the ad. Picture sizes were also hypothesized to moderate the impact of the unrealistic visual image on consumers` affective responses and attitudes. In a 2 × 2 experiment, ad visual types and picture sizes were manipulated in a print advertisement. The results supported the effect of unrealistic ad visuals on consumers` affective responses and attitudes.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picture size was not found. Conclusions from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practice are offered.

      • KCI등재

        TV드라마 광고의 광고효과 : 사실감, 공감, 광고 태도

        안의진(Ahn Eui-Ji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3

        본 연구는 TV광고드라마의 광고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53명의 실험연구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TV드라마광고를 보여준 후 설문형식을 통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l)TV드라마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사실감은 공감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2)공감반응과 광고태도, 인지반응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3)TV드라마광고의 플롯형태에 따라 공감과 광고태도, 인지반응의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마지막에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levision drama advertising in terms of the viewer's verisimilitude, the empathic response, and the attitude toward ads. Specifically, an experimental study employing 153 participants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among verisimilitude, empathy, and attitude toward ad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natur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1) verisimilitude and empathy, and (2)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ad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3) differenc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attitude toward ads depending on the plot types of TV drama advertis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practice of advertisers are considered,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The Conditional Effects of Black-and-White Visuals on the Realistic Image

        안의진(Ahn Eui-Jin),이희욱(Yi Huiu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5 소비문화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흑백비주얼의 사실적 이미지 지각효과가 비주얼 내용에 따라 혹은 수용자에 따라 조건적임을 검정하였다. 대학생과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비주얼 컨텐츠 노출에 대한 시나리오 제시 결과에 의하면, 비주얼의 내용이 (1) 공룡(혹은 신라시대)인 경우 연구 참가자들은 흑백 비주얼보다 칼라 비주얼에 더 사실감을 지각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나, 반대로 비주얼의 내용이 (2) 김구(혹은 육이오 전쟁)와 관련된 경우에는 흑백 비주얼이 칼라 비주얼보다도 더 사실감을 줄 것이라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흑백비주얼의 사실적 이미지 효과가 비주얼 내용물에 따라 조건적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불어 흑백 비주얼의 사실적 이미지 특성은 여러 가지 상황적 요인에 의해 변화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3) 개인의 과거 회상(초등학교시절)에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은 연령이 적을수록(많을수록) 어린 시절의 이미지 회상을 칼라(흑백)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미래 세대들에게 흑백이미지가 사실적 상징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한받게 될 가능성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흑백광고의 주요 전략적 핵심중의 하나인 사실적 이미지 효과가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으며, 더구나 앞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 등의 새로운 영상기술의 발전(과거를 생생한 칼라로 기록, 보존, 재생하는)과 함께 향후 흑백광고의 전략적 위치를 재조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Although people perceive black-and-white as natural visual images, black-and-white visuals are in fact an unrealistic visual transformation because life is in color. Visual history has molded one aspect of current black-and-whit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realistic image effects of black-and-white visuals are condition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alistic image of black-and-white visuals may be relative to visual contents as well as receivers.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creatives are discussed.

      • KCI등재

        관객은 허구에 불과한 공포영화의 괴물을 왜 무서워하는가?

        안의진(Eui-Jin Ah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6 No.-

        영화 관객의 공포감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서 생성된다. 그 중에서 위협의 대상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공포감이 어떻게 허구의 공포영화를 보는 수용자에게 발생하는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왜냐하면 관객은 공포영화의 괴물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믿는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픽션 패러독스라고 명명되는 이러한 모순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설명이 제시되었지만 이 논제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객의 감각 과정에 의한 괴물의 존재감 경험에 초점을 맞춰서 공포반응 과정을 설명하였다. Fear-responses in movie viewers are elicite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ways. Among these, it has been questioned how fear, which is based on existence beliefs, can be aroused by monsters in fictional horror movies, because it cannot be said that the viewers actually believe in the monsters’ existence. Although many solutions to the paradox have been suggested, the issue has not yet been properly settled.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fear-response process by focusing on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monster’s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