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현 요소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경향 분석 - 2000년에서 2010년을 중심으로 -

        안금희 ( Gum-hee Ahn ),노희영 ( Hee-young Roh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5 No.1

        A survey of 325 men and women aged from the 20s to 40s who were mostly skin care and hair design majo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from June 21 to July 30 of this year and the result was used for statistics. A course of ‘acquisition of working techniques' (42.5%)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lesson for Department of Cosmetology out of ways to improve cosmetology education cours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s (p>.05). About 31.1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4:6’ is the most appropriate ratio between theory and training courses and there weren’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s (p>.05). Up to 91.1 percent thought that major segmentation (intensive learning)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s (p>.05).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starting major segmentation (intensive learning) , 33.1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first term of the third school year at four-year cours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s (p<.05). Up to 4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chose the first term of the second school year in two-year cours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s (p>.01).

      • KCI등재

        사회적 참여 관점에서 되짚어본 미술관 체험 전시 사례 연구

        안금희(Ahn, Keum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Hands-on exhibitions have been held in various museums and museums, but research on hands-on displays tended to approach and view them as functional activities to experience given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exhibition on children s experience in American 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cas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wo exhibitions for children at the Dayton Art Institute and Columbus Museum of Art in Ohio from February to May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wo hands-on exhibition case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articipation, four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eeds to be a variety of interactive activities for children and family members. Second, designing exhibitions with provocative and stimulating presentation techniques is needed to increase social interaction. Third, it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interaction among visitors, and between visitors and museums, that is, social participation.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newly explore the functions of the museum and the role of visitors. 체험 전시는 다양한 유형의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체험 전시에 관한 연구는 주어진 컨텐츠를 체험하도록 하는 기능적인 활동으로 보고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참여의 관점에서 미국 미술관의 어린이 대상 체험 전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례연구로 2015년 2월에서 5월까지 미국 오하이오주의 데이톤 미술관과 콜럼버스 미술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전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사회적 참여의 관점에서 분석한 두 체험 전시 사례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의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와 가족 구성원을 위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으로 기획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있도록 자극적이며 흥미로운 전시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관람자, 관람자간, 관람자와 박물관 간 상호작용, 즉 사회적 참여를 추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넷째, 참여적 관점에서 미술관의 기능과 관람자의 역할을 새롭게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시 내러티브 사례 분석 연구

        안금희(Keum hee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미술 작품의 선택과 배치에 따른 전시, 전시 설명 텍스트, 디지털 이미지 등을 통해 전시 내러티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간송문화전을 한 사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전시 내러티브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시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전시의 주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전시 주제의 내러티브 특징은 첫째, 수집가의 삶의 궤적이 묻어난 수집 일화를 중심으로 한 내러티브, 둘째, 수집을 통해 정당화된 '명작' 중심의 전시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전시 방법의 내러티브 특징으로는 첫째, 제한적 접근으로의 배치, 둘째, 원작과 디지털 이미지의 혼종이라는 차원에서 되짚어 보았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시 내러티브의 대안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제된 수집 이야기의 적극적인 제시와 관련하여,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관한 직접적인 자료 전시가 요구되며, 간송 전형필의 수집에 대한 사회적,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이번 전시의 특징이 원작과 디지털의 하이브리드 전시이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시라는 점에서 원작의 조형성과 맥락성의 조화 그리고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고무시키기 위해 양방향적 소통 방식에 따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관람 계층의 교육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진정한 대중 친화적 전시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a case of the Kansong Culture Exhibition, interested in how the exhib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artworks including visual image, text, digital image, an exhibition constructs its own narrative. The research method is to inquire the related references about exhibition narrative and analyze the exhibition based on its theme and method in terms of exhibition narrativ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theme are as followed. First, a narrative based on the collection stories which show the collector's life. Second, 'master' artwork centered exhibition narrative through his collect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method are the design of restricted accessability to the artwork in exhibition and the hybrid of the original artworks and digital images. This study, in conclusion, suggests that exhibition narratives should be designed to elicit enlightened understandings from visitors in that exhibition is a pedagogical device for general viewers. First, the exhibition narrative should be providing another narratives of collection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exhibition, in order to elicit viewer's own inferences for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collection of Kansong. Second, since this is the hybrid exhibition in terms of the mix of objects and digital images and uses the technology, this study suggests the harmony of formalism and contextuality of artworks and the technology application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it should be a public-friendly exhibition through the efforts for satisfying the educational demands of diverse types of visitors.

      • KCI등재

        융합 플랫폼으로서 대학 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안금희(Keum-Hee, Ahn)해경(Hai-Ky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대학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 박물관·미술관은 여타의 박물관·미술관과는 설립 목적부터 기능과 역할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학 박물관·미술관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에 기여해야 한다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내부 구성원들에게 외면 받아왔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대학박물관·미술관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그 동안 대학 박물관·미술관이 중점을 두어왔던 발굴조사와 연구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교육대학교의 대학 미술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대학 미술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들을 인터뷰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학문 간 융합’, ‘이론과 실천의 융합’, ‘사람 간의 융합’ ‘생활과 예술의 융합’ ‘지역사회와 대학의 융합’이라는 다섯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대학 미술관은 학문적, 사회적, 물리적 경계를 낮추고 구성원들이 직접적 간접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고 우리는 이것을 융합의 장, 융합 플랫폼으로 기능한다고 해석하였다. This study started by looking through the lens of art educators who are the main subjects of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qualitative growth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Researchers have seen art educators as a lifelong educator, and know how educational behavior can be understood by looking at what life experiences they have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art educators lives as a study on the meaning exploration of arts education experiences of arts and culture educators. The results of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using coded data and are organized as follows. Each theme was drawn with <Desire for Art Soaring>, <Incidental start, Fateful encounter>, and <Reflection on My Exist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Taken together, arts and culture educators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experiences is a process understanding the interest of beings who strive in one corner of the world. Art educators have continued their process of reflection as instructors based on their experience as learners of art. Their idea of art has expanded, and the emotions and energies that started in them alone gradually expanded to others. As an art educator, they did not stop producing art, but shared the value of art with many people and started to imagine various things about art. Art educators have reconstructed their values and perspectives of art, rather than experiencing a transformation of identity in the process of existential reflection.

      • KCI등재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의와 기능

        안금희(Ahn Keum-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3

        본 연구는 인간의 경험과 의미를 전달하는 오래된 표현 형식으로서 내러티브, 그리고 내러티브 사고와 상상력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가 갖는 의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내러티브의 유형과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관련 문헌을 통해 내러티브의 의미와 특징, 내러티브 사고와 상상력을 고찰하였다. 또한 교육 및 미술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유형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 모델을 바탕으로,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원리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미술 수업의 주제를 사례로 제시하고 내러티브를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술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기능은 미술과 교육과정 및 수업을 이해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활용은 미술과 수업 개선의 구체적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unctions of narratives in art education instructi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imagination, and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narratives i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narratives in art education. Finally, I provided the story form model with concrete details for art instruction. I discussed how to apply the story form model to art instruction. The narr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understanding art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s" professionality in art classroom.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the concrete improvement method of art classroom.

      • KCI등재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안금희(Ahn Keumhee),손민호(Shon Minho),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장학에서 봐야 할 내용으로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관찰 방법으로 교육 비평의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이 의미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학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학 자체의 절차 보다는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과 수업 장학의 요소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 틀과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무엇을 봐야할 지에 대한 문제 즉 관찰 요소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였다. 미술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 장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및 비평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ypifications of art instructions which provide us with the resources for supervision of art classes. This study finds in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initially termed by E. Eisner its way of analyzing and representing the fiel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provides the art instruction types which might b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We discuss what the supervisor should take a look at, that is to say, th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nstruction and th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observ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empowering art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e. For supervis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instruction, the qualitativ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re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undation for the meaningful supervision developing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nd utilizing them on art classrooms.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에서 놀이의 가치와 유형

        안금희(Ahn Keum-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美術敎育論叢 Vol.18 No.2

        본 연구는 놀이의 특징과 유형 그리고 미술에서 놀이적 특성을 고찰하고, 초등 미술 교육에서 놀이의 가치와 유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질적으로 자발성, 재미 등을 근간으로 한 놀이는 미술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미술교육에서 놀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에 대한 제 이론을 통해 미술에서 놀이적 요소를 고찰함으로써, 미술과 놀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명확히 부각시켰다. 교육에서 놀이의 가치를 고찰하고 미술의 놀이적 요소를 고려하여 미술 교육에서 놀이가 갖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가치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 목적 및 미술의 놀이적 요소를 고려하여, 미술 교육에서 놀이의 네 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놀이 유형은 미술 교육에서 놀이와 놀이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and the playfulness in art, and illuminate the value and types of pla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lthough play which is based on self-activation, fun etc., basicall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rt, the research of pla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s very little.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lay theory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so that dre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lay. In this context, by investigating the value of play in education an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I suggested th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value of play in art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this study suggested four types of play for art education. The types of play provide us with an insight in which we could appreciate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art. Finally, recognition of the value of play is important to connect the fun and spontaneity of play with learning. That is to say, play and learning can be coexisted.

      • KCI등재

        일반논문 : 행복 교육을 위한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안금희 ( Keum Hee Ahn ),구정화 ( Jeong Hwa Koo ),송현순 ( Hyun Soon Song ),박새롬 ( Sae Rom Pa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를 교과 및 범교과 교육과정 안에서 연계시키면서, 우리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복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영역은 행복 교육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교육과정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교과 일변도의 교육과정 운영 풍토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해 그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방향성과 실행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30개 학교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는 행복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 내용 요소 및 학습 방법에 관해서 반영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as been advocat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and one of the main topics to motivat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for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hat it is meant by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how the agenda could be realized in school curriculum. In particular, cross curriculum is an essential domain in which the agenda could be settled in school curriculum, but for now the domain of cross curriculum has never been virtually activated in schools, even though the implementation of cross curriculum is requir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a way to demonstrate a desirable direction and contents elements in which cross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lif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a survey of education demanders, 1000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subject curricula and suggests cha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iv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vestigating the suitable approaches to subject areas

      • KCI등재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안금희(Ahn Keum-Hee),라현숙(La Hyoun-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는 미술관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미술관 관람 동호회를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의 전시회를 관람하고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감상 수업의 형태는 미술관 관람 전과 미술관 관람 중, 미술관 관람 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수업의 진행시마다 필요한 감상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함께 사용하였다. 미술관 감상 수업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학습지 위주의 감상과 느낌 위주의 감상 수업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며 통합적 감상 수업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조형원리의 이해와 다양한 감상 방법의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선 사항에 따라 수정된 감상 수업은 다음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에 적용하였다. 계획, 실행, 반성 등의 반복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감상 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도모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offered students many chances to enjoy art works in museums and make them research, present, and discuss during the process of appreciation to encourage them to think, feel, and understand the artwork. The teacher, a co-researcher, has conducted this study as a host of appreciation class and reflected the classes. As a co-researcher, the teacher examined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description and comments in relation to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have been re-applied to the next classes. The other co-researcher, the art educator, help the teacher analyze and relfect the art classes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BR>  This study organized a community to visit art gallery targeting 5th graders, and investigate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questions and interview. There were 8 sessions of appreciation class conducted from 2005, Jul to 2006, Mar. The program divided into three steps, such as pre-visit program, during visit program, and after visit program. It utilized some worksheet of appreciation as needed. Before the gallery experience, it focused on student"s presentation, including students assignment regarding the purpose of performance, artists, an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experience,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s using worksheet presented earlier. Then, students began to deliver their opinions toward the artworks looking at the worksheets, and present their feelings or contents in other way when they finish the gallery experience.<BR>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BR>  First,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an art gallery was effective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competence.<BR>  Second, students became to understand artist"s purpose, its periodicㆍ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a formative feature of artwork.<BR>  Third, it was useful for students to have a standard to appreciate the values of artwork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many ways of art appreciation.<BR>  Fourth, for the better less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enthusiastic efforts in planning, practicing, and reflecting of art class were essential.

      • KCI등재

        2000년대 나타난 신부 이미지별 웨딩 헤어스타일 분석

        노희영 ( Hee Young No ),안금희 ( Gum Hee Ahn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5

        Due to women`s active advancing in society and their distinct views, many changes have been brought in wedding culture. Unlike the past,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 and personality, they can decide and choose most of the matters relating to marriage. Especially, with respect to directing wedding coordination, brides want to create their own charming attraction through freely using their hair styles matching their image, and their overall image will be determined by location, time, age and facial form. Like this, the precedent studies relating to wedding hair style, the process of up style therapy and its transition process are actively processing, but the studies having comparatively analyzed the hair style by classifying the images from 2000 till 2010 into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the second half of the year were insufficient; thus the necessity of detailed studies was presented. Bride`s hair style should be directed splendidly and beautifully according to the trend.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and practical hair style demanded by brides;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hair style; help for professionality and distinction, through classifying bridal images varying according to the times for comparatively analyzing them. With respect to the study methods, the trend of wedding hair style of brides from 2000 till 2010, was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rough the review of precedent studies, my wedding and the trend; the bridal image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modern, romantic and elegant images in the unit of 2-3 years;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rting, the position of bangs, whether or not the ears are exposed, and the position of chignon; based on the results, the hair style by image was reproduced by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