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聞かれる』の意味用法について

        安善柱(Ahn Soun ju)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日本語の聞くは、物音や人の話を耳でとらえると答を求めて問うといった、いわば、話をサレル側と話をスル側の両方の意味を持ち合わせており、これらは、間接受身と直接受身といった、種類の異なる受身としてそれぞれ使われるなど、その使い方が分かれている。現に、聞く聞かれるをめぐっては、話をサレル側の物音や人の話を耳でとらえるを表す聞くと、話をスル側の答を求めて問うを表す聞くの受身の聞かれるが、それぞれ言われると関わりを持つなど、複雑な様相を帯びている。本研究では、答を求めて問うを表す聞くからできた聞かれるの意味用法を、言われるとの関連性を考えながら調べた。聞かれると言われるは、聞くと言うの受身の形をしており、話をサレル側として同じスタンスに立っているもの同士であり、互いに何らかの関連性が認められ、以下のような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聞かれると言われるは、聞くと言うといった、もともとの動詞の意味の違いから、その使い方が分けられている。言われるの場合、前の文がただの宣言か通知として受け入れられ、言われた側のリアクションがなくてもいいのに対して、聞かれるは、先行の文が疑問か質問として受け止められるため、聞かれた側からのリアクションが必要になる。聞かれるの特徴として、1人称、または1人称寄りの2人称の主語に視点が置かれており、先行の疑問文をとで受けるか、疑問に準じる名詞ををまたは、についてで受けることが多いということが言え、これらが聞か れるのプロトタイプのものとも思われる。一方で、互いに置き換えられる、言われると聞かれるの場合、それぞれの前には、文脈上ただの話しかけとも質問とも解釈し得る表現が来るようになる。但し、言われると聞かれるが互換可能といっても、それぞれの意味合いまでがまったく同じというわけではなく、言われるの方が、答のことを特に考えない、リアクションがなくてもいい、といったニュアンスが強く感じられると思われる。以上のように、聞かれると言われるは、構文上のプロトタイプに基づき、文脈の状況次第で、その置き換えが可能になるため、場合によってはその使い分けが微妙なときもないとは言えないであろう。さらに、聞かれるは、言われると同じく、受身の意識は薄く、元々の見出し語であるかのように思われるところがある。 「Kiku」 in Japanese has two separate connotations, ‘to listen’ and ‘to ask’, which illustrates the action of both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Its usage involves various forms of passive, including the passive form, and the active term used in a passive sentence. A complex approach is required when understanding the varied usage of 「kiku」, or to listen, associated with the ‘listener’, and 「kikareru」, a passive form of the noun 「kiku」, or to ask, associated with the ‘speaker’, as each has a link with 「iwareru」. In this research, the usage of 「kikareru」, the passive form of 「kiku」 associated with the ‘speaker’, with its relation to 「iwareru」, has been studied. 「Kikareru」 and 「iwareru」, each being the passive form of 「kiku」 and 「iu」, illustrate the action of the ‘listener’, cluing that an association to a certain extent exists between the two. The research has made findings as follows: The usage of 「kikareru」 and 「iwareru」 separates from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each verb, 「kiku」 and 「iu」. While 「iwareru」 often follows a declarative sentence which does not require a specific response from the listener, 「kikareru」 is frequently placed after an interrogative sentence, therefore requiring the listener’s response. One notable feature of 「kikareru 」 is that it highlights the subject of the first or second person pronoun. Together with this, it follows the previous interrogative sentence with the conjunction 「to」, or the interrogative noun with 「wo」 or 「ni-tuite」. Above are the so-called prototypes of 「kikareru」. On the other hand, 「iwareru」 and 「kikareru」 which can replace each other, commonly follow an expression that can be understood as both a simple declaration or an interrog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ough the two are capable of replacing one another, this does not automatically make the meaning implied. In case of 「iwareru」, it alludes that no answer or response is required from the listener. Like this, the interexchangeability of 「kikareru」 and 「iwareru」 depends on the context of the sentence with its prototype. It is therefore possible to make an assumption that the usage may vary. Lastly, 「kikareru」, like 「iwareru」, is more likely to be used in forms of a verb, due to the lack of its notion as being a passive form.

      • KCI등재
      • タラ文の意味と機能について

        安善柱(Ahn, Soun-ju) 부산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日本硏究 Vol.12 No.-

        일본어에는 「조건」을 나타내는 형식인 「タラ」가 미래의 [때]를 나타내는, 이른바 확정조건이라고 불리는 표현이 있다. 이에 대해 豊田(1987)는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미래의 시간을 조건의 형태로 말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고 그 의미용법에 대해서 橫林 . 下村 (1988)는 「その時」 혹은 「その後で」 、森田(1990)은 「~タトキニ、~テカラ」 와 같다고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시간표현인 「タラ」의 의미용법 및 그 기능에 대해 고찰하여 때의 표현에 왜 조건의 형태가 쓰여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고찰방법은 「タラ」가 쓰인 미래의 시간표현을, 두 문을 잇는 가장 기본적인 조사인 「テ」와의 비료를 포함하여, 선행연구에서 들고 있는 여러 시간표현인 「テカラ」 「タアトデ」 「トキ」 「トキニ」와의 비료를 통하여 그 의미의 차이와 문 속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기로 하였다. 그 결과 「タラ」는 전후문의 주어일치여부나 문말표현 등에 따라 여러 시간표현들 중 치환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었으며 그 의미에 있어서도 「미래의 어떤 시간의 상황에서」라고 하는 다소 폭넓은 시간범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상황에 따라, 전후관계로 해석되는 「テ」나 「テカラ」 「タアトデ」 「トキ」 「トキニ」 중 어느 하나에 보다 폭넓은 시간이 더해진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タラ」는 이 모두를 두루 아울러 여러 상황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가정조건은 전건의 성립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전건의 성립이라는 가정하에 후건을 제시하는 표현인데 반해, 확정조건이라고도 불리는 미래의 시간표현은 전건에 제시되는 시간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이기에 단정이 아닌 조건의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표현인 것이다.

      • KCI등재

        진단검사결과의 교환을 위한 임상콘텐츠모형 개발

        안선주(Ahn, Sun-J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9

        의료정보화의 가속화로 기관 간 교환되는 의료정보의 의미적 호환성 보장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진 단검사결과는 의료정보 중에서 교환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검사결과의 교환을 위한 임상콘텐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기간은 ‘08년 3월부터 ’08년 9월까지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Health Level 7의 참조정보모델과 진단검사 분야 표준용어체계인 LOINC로부터 각각 속성과 코드를 도출하였다. 둘째, 진단 검사 처방 및 검사결과보고의 업무 과정별 속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속성이 HL7의 참조정보모델에서 제공하는 속 성으로 표현이 가능한가를 검토하였다. 셋째, 확정된 속성과 임상콘텐츠모형의 구조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 원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를 포함한 5명의 전문의가 원형에 대한 안면 타당도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 가 내용은 본 모형이 진단검사결과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평가 결과 본 모 형은 개발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모형은 향후 진단검사영역의 정보교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Due to the acceleration of medical information age,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clinical information is rising up as a major issue. The laboratory results are known as the best significant area among clinical information to be required for exchanging and sharing.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clinical contents model for exchange laboratory resul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8 to September 2008. Firstly, the method is to get the attributes and codes from LOINC which is one of the standard medical terminology system related to laboratory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Model(RIM) of Health Level 7(HL7). Secondly, the attributes from each work process around orders and reports of laboratory was analyzed. We evaluated the attributes whether they could be represented into the attributes contained in HL7's RIM. Thirdly, the prototype for hemoglobin case using the structure of clinical contents model and defined attribute. Fourthly, the face validity was done by one laboratory physician with four clinicians. The assessment contents were for the suitability involved in representation and exchange with proposed model. The results shows that the model corresponds with the aim of the research. Eventually the proposed model for the exchange of laboratory results could contributes to information interchange according to laboratory area for the future.

      • KCI등재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기반한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안선주(Ahn, Sunju),박해범(Park, Haepum),송승용(Song, Seungyoug),류지영(Ryu, Jiyoung),김수화(Kim, Suhwa)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1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의 WHO 사무소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신종 감염병으로, 2020년말까지도 백신과 치료제와 같은 약물학적 수단이 없어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비약물학적 방역수단의 활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WHO의 지침과 ISO의 표준은 검사를 통해 빠르게 환자군을 찾아내고, 조기에 격리 및 치료하기 위한 기준으로 충분하지 않다. WHO의 국제보건규정을 포함한 지침은 제도와 정책적 차원의 권고가 많은 반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려면 집단 및 지역사회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비약물학적방역수단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기반한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해서 시행되었다. 먼저 2020년2월부터 4월까지 국제기구가 배포한 지침과 국내외 비약물학적 방역정책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자료에 근거해도출된 최소단위의 국제표준화 후보 항목을 유사성에 따라 통합하고, 정성적 지표인 ‘팬데믹 표준화 항목 적정성평가지표’로 통합한 후보 항목을 평가하였다. 최초 표준화 후보 항목은 28개였고, 팬데믹 표준화항목 적절성 평가지표로 평가한 결과 14개로 확정되었다. 확정된 14개의 항목은 정부가 추가한 4개 항목과 함께 2회에 걸쳐 방역 전문가그룹인 정책협의회에 의해 검토되었으며, 그 필요성과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아 한국의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로드맵’에 반영되었다. 표준제안 우선순위에 따라 총 7종의 표준이 ISO에 제안되었으며, 팬데믹 대응용 표준개발을 전담하기 위한 작업반이 신설되었다. 앞으로 팬데믹 발생 주기는 더 짧아지고 그 위험도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팬데믹 대응용 비약물학적 표준화 항목이 인류의 팬데믹 대응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a highly contagious virus that causes coronavirus disease (COVID-19), the first confirmed case of which was repor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Wuhan, China. An active use of non-pharmaceutical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is essential for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deri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tems based on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non-pharmaceutical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implemented worldwide, including South Korea, between February and April, 2020, and assess these items by qualitative indicators to present standardization items required for pandemic response. This study collected the scientific evidence-based data regarding policies, procedures, and protocols for COVID-19 testing, tracking, tracing, and treatment from offline and online sources, including PubMed, Google, and Naver, and examined and analyzed such data. Based on the analyzed data, minimum units of internationally standardizable items were derived. After grouping similar items, the groups were assessed by the expanded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andemic standards” based on the ISO directive. Screening stations, social distancing, and temporary medical facility were initially included in the 28 new work items. These items were condensed to 14 items were subsequently confirmed from assessment based on the seven selection criteria. The 14 confirmed items were reviewed twice by a consultation group that included three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s, and in recognition of their necessity and validity, the items were reflected in the South Kore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roadmap for pandemic response. With the public health system being paralyzed by unprecedented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an importance for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 that can be shared and compatible in all countries is growing.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pos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tems for systematic pandemic response. The developed standardization items could be used not only in advanced countries but also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o enhance the pandemic response capability of humans.

      • KCI등재

        『という』의 쓰임에 관한 일고찰 - 연결고리로써의 『という』의 용법에 주목하여-

        안선주(Ahn, Soun-Ju)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8 No.-

        In this study, the usage of “Toiu(という)” is examined, focusing on expressions such as “phrases (equivalent phrases)+という+[ことにする/ことになる]”, and “sentence (equivalent phrases)+という+[ので/のに]”. When “ことにする” connects to a statement or clause, “という” is optional when the previous sentence form is a verb ending. Here, “という” plays a role as a link, but is also used to highlight the previous sentence based on the nuances of the citation and hearing, or for the purpose of demarcating the range of the long preceding sentence. Other than this, “という” is absolutely necessary between the previous sentence and “ことにする”, because it does not only serve as a connecting element, but also emphasizes the previous sentence based on the basic usage of citation. It also indicates the nuance. Except when the previous sentence has a ル-form, inserting “という” in any type of sentence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with “ことになる”. The “という” between the previous sentence and ‘ことになる’ that connects behind it acts as a link, so it cannot be directly quoted, but the previous sentence stands out because it connects back and forth with such a nuance at its basis. In addition, if the previous sentence is an utterance sentence, “という” also binds and limits the range of the long previous sentence. Since “という” in front of “ので”, which is a connection postposition of the cause and reason, is basically used as a meaning of quotation, the meaning of the state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という”. However, if the speaker already knows the previous sentence or i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s clear enough, the presence of “という”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Still, the use of “という” will highlight the preceding sentence. In addition, when trying to connect incompletely finished sentences by enumeration, etc., “ので” or “という” becomes absolutely necessary as a link, and in this case, “という” plays a role of limiting the long sentenc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というin front of のにis used as a quotation. In other words, most of the preceding sentences of “というのに” are already recognized by the speaker, and for this reason, it can also be substituted with “のに”. When “という” is used as a link like this, the unexpectedness of the previous sentence becomes more prominent.

      • KCI등재

        임상정보모델 개발원칙의 개발과 적용

        안선주(Ahn, Sun-J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8

        임상정보모델이 전자건강기록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임상정보의 의미적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 과 기능이 반영된 개발원칙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정보모델의 개발원칙을 개발하고, 이 원칙을 적용하여 임상정 보모델인 임상콘텐츠모형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발원칙의 정의를 위한 연구대상은 ①정의 ②기능 ③품질 요건을 고찰하고, ④선진 모델의 구성 요소와 같은 선행 연구였으며, 연구기간은 ‘08년 11월부터 ’09년 3월까 지였다.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개발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문헌에서 주제어와 주제어구를 도출하고, 이의 임상적, 기능적 중요도와 빈도를 기준으로 개발원칙을 확정하였다. 적용단계에서 개발원칙을 이용하여 임상콘텐츠모 형 30개를 임상정보모델 전문가 3인이 평가하였다. 환류단계에서 평가 대상 중 오류가 발견된 임상콘텐츠모형이 수정 되었다. 연구 결과 구조, 과정, 내용의 3개 범주로 구성된 18개의 개발원칙이 도출되었다. 임상콘텐츠모형을 평가한 결과 개발원칙을 준수하지 않은 것은 총 17개였다. 환류 과정에서 개발원칙의 심화교육, 개발원칙을 이용한 정기적 질 향상 전략이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개발원칙은 개발자에는 모델 개발 기준으로, 평가자에게는 모델의 질 평가기준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임상정보모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o be applicable under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in order to ensure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clinical information, the development principle for clinical information model to reflect objective and function is requir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evelopment principles for clinical information model and evaluate the Clinical Contents Model. In order to develop the principle, from November 2008 to March 2009, the surveys about 1) definition, 2) function and 3) quality criteria were done, and 4) the components of advanced model were analyzed. The study was processed in 3 levels. Firstly in the development level, key words and key words-paragraph were driven from the references, and the principles were drawn based on the clinical or functional importance and frequency. In the application level, the 3 experts of clinical information model assessed 30 Clinical Contents Models by applying it. In the feedback level, the Clinical Contents Model in which errors were found was modified. As the results, 18 development principles were derived with 3 categories which were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s. The Clinical Contents Models were assessed with the principles, and the 17 models were found that they did not follow it. During the feedback process, the necessity of the advanced education of the princip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ular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to use it is raised. The proposed development principle supports the consistent model-development between clinical information model developers, and could be used as evaluation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