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발아 유색미의 GABA(${\gamma}$-aminobutyric acid) 함량 분석

        안미경,안준배,이상화,이광근,An, Mi-Kyoung,Ahn, Jun-Bae,Lee, Sang-Hwa,Lee, Kwang-Geun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현미, 녹미, 홍미, 흑미 4종의 유색미의 발아에 따른 GABA 함량을 분석하고 백미와 함께 비교하였다. HPLC/FLD를 이용하여 GABA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과 검출한계를 설정하였다.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122.4${\pm}$2.4%, RSD는 2.0%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23 ${\mu}g/g$, 정량한계는 0.76 ${\mu}g/g$이었다. 시료는 $18^{\circ}C$에서 20시간 침지시킨 후, 30에서 20-24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발아미, 미발아미 및 백미의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아 홍미가 293.6 ${\mu}g/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홍미와 백미가 각각 26.4, 11.9 ${\mu}g/g$으로 가장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발아미와 미발아미의 GABA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미를 제외한 현미, 홍미, 흑미는 미발아미에 비해 GABA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2.5-11.1배 증가 하였다. 백미와 미발아미를 비교해 본 결과, 백미와 홍미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현미, 녹미와 흑미는 백미의 GABA 함량인 11.9 ${\mu}g/g$에 비해 7.6-20.6배 높은 함량이었다. 백미와 발아미 사이에는 발아미는 모두 백미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백미에 비해 발아미의 GABA 함량은 19.0-24.7배 높았다. The level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pigmented rice wa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etermin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HPLC/FLD). In this study, the recovery rate and limit of detection (LOD) of GABA were 122.4${\pm}$2.4% and 0.23 ${\mu}g/g$, respectively. The geminating pigmented rice samples, which were harvested in Paju, Korea, were soaked in water at $18^{\circ}C$ for 20 hr. After soaking, the samples were germinated at $30^{\circ}C$ for about 24 hr. GABA content was highest (293.0 ${\mu}g/g$) in the germinated red rice. Furthermore, GABA levels in the germinated rice increased significantly by up to 11.1 and 24.7-fold as compared to non-germinated rice and milled rice, respectively. The GABA concentrations of non-germinated rice, with the exception of red r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illed rice by 7.6-20.6-fol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기농 녹차잎을 이용한 녹차음료의 개발

        안미경(Mi-Kyoung An),안준배(Jun-bae Ahn),이광근(Kwang-Ge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유기농 녹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유기농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엽은 일체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기법으로 재배한 시료를 사용하였고 채취시기가 다른 4월, 5월, 6월차와 반발효차를 수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정량ㆍ정성 분석하였으며 녹차추출물의 색도와 pH를 측정하였다. 0.5%의 4월, 5월, 6월, 반발효차의 카테킨류는 각각 66.24, 29.19, 57.11, 5.27 ㎍/mL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카테킨류 중에서 EGCg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EGC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녹차 음료의 생산을 위해 카테킨류의 함량, 다엽의 가격, 수확량을 고려하여 6월차를 선택하였다. 6월차를 0.05, 0.1, 0.2, 0.5%로 추출하여 카테킨류를 정량한 결과, 0.1, 0.2, 0.5%는 0.05%에 비해 각각 1.50, 11.78, 41.09배 증가하였다. 6월차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밝기가 증가하였고, 가장 밝고 녹색과 황색의 색이 짙었다. 반발효차의 pH는 5.83이었으며 나머지는 6.33-6.38의 범위를 가졌다. 6월차의 기호도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색상 기호도는 0.1%, 향기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는 0.2%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단맛, 신맛, 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0.2%가 음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음료 제작 후, 저장 기간에 따른 녹차의 색 변화를 줄이기 위해 저장성 실험 결과 탄산수소나트륨을 0.03%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organic tea leav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organic beverage process. The green tea leaves grown using organic farming techniques were collected in Haenam, Korea. Catechins in green tea leaves were extracted by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and these were then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The color and pH values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also measured. The catechin levels of April-harvested, May-harvested and June-harvested, semi-fermented leaves at 0.5% were 66.24, 29.19, 57.11, and 5.27 ㎍/mL, respectively. Among the detected catechins, the level of (-)-epigallocatechin gallate was the highest while that of (-)-epigallocatechin was not detected. The June-harvested leaves were selected as raw material for development of the green tea beverage, based on the levels of catechins, economic viability and yield of tea extract. As the level of extract increased, the levels of catechins of 0.1, 0.2, 0.5% also increased by 1.5, 11.78 and 41.01 times. From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June-harvested leaf-extract, the sensory score of color was the highest in 0.1%, while the flavor and overall quality were the highest in 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