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드로후서 1:4와 신격화

        이충만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신격화(θεοποίησις 혹은 θέωσις)는 20세기 중후반부터 서방 신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루터파 신학자 중에서는 “새 핀란드 학파”(the New Finnish School)라 칭해지는 마르틴 루터(1483-1546)의 신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장을 연 투오모 만네르마(Tuomo Mannermaa, 1937-2015)가 신격화를 루터파 전통 안에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개혁주의 신학자 중에서는 토마스 F. 토렌스(Thomas F. Torrance, 1913-2007)가 신격화를 칼빈과 개혁주의 전통과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학자들에게 신격화는 “매력적임과 동시에 두려움을 주는 신비”(mysterium fascinans et tremendum)로서 여전히 논의해야 할 4가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신격화는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존재론적 차이를 희석한다; 둘째, 신격화는 우리 밖에서(extra nos) 이루어진 칭의의 법정적 측면을 약화한다; 셋째, ‘신격화’라는 개념의 정의가 다양하거나 혹은 불명확하다; 넷째, 신격화에 대한 성경 주석적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본 논문은 ‘신격화’와 관련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제기되는 이 네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신격화의 대표적인 성경 구절인 베드로후서 1:4를 해석하여 신격화에 대한 성경 주석적 근거를 제시한다. 또한 헬라 교부 중 니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y of Nyssa, c.335-c.395)의 신격화 이해를 다루어 신격화에 대한 교부신학적 이해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논문은 베드로후서 1:4와 그레고리우스가 말하는 신격화는 하나님의 본질(οὐσία) 혹은 본성(φύσις)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하나님이시고 주님”이신 그리스도께서 보이신 덕(에네르게이아, ἐνέργεια)에 참여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또한, 베드로후서 1:4와 그레고리우스의 기독론 중심적 신격화는 인간론적 가능성이 아니라 ‘우리 밖에’(extra nos) 있는 기독론적 가능성임을 제시함으로써, ‘법정적 칭의’를 통해 개혁주의 전통이 강조하는 것에 신격화가 부합함을 본 논문은 논증한다.

      • KCI등재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본 영계(靈溪)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자유의지론’

        안수강(Su Kang Ah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4 갱신과 부흥 Vol.33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영계(靈溪)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자유의지론을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그의 자유의지론에 나타난 핵심적인 사상들과 논점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거시적인 틀에서 길선주의 신학체계에 나타난 행위언약, 선천적 원죄와 자범죄, 부패와 타락, 자유의지, 모든 인간에게 내재된 종교심(宗敎心) 등에 관하여 분석했다. 둘째, 길선주의 ‘구원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칭의론에 관한 논증, 자유의지와 칭의의 관계성, 창세기 15장 6절 진술에 관한 이해와 해석, 신인협동설 등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셋째, 길선주의 ‘선택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예지예정, 선행적(先行的) 은총과 이 은총에 대한 인간 편의 응답 등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했다. 넷째, 길선주의 ‘심판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전능하신 속성과 심판 유형의 다양성, 심판의 정당성, 인간이 감당해야 할 모든 죄책(罪責) 등에 주안점을 두어 살폈다. 길선주의 신학사상에 비추어 추후 그와 관련된 담론을 외연하여 이 주제 외에도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시한부 종말론, 삼계론(새 예루살렘; 무궁안식세계; 지옥), 조상림보, 그리스도의 다섯 차례 강림, 그리스도의 다섯 차례 부활, 성경의 우화적 해석, 그리스도 재림의 내증과 외증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Rev. Yeong-gyae Seon-Ju Gil’s theory of free will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standpoint. I considered the important thoughts and points revealed in his theory of free will as follows. Firstly, in macroscopic approach I analyzed the covenant of works, the innate original sin and the actual sin, the corruption and decline, free will, religious mind of human beings, and so on in his theological system. Secon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alvation and free will’, I focused on the argument on just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will and justificati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enesis 15:6, synergism between God and man, and so on. Thir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ion and free will’, I studied foreknowledge predestination, antecedent grace and human response, and so on. Fourth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judgment and free will’, I examined the divine omnipotence and the various types of judgments, the legitimacy of judgment, human responsibility for all sins, and so on. In light of Seon-Ju Gil’s theological thought,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discourse into his other various themes such as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the eschatology setting a date for the end, theory of the three boundaries(New Jerusalem; the world of endless rest; hell), limbus patrum, the five adventures of Christ, the five resurrections of Christ,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ternal and external evidence in relation to the second coming of Christ, and other related areas.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의 개혁파 양립주의 : 필연과 우연에 대한 에드워즈의 견해

        김찬영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It is not doubtful that Jonathan Edwards is the outstanding philosopher and theologian of America. He is commonly regarded as New England's premier Reformed Pastor. But There have been several dissenting voices in the scholarships on Edwards as to whether his views of freedom of the will are classic Reformed doctrine or not, although he saw his theory of freedom of the will as common Calvinistic doctrine. While there are scholars that esteem Edwards' understanding of the will as standard Calvinism, some studies maintain that his notion of freedom of the will is a form of philosophical determinism and departs from the older Reformed tradition. The latter argument is allegedly based on the judgement that Edwards' understanding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has been changed from classic Reformed thought. This essay compares their views and languages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in the theologies of Edwards and Reformed orthodox theologian Francis Turretin. Although Edwards does not use the terms "necessity" and "contingency" in the same way of the Turretin, he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necessity, especially natural necessity and moral necessity. In addition, both Turretin and Edwards certainly deny absolute contingency incompatible with the divine foreknowledge and decree (perfectly consistent with certain theological determinism). Both fully agree that nothing including freedom of the will happens but by the divine will and knowledge. Edwards' views as much as Turretin's views can be called as Reformed compatibilism. 조나단 에드워즈가 미국의 탁월한 철학자며 신학자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는 뉴잉글랜드의 최고 개혁파 목회자로 흔히 간주된다. 그러나 에드워즈 학계에서 의지의 자유에 대한 그의 견해가 고전적 개혁주의 교리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분명 다른 소리들이 있다. 비록 에드워즈가 의지의 자유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공통적인 칼빈주의 교리로 간주했지만 말이다. 의지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를 표준적 칼빈주의로 간주하는 학자들이 있는 반면, 어떤 연구들은 의지의 자유에 대한 에드워즈의 개념이 일종의 철학적 결정론이며 오랜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주장한다. 후자의 주장은 필연과 우연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가 고전적 개혁주의에서 달라졌다는 판단에 기초한다. 본고는 에드워즈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 프란시스 투레틴의 필연과 우연에 대한 그들의 용법과 견해를 비교한다. 비록 에드워즈가 “필연”과 “우연”의 용어를 투레틴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을지라도, 에드워즈는 필연성의 종류를 구별하되, 특히나 자연적 필연성과 도덕적 필연성을 구별한다. 뿐만 아니라, 투레틴과 에드워즈 둘 다 (모종의 신학적 결정론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신적 예지와 작정과 양립할 수 없는 절대적 우연을 확실히 부정한다. 둘 다 신적 의지와 지식으로 말고는 의지의 자유를 포함해서 어떤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는데 완전히 동의한다. 에드워즈의 견해는 투레틴의 견해만큼이나 개혁파 양립주의로 일컬어질 수 있다.

      • KCI등재

        토마스 홉스와 존 로크의 근대철학이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의 자유의지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에드워드 윌리엄스(1750-1813)의 An Essay on the Equity of Divine Government and the Sovereignty of Divine Grace와 A Defence of Modern Calvinism을 중심으로

        유정모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omas Hobbes’ (1588-1679) and John Locke’s (1632-1704)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formed doctrine of free will in the late eighteenth and the early nineteenth centuries.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achieve the goal by examining the works of Edward Williams (1750-1813) who positively accepted Hobbes’ and Locke’s philosophical ideas to explain and defend Reformed orthodox theology.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ies of Hobbes and Locke on Williams’ doctrine of free will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discarding traditional Aristotelian faculty psychology, Williams presents his view of human free will on the basis of Lockean faculty psychology. Consequently, unlike Reformed orthodoxy which identifies the nature of human freedom with spontaneity and alternativity, Williams explains it focusing only on human spontaneity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tellect and will. Thus, for Williams, human freedom is only freedom from coercion or compulsion. Secon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Hobbes and Locke, Williams also argues that unlike traditional Reformed view, human will is not self-determining power and never be indifferent in nature at all time. Finally, William’s understanding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follows closely that of Hobbes and Locke. Consequently, since Williams denies the freedom of contrary choice and the existence of genuine contingency in the world, and explains human actions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absolute causal necessity, his doctrine of free will strongly implies deterministic nature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Hobbes and Locke. 본 연구의 목적은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와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의 근대 합리주의 철학이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의 자유의지론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개혁파 신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주의 자유의지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홉스와 로크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던 에드워드 윌리엄스(Edward Williams, 1750-1813)의 저작을 연구함으로써 월리엄스의 신학에서 나타나는 개혁파 신학과 계몽주의 철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다음과 같은 내용은 그의 자유의지론이 홉스와 로크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윌리엄스는 개혁파 정통주의가 따랐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능력심리학 대신에 로크의 능력심리학을 근거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논의를 펼쳐 나간다. 그 결과 자발성과 대체성으로 인간 자유의 특성을 이해한 전통적 개혁신학의 입장과는 달리 윌리엄스는 지성과 의지 사이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 없이 의지의 자발성에만 초점을 두고 인간의 자유를 설명한다. 따라서 윌리엄스는 인간의 자유를 단순히 ‘강압이 없다는 의미에서의 자유’로 이해한다. 또한, 윌리엄스는 로크와 홉스의 영향 아래서 기존 개혁주의의 설명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는 자기 결정적이 아니며 중립적인 성격을 전혀 갖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필연성(necessity), 및 우발성(contingency)과 같이 인간의 자유의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윌리엄스의 이해는 홉스와 로크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윌리엄스의 자유의지론은 기존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와 세상의 질서에서 우발성의 존재를 부인하고 모든 것을 절대 필연적 관점으로 해석함으로 말미암아 홉스와 로크의 사상과 매우 유사한 결정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이상규 박사의 역사관과 교회사 연구

        신민석(Min Seok Shi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이상규 박사는 교회사 연구에 있어서 뛰어난 역사학자이자 신학자이다. 2018년 2월 은퇴하기까지, 그는 공저와 편저를 포함해 총 57권의 단행본을 저술했고 177개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는데 그의 다작으로만 봐도 학자로서의 일가를 이루었음에 분명하다. 이상규가 일관되게 추구한 역사관으로 세 가지 원칙을 말할 수 있다. 첫째, 그는 통합사적 접근을 시도했는데 이는 본류로 비유되는 서양교회의 맥락에서 한국교회의 역사를 이해하고 또 서양교회의 전통과 유산을 한국교회의 눈으로 읽는 것을 말한다. 둘째, 그의 교회사 이해는 16세기 개혁주의 전통에 서 있었고, 좀 더 좁혀서 말한다면 화란의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위에 서 있었다. 셋째, 그는 사료와 사실에 정직해야 한다는 원칙으로 객관적 사실의 서술을 노력해왔는데, 이런 그의 연구는 실증주의 연구방법의 본을 보였다. 그의 연구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고신교회사 연구인데 초기 대표적인 작품인 『한상동과 그의 시대』(2006)는 인물 중심의 연구서이다. 둘째, 부산, 경남지방 교회사 연구로 당시 이 지역 기독교 운동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했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개척의 길이었다. 셋째, 16세기 종교개혁사도 그의 주요한 연구 분야로, 『교회개혁사』(1997), 『종교개혁의 역사』(2016), 『교양으로 읽는 종교개혁 이야기』(2017)를 출간했다. 후자의 두 권은 청소년 세대와 일반대중을 위해 간명하고 평이하게 기술한 작품이다. 넷째, 그는 초기 기독교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했는데, 23편의 논문을 기초로 한 『초기 기독교와 로마사회: 로마 제국 하에서의 기독교』(2016)는 주요 연구서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가장 중요한 연구분야는 호주장로교의 한국선교에 대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그의 박사학위과정 연구 결과인, To Korea With Lov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Work in Korea, 1889-1941(2009)는 2009년 호주빅토리아장로교 150주년을 기념하여 출판된 서적이다. 이상규 박사는, 자신에게 주신 은사와 재능을 소중히 여기며 학문적인 영영과 삶에서 그 소명을 이루어 간 교회사의 ‘큰 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Dr. Sang Gyoo Lee is a distinguished theologian and church historian. Until his retirement on February 2018, he published 57 monographs, including co-authored and edited books, and 177 academic essays. It is not surprising that he gained great fame. Three important principals are found in Lee’s entire view of history. First, he used integrative approach to history. He viewed history of the church in Korea in the context of the western church(mainstream), and understood the tradition and legacy of the western church in the eyes of the Korean church(tributary). Second, his comprehension of church history was based on the Reformed tradition of the 16th century and the Dutch Reformed theology. Third, he made constant efforts to describe objective facts by being honest with historical data and facts, and showed a good example for positivism studies. Lee’s study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First, his stud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Kosin). Han Sang Dong and His Times(2006) is his representative study, focused on prosopography. Second, his pioneering research of Christianity of Busan and Kyung-Nam province. Third, the Reformation. He published not only academic books for students and scholars, but also gripping books for the broad public and teen readers. Fourth,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in the Graeco-Roman world. Early Christianity and Roman Society(2016) is his insightful work. Last, history of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to Korea. To Korea With Lov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Work in Korea, 1889-1941, revised version of his doctoral dissertation, is a comprehensive work on this theme. It seems fair to evaluate that Dr. Lee was ‘a great mountain’ in church history, who tried to fulfill his calling on his life and academic field by using his talents and gifts.

      • KCI등재

        워필드의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에 대한 비판

        조윤호(Youn Ho J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8 갱신과 부흥 Vol.21 No.-

        B.B. 워필드(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는 청교도의 후손이었다. 그는 개혁주의 신앙을 유산으로 삼는 가정에서 자랐으며, 이러한 성장과정은 그의 신학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교수였던 워필드는 성경을 바탕으로 한, 초자연주의를 추구하는 신학자였다. 따라서 펠라기우스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를 나타내고 있는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신학 위에 세워진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워필드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워필드는 웨슬리의 가르침을 따라 ‘그리스도인 완전교리’ 를 말하고 있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를 이방인의 사상을 구하는 교리라고 단정한다. 찰스 피니(Charles G Finney)와 함께 ‘오벌린 완전주의’를 이끌었던 아사 마한(Asa Mahan) 그리고 스미스 부부(Mr. and Mrs. Pearsall Smith)와 윌리엄 보드만(William Edwin Boardman)이 주장하는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사람의 의지가 주관이 되었으며, 여기에 대해 하나님은 피동적인 모습으로 비춰졌다. 워필드의 지적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The Higher life movement’와 ‘승리한 삶의 운동(The Victorious Life Movement)’ 그리고 ‘케직 운동(Keswick Movement)’은 그 교리가 완전주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뿌리가 웨슬리에게로 하나를 이루게 된다. 완전주의 교리는 성화를 현재에 달성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그것이 사람의 의지의 결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주장하고 있었다. 워필드는 이러한 완전주의가 기독교를 위태로운 상태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워필드는 칭의와 성화를 하나님의 택한 백성을 위한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인 새 언약의 관점에서 본다. 그러나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우리의 의지를 통해 이루어갈 성취를 말하고 있다. 워필드의 분석에 따르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칭의와 성화를 연결되어진 것으로부터의 구별이 아니라 다른 성질에 따른 구별로 보고 있다. 심지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아담의 죄’와 ‘의의 전가’를 거부하며, 각 개별자의 신앙에 의해 의롭게 되어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워필드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가 어떻게 해서 개혁주의로부터 인정받을 수 없는지 예리하게 분석해나간다. 여기에 대한 대표적인 책이 워필드의 Perfectionism이다. 워필드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성화론이 개혁주의적 관점에 서 있다는 것을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의 분석을 통해 밝힌다. 그리고 자유주의 신학으로 인하여 흔들리고 있는 개혁주의 교리를 지켜내고자 하는 그의 열정을 우리는 이 글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완전주의라는 용어로 요약된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대중적인 선동의 효과는 누렸지만, 우리를 영원한 생명의 길로 인도하는 교리가 아니라는 것을 워필드는 가르쳐주고 있다. B.B. Warfield(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was a descendant of the Puritans. He grew up in a family who inherited the Reformed faith, and this process of growth has a great influence on his theology. Warfield, Old Princeton seminary professor, was a biblical, theologian who pursued supernaturalism. Therefore,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was based on John Wesley’s theology of Pelagianism and Arminianism, was the subject of Warfield’s criticism. Warfield concedes that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is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following Wesley’s teachings, is a doctrine of seeking the ideas of the Gentiles. Asa Mahan and Mr. and Mrs. Pearsall Smith and William Edwin Boardman, who led the ‘Oberlin Perfectionism’ with Charles G Finney,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as dominated by the will of man, and God was shown to be passive in this regard. As indicated by Warfield’s point of view, ‘The Higher life movement’, ‘The Victorious Life Movement’ and ‘Keswick Movement’ derive their doctrine from perfectionism and its roots become one with Wesley. The doctrines of perfectionism regarded sanctification as being attainable at present, and argued that it was done by the determination power of man’s will. Warfield points out that this perfectionism is driving Christianity to a state of peril. Warfield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the point of the new covenant, the Mediator work of Christ for the chosen people of God. but, “the Higher life” doctrine of sanctification speaks of accomplishment through our wi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arfield,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distinctions to different qualities, not distinctions from connected ones. Even the doctrine of “The Higher life” denies ‘Adam’s sin’ and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says it is justified by each individual’s faith. Warfield sharply analyzes how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is not recognized by reformism. A representative book on this is Warfield’s Perfectionism. Through this book, Warfield reveals that his own sanctification is in a reformist perspective through analysis of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And we can see through this article his passion to preserve the doctrines of Reformedism that are shaken by liberal theology. And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hich is summarized in terms of perfectionism, has enjoyed the effects of popular agitation, but Warfield teaches us that it is not a doctrine that leads us to the path of eternal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 살펴본 윌리엄 퍼킨스와 데이비드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

        류재권(Jae Kwun Ryu)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1

        본 논문은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 윌리엄 퍼킨스와 데이비드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들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로, 본 논문은 초대교회에서부터 퍼킨스와 딕슨이 활동한 시기,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형성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이 퍼킨스와 딕슨의 시기에 이르러서 보다 구체화되었음이 밝혀졌다. 환언하면,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형성사를 통해 퍼킨스와 딕슨의 언약신학을 연구할 당위성을 증명된 것이다. 둘째로, 앞선 두 명의 신학자들의 언약신학의 특징에는 구속협약, 기독론적 체계,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구속협약은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협의하신 것으로서 하나님의 작정의 실행과 방식에 대하여 그리스도께서 동의에 의한 것인데, 하나님의 작정 그 자체로서의 언약을 의미한다. 기독론적 체계는 성육신 하신 그리스도의 중보자로서의 사역 즉, 두 본성(신성, 인성)의 연합 안에서 삼중직(선지자, 제사장, 왕)을 통한 하나님의 작정에 대한 순종(능동적, 수동적)을 드러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성령을 통해서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작정의 실행을 신자에게 적용하는 것으로서, 그리스도께서 의를 전가하여 신자가 구속의 은혜를 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존의 칼빈 중심의 연구들을 넘어서 퍼킨스와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들을 논함을 통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풍성함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nant theology by William Perkins and David Dickson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For this object,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ve history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times of Perkins and Dickson, and the present day. It was made clear that Reformed covenant theology became more concrete in the period of Perkins and Dickson through this study. In other words, through this history, this paper proved the rationale to study Perkins and Dickson’s covenant theology. Secondly, this paper mad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nant theology of the two previous theologians, which are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christological system, and union with Christ. The Covenant of Redemption is by the agreement of Christ as to the execution and manner of God’s decree as the Council of the Trinity, which is the covenant as God’s decree in itself. The Christological system revealed the obedience (active, passive) to God’s decrees through the threefold office (prophet, priest, king) within the union of the two natures, as the ministry of the Incarnate Christ, the Mediator. Union with Christ is the application of God’s decree to the believer through he Holy Spirit, and Christ imputes the righteousness to the believer in order to enjoy the grace of redemption. Therefore, this paper showed the richness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 by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kins and Dickson’s covenant theology beyond the existing Calvin-centered research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