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안서헌(Ahn, Seo Heon),김준(Kim, Jun),이정표(Lee, Jung 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촉발된 원격수업으로 인하여 초등교사가 기존에 인식하고 있었던 역할 및 정체성이 어떻게 유지되고 변화되고, 생성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3명의 평정자와 1명의 감수자로 연구팀이 구성되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개 영역, 10개 범주, 23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의 본질 영역에서 ‘초등교사의 역할’, ‘초등교사의 정체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원격수업 경험 인식 영역에서 ‘원격수업 준비’, ‘원격수업 경험’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수업의 한계 영역은 ‘수업 과정에서의 문제’, ‘학습 결과에 대한 문제’로 나뉘었다. 넷째, 원격수업의 가치 영역에서 ‘학생 중심 수업의 재발견’, ‘변화 하고 성장하는 교사’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교직의 미래에 관한 영역에서 ‘학교의 중요성 재확인’, ‘적응과 확장되는 교사역량’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적 변화 요구와 환경에 따라 초등교사의 역할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정체성의 유지와 변화,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생성해 나가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기관에 대한 초등교사의 지원 요구와 소통의 필요성과 방안, 미래 초등교사의 역량과 역할에 관한 논의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oles and identities have maintained, changed and created due to distance learning which has been started by corona 19 pendemic.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elementary school teagers who teaching distance learning and it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yielding 5 domians, 10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classifi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perceived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essential elementary education. Second, we perceived ‘distance learning preparation’ and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in terms of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Third, the limitations of distance learning were split into ‘problem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problems about learning outcomes’. Fourth, we perceived that ‘rediscovery of student-centered learning process’ and ‘changing and growing teachers’ in terms of distance learning values. Fifth, we perceived that ‘reconfirmation of the importance of school and ‘adapting and enhancing teachers’ competency in terms of the fu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ofession.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 demands and circumstances, and that identity was maintained and changed, and a new identity was being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 points on the needs and pla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pport, communication needs, and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and rol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erived.

      • KCI등재

        미래지향적 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IB PYP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진호 ( Han Jin-ho ),임유나 ( Lim Yoo-na ),안서헌 ( Ahn Seo-heon ),장소영 ( Jang So-yo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하나의 프레임웍으로써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IB PYP)의 특징과 의의를 탐색하고, 실제 학교 교육과정 개선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의 방향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미래형 학교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탐색하였고,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권한과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환경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IB PYP와의 접점을 찾음으로써 미래교육의 방향과 IB PYP의 연계성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실제 초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IB PYP의 관점에서의 개선 방향과 학교 교육과정의 질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IB PYP의 방향을 적용함으로써 단위학교 학교 교육과정을 개선·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절충적 시도는 양질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라는 본질적 목적에 상응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IB PYP) as a framework for future-oriented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dentify its utilization by applying it to actual school curriculum improvement. To this e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operating system. Also, the connectivity between future education directions and IB PYP was identified by finding an interface with IB PYP in six aspects of decision-making powers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environment. Furtherm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B PYP were derived from the actual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and expanding the school curriculum by applying the directions of IB PYP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This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critical purpose of manag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 PYP의 총론적 연계·비교

        장소영(Jang, So-Young),임유나(Lim, Yoo-Na),한진호(Han, Jin-Ho),안서헌(Ahn, Seo-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IB PYP를 연계·비교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IB PYP 적용 용이성을 파악하고 IB PYP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와 법률을, IB PYP와 관련해서는 IBO 발행 자료들 중 IB PYP를 안내하는 주요 문서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고, IBO의 주요 발행 자료 수집, 선행 연구 분석, 연구진 협의를 통해 구성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상호 연계·비교하였다. 결과 우리나라와 IB 교육과정의 교육이념과 목적은 지향점이 같았고,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습자상, 핵심역량과 학습방식에서의 기능들은 서로 유사하거나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등, 추구하는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에서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육목표에서 경험과 삶을 강조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서 학생의 요구 반영, 학생 참여와 협력 강조, 개념 중심 학습, 평가 결과 안내 및 지속적 개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였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및 세부 사항에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의 수립, 인사조직, 교원역량 계발 및 협력, 가정·지역사회와의 연계, 교수학습 설계, 교수학습 환경, 교수·학습 평가 방법, 평가 결과에 대한 환류, 그리고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기회 제공의 측면에서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IB PYP 총론적 요소들 간 높은 연계성과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IB PYP 도입 가능성을 높이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선진적이라 평가받는 IB PYP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추구하는 인간상 개선, 핵심역량의 의미와 타 요소들 간의 관계 명확화, 초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확대 적용 검토,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및 세부 사항의 체계화 등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IB PYP and the implications of IB PYP to Korean Primary school curriculum through comparison of IB PYP and the Korean Curriculum for the Primary Schools. Methods For the study, IB PYP documents published by IB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law in Korea were used. The framework for analysis was creat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consultations with researchers. Results The vision and Principles of Korean curriculum and IB PYP were generally similar or highly related. Standar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between Korean curriculum and IB PYP were also quite link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ot difficult to apply IB PYP to primary schools in Korea. Furtherm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Korean Curriculum framework from the perspective of IB PYP were derived.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기초학력 양상 탐색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의 학교 인식 변화

        이정표(Jung Pyo Lee),정영식(Young Sik Jeong),양희원(HeeWon Yang),안서헌(Seo Heon Ahn),김재윤(Jae-yun Kim),서순식(Soonshik Suh)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 기간 온·오프 병행 교육환경, 학생들의 기초학력 수준 변화와 학생 간 학습 격차 양상 탐색을 통해 교사의 학교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17명의 교사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경향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152개의 개념과 36개의 범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인과적 조건은 [개인 여건의 결핍, 불충분한 학교 환경, 그리고 땜질식 정책],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계층 차 그리고 사교육 유무], 주요 현상은 [기초학력 문제의 발생 및 심화], 중재적 조건은 [학교 환경의 변화], 행위/상호작용 전략은 [학교 역할 인식의 재구조화], 결과는 [교사를 기점으로 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활성화]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선택 코딩에서는 축코딩 결과를 수정·보완하는 형태로,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시각화하여, 코로나19 기초학력 양상 탐색 과정에서 교사의 학교 인식 변화를 간략하게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코로나 19를 겪으며 기존의 기초 학력 중심 인식에서 벗어나 사회화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학교 역할 인식을 변화시켰다. This study explored change in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y levels and learning gaps between students in an online and offline parallel education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the process, It was revealed how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change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17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152 concepts, 36 categories, and 7 them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 is [lack of personal circumstances, insufficient school environment, and tinkering policy], the contextual condition is [social class differences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the main phenomenon is [occurrence and deepening of basic academic ability problems], The intervening condition is [change in school environmen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is [restructuring of school role perception], and the result is [activation of social interaction starting with teachers]. Based on this, in selective coding, a matrix was constructed and visualized in the form of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axial coding result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e role of schools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socialization functions,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centered on basic academic skills through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