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구 박사의 개혁파 조직신학 방법 연구

        안명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4 성경과신학 Vol.109 No.-

        이 논문은 개혁신학자 이승구 박사의 조직신학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그는 1990년 이후 한국교회와 한국 신학계에서 많은 활동을 하는 학자 중에 한 명이다. 그는 많은 학술서적을 번역했으며, 자신의 저서와 세계 신학계의 중요한 논문을 출판했다. 본 연구는 박윤선 박사, G. Vos, C. Van Til, 그리고 D. Wells의 영향을 받은 그의 개혁신학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그의 개혁신학의 전제, 원리, 방법,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의 개혁신학이란 성경에 기초하고 있으며, C. Van Til이 사용한 그의 조직신학 방법론은 G. Vos와 함께 성경신학에 기초하고 있다. 그의 개혁신학의 특징은 하나님 주권을 강조하는 것, 성경에 충실한 조직신학을 추구하는 것, 공교회의 신조들에 매우 충실한 신학과 교회를 위한 신학을 추구하는 것, 언약 신학(covenant theology)을 중시하는 것, 그리고 하나님 나라 신학을 강조하는 것이다. 올바른 성경적 신학의 온전함을 이루기 위한 그의 개혁신학적 성경신학적 접근의 유익을 살펴본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thod on the Reformed Theology of Seung-Goo Lee. H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in Korea who has influenced upon the Korea Church and the field of theology of Korea since 1990. He translated many academic book of theology, and published many books and the important articles in the global world of theology. This research is to show how to form his Reformed Theology influenced by Yune-Sun Park, G. Vos, C. Van Til, and D. Wells, to investigate the presupposition, principl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his Reformed Theology. He insists that Reformed theology is based on the Scriptures, and his method of systematic theology used by C. Van Til is founded on the biblical theology with G. Vos. The characteristics of his Reformed theology are to show God’s sovereignty, to pursue systematic theology faithful to the Bible, to pursue theology very faithful to the creeds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ology for the church, to emphasize on covenant theology, and to emphasize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His Reformed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ical approach to achieve the integrity of correct biblical theology is a valuable legacy that passes on valuable values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안명준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3

        경관과 정원은 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실천 매체로 부각되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정원을 프레임으로 도시를 살펴본다. 정원은 도시민의 활동 매체로 재설정되고 있으며, 도시 재생과 도시형 마을 만들기의 중요한 실행 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에서 본 논문은 정원을 매개로 나타나는 도시 구조와 도시민의 행태, 그 과정 및 결과에 집중하여 볼 때 현시대 우리에게 적합한 조경이론으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제안한다. 이것은 한 세기 넘도록 진화해온 조경을 되돌아보며, 조경의 정체성을 되묻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먼저 정원과 도시 사이에서 조경의 씨앗을 품어둔 바 있는 에벤에저 하워드(Ebenezer Howard)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에 주목하며 ‘작동하는 경관과 감응하는 풍경’이 도시의 기본적 요소이자 조경이론의 시작이었음 을 정원도시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세기를 지나며 그들의 이상이 도시에 모두 구현되지는 못하였으나, 현재는 동아시아 도시에서 전통 정원문화에 기반한 정원의 원형이 형성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는 조경이론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버전의 정원 개념은 우리 도시에서 생활 인프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것이 작동하기 위한 새로운 정원도시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별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논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현대 도시에서 나타나는 정원과 동아시아 정원문화의 가치는 공동체성(community)과 통합성(integrity)을 주제로 형상화되고 있다. 둘째, 아파트로 대표되는 한국적 공동체성은 가드닝(gardening)으로 표출되며 도시와 생활의 재결합과 그것을 지원해줄 전문분야로서 조경의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셋째, 동양적 자연관에 기초한 도시 기반, 일상생활, 정원 매체, 즉 도시-생활-정원이 유기적인 실천론으로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고민해 본다. 결과적으로 현대의 정원과 도시는 동아시아 조경문화, 정원문화에서 아직 재발견이 필요한 중요한 요소와 가치들을 찾고 있음이 확인된다.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제안이 조경의 지속을 담보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계기로 조경뿐만 아니라 도시와 관련한 모든 분야가 협업하며 정원도시를 고민하는 기회는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도시 또는 밀집 도시에 적합한 정원과 도시의 개념, 공동체성에 기반한 정원문화의 확산과 지원 방안, 생활방식과 지형조건에 적합한 조경이론/설계이론의 진화, 기후변화 대응이 가능한 지속가능한/회복탄력적인 정원도시론 모색, 그리고 21세기 조경의 새로운 역할 설정” 등이 본격적으로 고민되길 기대한다. Landscapes and garden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dium of practice in contemporary cities.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city through the frame of gardens. This is because gardens are being reconceptualized as a medium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ac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villa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landscape theory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by focusing o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e medium of garde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is both a process and a result of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landscape for over a century and rethink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We first examined garden city theory, noting that Ebenezer Howard and Frederick Law Olmsted'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cities were not so different, and that "working and responsive landscapes" were fundamental to cities and the beginning of landscape theory. We also examine how their ideals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in cities over the past century, but the prototype of gardens based on traditional garden culture is now being formed in East Asian cities, and the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 in response. The conclusion is that a new version of the garden concept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living infrastructure in our cities, and a new garden city theory is needed to make it work. To this end, each chapter examines three arguments, as followsFirst, the values of gardens and East Asian garden cultures in contemporary cities are shaped by the themes of community and integrity. Second, Korean communality, represented by apartments, is expressed through gardening and requires the reconciliation of city and life and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pecialized field to support it. Third, we examine and consider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theory of practice in which city-based, everyday life, and garden mediums, i.e., city, life, and garden, are organic,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ontemporary gardens and cities are looking for important elements and values that still need to be rediscovered in East Asian landscape and garden cultures. Although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cannot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landscaping,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all fields related to cities, not just landscaping, to collaborate and consider garden cities. Through this, it ishoped that "the concept of garden and city suitable for metropolitan or dense cities, ways to spread and support garden culture based on community,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design theory suitable for lifestyle and terrain conditions, search for sustainable/resilient garden city theory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new role for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seriously consider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