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행복 교육을 위한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안금희 ( Keum Hee Ahn ),구정화 ( Jeong Hwa Koo ),송현순 ( Hyun Soon Song ),박새롬 ( Sae Rom Pa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를 교과 및 범교과 교육과정 안에서 연계시키면서, 우리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복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영역은 행복 교육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교육과정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교과 일변도의 교육과정 운영 풍토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해 그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방향성과 실행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30개 학교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는 행복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 내용 요소 및 학습 방법에 관해서 반영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as been advocat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and one of the main topics to motivat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for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hat it is meant by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how the agenda could be realized in school curriculum. In particular, cross curriculum is an essential domain in which the agenda could be settled in school curriculum, but for now the domain of cross curriculum has never been virtually activated in schools, even though the implementation of cross curriculum is requir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a way to demonstrate a desirable direction and contents elements in which cross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lif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a survey of education demanders, 1000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subject curricula and suggests cha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iv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vestigating the suitable approaches to subject areas

      • KCI등재

        융합 플랫폼으로서 대학 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안금희(Keum-Hee, Ahn)해경(Hai-Ky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대학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 박물관·미술관은 여타의 박물관·미술관과는 설립 목적부터 기능과 역할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학 박물관·미술관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에 기여해야 한다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내부 구성원들에게 외면 받아왔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대학박물관·미술관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그 동안 대학 박물관·미술관이 중점을 두어왔던 발굴조사와 연구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교육대학교의 대학 미술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대학 미술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들을 인터뷰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학문 간 융합’, ‘이론과 실천의 융합’, ‘사람 간의 융합’ ‘생활과 예술의 융합’ ‘지역사회와 대학의 융합’이라는 다섯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대학 미술관은 학문적, 사회적, 물리적 경계를 낮추고 구성원들이 직접적 간접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고 우리는 이것을 융합의 장, 융합 플랫폼으로 기능한다고 해석하였다. This study started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art educators who are the main subjects of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qualitative growth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Researchers have seen art educators as a lifelong educator, and know how educational behavior can be understood by looking at what life experiences they have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art educators lives as a study on the meaning exploration of arts education experiences of arts and culture educators. The results of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using coded data and are organized as follows. Each theme was drawn with <Desire for Art Soaring>, <Incidental start, Fateful encounter>, and <Reflection on My Exist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Taken together, arts and culture educators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experiences is a process understanding the interest of beings who strive in one corner of the world. Art educators have continued their process of reflection as instructors based on their experience as learners of art. Their idea of art has expanded, and the emotions and energies that started in them alone gradually expanded to others. As an art educator, they did not stop producing art, but shared the value of art with many people and started to imagine various things about art. Art educators have reconstructed their values and perspectives of art, rather than experiencing a transformation of identity in the process of existential reflection.

      • KCI등재

        전시 내러티브 사례 분석 연구

        안금희(Keum hee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미술 작품의 선택과 배치에 따른 전시, 전시 설명 텍스트, 디지털 이미지 등을 통해 전시 내러티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간송문화전을 한 사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전시 내러티브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시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전시의 주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전시 주제의 내러티브 특징은 첫째, 수집가의 삶의 궤적이 묻어난 수집 일화를 중심으로 한 내러티브, 둘째, 수집을 통해 정당화된 '명작' 중심의 전시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전시 방법의 내러티브 특징으로는 첫째, 제한적 접근으로의 배치, 둘째, 원작과 디지털 이미지의 혼종이라는 차원에서 되짚어 보았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시 내러티브의 대안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제된 수집 이야기의 적극적인 제시와 관련하여,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관한 직접적인 자료 전시가 요구되며,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대한 사회적,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이번 전시의 특징이 원작과 디지털의 하이브리드 전시이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시라는 점에서 원작의 조형성과 맥락성의 조화 그리고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고무시키기 위해 양방향적 소통 방식에 따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관람 계층의 교육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진정한 대중 친화적 전시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a case of the Kansong Culture Exhibition, interested in how the exhib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artworks including visual image, text, digital image, an exhibition constructs its own narrative. The research method is to inquire the related references about exhibition narrative and analyze the exhibition based on its theme and method in terms of exhibition narrativ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theme are as followed. First, a narrative based on the collection stories which show the collector's life. Second, 'master' artwork centered exhibition narrative through his collect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method are the design of restricted accessability to the artwork in exhibition and the hybrid of the original artworks and digital images. This study, in conclusion, suggests that exhibition narratives should be designed to elicit enlightened understandings from visitors in that exhibition is a pedagogical device for general viewers. First, the exhibition narrative should be providing another narratives of collection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exhibition, in order to elicit viewer's own inferences for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collection of Kansong. Second, since this is the hybrid exhibition in terms of the mix of objects and digital images and uses the technology, this study suggests the harmony of formalism and contextuality of artworks and the technology application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it should be a public-friendly exhibition through the efforts for satisfying the educational demands of diverse types of visitors.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에서 놀이의 가치와 유형

        안금희(Ahn Keum-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美術敎育論叢 Vol.18 No.2

        본 연구는 놀이의 특징과 유형 그리고 미술에서 놀이적 특성을 고찰하고, 초등 미술 교육에서 놀이의 가치와 유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질적으로 자발성, 재미 등을 근간으로 한 놀이는 미술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미술교육에서 놀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에 대한 제 이론을 통해 미술에서 놀이적 요소를 고찰함으로써, 미술과 놀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명확히 부각시켰다. 교육에서 놀이의 가치를 고찰하고 미술의 놀이적 요소를 고려하여 미술 교육에서 놀이가 갖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가치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 목적 및 미술의 놀이적 요소를 고려하여, 미술 교육에서 놀이의 네 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놀이 유형은 미술 교육에서 놀이와 놀이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and the playfulness in art, and illuminate the value and types of pla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lthough play which is based on self-activation, fun etc., basicall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rt, the research of pla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s very little.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lay theory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so that dre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lay. In this context, by investigating the value of play in education an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I suggested th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value of play in art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this study suggested four types of play for art education. The types of play provide us with an insight in which we could appreciate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Finally, recognition of the value of play is important to connect the fun and spontaneity of play with learning. That is to say, play and learning can be coexisted.

      • KCI등재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안금희(Ahn Keum-Hee),라현숙(La Hyoun-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는 미술관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미술관 관람 동호회를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의 전시회를 관람하고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감상 수업의 형태는 미술관 관람 전과 미술관 관람 중, 미술관 관람 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수업의 진행시마다 필요한 감상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함께 사용하였다. 미술관 감상 수업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학습지 위주의 감상과 느낌 위주의 감상 수업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며 통합적 감상 수업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조형원리의 이해와 다양한 감상 방법의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선 사항에 따라 수정된 감상 수업은 다음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에 적용하였다. 계획, 실행, 반성 등의 반복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감상 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도모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offered students many chances to enjoy art works in museums and make them research, present, and discuss during the process of appreciation to encourage them to think, feel, and understand the artwork. The teacher, a co-researcher, has conducted this study as a host of appreciation class and reflected the classes. As a co-researcher, the teacher examined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description and comments in relation to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have been re-applied to the next classes. The other co-researcher, the art educator, help the teacher analyze and relfect the art classes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BR>  This study organized a community to visit art gallery targeting 5th graders, and investigate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questions and interview. There were 8 sessions of appreciation class conducted from 2005, Jul to 2006, Mar. The program divided into three steps, such as pre-visit program, during visit program, and after visit program. It utilized some worksheet of appreciation as needed. Before the gallery experience, it focused on student"s presentation, including students assignment regarding the purpose of performance, artists, an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experience,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s using worksheet presented earlier. Then, students began to deliver their opinions toward the artworks looking at the worksheets, and present their feelings or contents in other way when they finish the gallery experience.<BR>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BR>  First,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an art gallery was effective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competence.<BR>  Second, students became to understand artist"s purpose, its periodicㆍ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a formative feature of artwork.<BR>  Third, it was useful for students to have a standard to appreciate the values of artwork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many ways of art appreciation.<BR>  Fourth, for the better less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enthusiastic efforts in planning, practicing, and reflecting of art class were essential.

      • KCI등재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의와 기능

        안금희(Ahn Keum-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3

        본 연구는 인간의 경험과 의미를 전달하는 오래된 표현 형식으로서 내러티브, 그리고 내러티브 사고와 상상력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가 갖는 의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내러티브의 유형과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관련 문헌을 통해 내러티브의 의미와 특징, 내러티브 사고와 상상력을 고찰하였다. 또한 교육 및 미술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유형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 모델을 바탕으로,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원리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미술 수업의 주제를 사례로 제시하고 내러티브를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기능은 미술과 교육과정 및 수업을 이해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활용은 미술과 수업 개선의 구체적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unctions of narratives in art education instructi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imagination, and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narratives i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narratives in art education. Finally, I provided the story form model with concrete details for art instruction. I discussed how to apply the story form model to art instruction. The narr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understanding art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s" professionality in art classroom.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the concrete improvement method of art classroom.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김정희(Jeung-Hee Kim),이주연(Joo-Yon Lee),안금희(Keum-Hee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 해석 능력의 수준과 미술품 해석에서의 문제점 유형 및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초·중등교육뿐만 아니라 예비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128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감상문을 작성하게 한 후 이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의 감상문 작성에 따른 어려움과 작품에 대한 선호 등의 전체적 의견을 알아보았다. 특정 사례의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하여 미술 해석의 개인적, 교육적, 사회적 배경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미술품 감상 경험의 횟수와 개인적인 미술 분야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미술품에 대한 친밀도 및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곧 미술품 해석 능력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선호도, 작품 감상의 난이도, 미술 표현 양식별 해석 능력 정도 등에 대한 조사 결과는 현재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및 미술에 대한 인지 능력의 현 주소를 파악하는 것으로, 앞으로 초·중등학교의 미술교과 및 예비교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교의 교양 및 전공과정의 바람직한 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and analyze the abilities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ir appreciation and analysis on artworks, and 2)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content structure of pre-service curriculums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For this study, 10 two-dimensional paintings were chosen as objects from current art textbooks for G3-10 in Korea, with the reason of that they are more frequently showed and more representative than others. 10 artworks are composed of 5 Korean and 5 foreign, and 2(1 for Korean and 1 for foreign) of each out of 5 areas, 'representative and realistic in their depiction of objects',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imes or social environment and issues', 'expressional feeling and emotion of the artists', 'the emphasis on the fundamental and formal characteristics(the subjects, methods,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and mediums), and the last, 'the emphasis on daydream or fantasy'. Those artworks were shown to 128 pre-service teachers to analyze their abilities in art appreciation. And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execut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easiness in their description of artworks.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requencies in confronting artworks and the degree of personal interest and experience on art area influence understanding and intimacy of artworks,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 in analyzation of artworks. For the further study, th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1) The abiliti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in their appreciation and analysis on artworks should be examined, and 2)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content structure of pre-service curriculums in order to insure substantiality. 3) International comparisons would be pos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structure of art textbooks for G3-10 and pre-service curriculums in Korea.

      • KCI등재

        대학 미술관 전시와 교육에 작용하는 스토리텔링 탐색

        이지영(Lee, Ji Young),안금희(Ahn, Keum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4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미술관 교육의 플랫폼을 설정하고 대학 미술관 전시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사회에서는 대학 미술관 전시 공간의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미술관 교육을 디자인하였다. 미술관 전시와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은 ‘미술관’이라는 공간에서 주체들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면서 여러 층위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기획자는 기획을 하면서, 작가는 예술 작품을 창작하면서, 도슨트는 스토리텔러로서 작품과 관람자를 매개하면서, 관람자는 적극적인 해석자로서 참여와 소통을 하면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간다. 전시 공간은 관람자의 참여와 소통으로 만들어가는 진행형 공간으로서 ‘지금 여기에서’ 스토리텔링이 진행 중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미술관이 교육적 플랫폼의 역할을 온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역동적이고 상호작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체 간 소통을 높이는 스토리텔링 방향과 참여와 공유를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latform for art museu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intended for university art museum exhibitions and education.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with life”, the local community needs a differentiated strategy for university exhibition spaces. Therefore, art museum education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of “storytelling”. Storytelling in art museum exhibitions and education is a process in which each subject develops various activities and creates stories on several levels in an art museum. The planner makes a plan, the artist creates a work of art, docent is a storyteller that mediates works to viewers, and the viewer creates storytelling by engaging and communicating as an active interpreter. The exhibition space is an on-going space created by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viewers, having in which storytelling is in progress “here and now”. Storytelling must be dynamic and interactive for museums to fully fulfill the role of an educational platform. In this regard, we discuss the directions of storytelling to enhance communication among subjects and the directions of spatial storytelling to increase participation and shar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