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성 소설가의 글쓰기 -박태원의 초기 소설가 소설-

        아이카와타쿠야 ( Takuya Aikawa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본고는 < 적멸 >(1930), < 피로 >(1933)를 거쳐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934)로 이어진 박태원의 초기 소설가 소설에 대해, 박태원 자신이 고집했던 “言語”의 적절한 “選擇”과 “配列”을 통해 “含蓄잇는 文章”을 지향하는 행위로서의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글이다. 각 소설의 최초 발표본을 텍스트로 삼아 소설가 자신이 ‘소설가’를 쓰고 자신의 ‘소설가됨’을 물을 때, 박태원 소설에 있어 어떤 글쓰기가 작동되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 적멸 >은 “정신병자”로 지목된 사나이의 이야기를 받아씀으로써 사적인 동시에 공적인 것으로서의 ‘소설’을 글쓰기를 통해 생산하는 ‘소설가’의 탄생을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사나이의 이야기를 듣고 서술하는 과정을 거쳐 ‘나’의 자의식을 포착하는 ‘쓰는 나’의 글쓰기가 이루어진다. < 피로 >는 경성 거리를 방황하는 ‘나’의 반나절을 회상함으로써 이루어진 글쓰기의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다. 경성의 혼돈된 언어 상황과 대치하면서 수행된 글쓰기는 한글문의 ‘투명성’에 균열을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 반나절을 지배하는 ‘피로’라는 감각은 이러한 언어적 불안정성과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에서는 ‘지식’의 상징으로서의 한자와 불가분한 구보의 세계와, 어머니, 여급, 과부 등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계층.젠더를 지닌 경성 사람들의 세계가 한자/한글의 세밀한 사용을 특징으로 한 글쓰기와 3인칭이라는 시점을 통해 포착되어 있다. ‘나’의 자의식을 넘어선 글쓰기의 확장은 도쿄에서 입은 트라우마를 극복하며, 경성 사람들의 생활을 재현할 수 있는 직업적 소설가로서의 구보의 정체성을 지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소설 독해를 통해 주제화된 자기의 ‘소설가’됨에 대한 심문은 식민지 시기 조선어 표현의 임계를 탐구하려고 했던 박태원 문학의 관건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and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ak T`aewon`s autobiographical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kulssugi ). Kulssugi is concerned with making meaningful sentences through adequat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words,” which the author himself stuck to. The texts to be argued are “Nirvana” (1930), “Fatigue” (1933) and “A Day of Kubo the Novelist” (1934). The argument focuses on the self-consciousnes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he expression of novelist-ness, concerning the situation of Keijo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Nirvana” shows the birth of a ‘novelist’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a ‘novel’ as a form of public writing, which includes the private narrative of a man who was called insane. Kulssugi of ‘the writer I’ is constructed by listening to and writing down the story of the man. “Fatigue” displays characteristic narrative consisted of various types of writing systems. This narrative challenges the ‘transparency’ of Korean writing with han`gul. The sentiment of ‘fatigue’ can be connected to the chaos of languages of the colonial city. “A Day of Kubo the Novelist” is a story about a man named Kubo, who acquires his kulssugi style through encounters with women, the others in the Keijo. His third-person kulssugi is able to represent wide variety of people living in Keijo by sensitive mixture of han`gul and hancha (sinograph). The discuss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novelist-ness can be regarded as a key to Pak T`aewon`s works because the self-consciousness of being a novelist motivated him to explore the limits of Korean as a language of literature in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제국의 지도와 경성의 삶 - 이상 『12월 12일』론 -

        아이카와타쿠야 ( Aikawa Takuya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8

        본고는 작가론의 방법으로 흔히 해석되는 이상의 『12월 12일』(1930)에 대해 소설 중에 재현된 제국 규모의 지리적 영역에 주목하면서 접근하고자 한 글이다. 소설에 재현된 제국에서의 유민 경험은 조선인에게 작용하는 식민지근대의 양상을 제시하는 동시에 대일본제국 내에서의 이동 가능성의 한계를 구획 짓는 것이다. 주인공 `그`의 의지나 자기결정을 압도하는 사건의 연속이 “운명”으로 파악되면서 `그`의 방황을 추동한다. 이는 조선총독부의 지배로 인한 제국 규모의 조선인 이산 현상과 결부되는 동시에 지극히 환상적인 서사적 구축물이기도 하다. 경성에 돌아온 후의 `그`의 삶은 훼손된 `그`의 신체와 남의 재산을 “횡재”했다는 `그`의 불안이 상징하듯이 위태로운 것이다. 현실의 경성을 위협했던 화재와 연결된 소설 중의 불 이미지는 등장인물 간의 인간관계와 생활을 파괴하고 최종적인 파멸로 `그`를 이끌어간다. `그`의 철도 자살은 제국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면서도 경성의 폐색에 저주받은 삶에 대한 인식을 제시한다. 『12월 12일』이라는 소설은 살아갈 수 없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모순적인 감각에 대해, 대일본제국의 네트워크에 편입된 경성이라는 장소의 관한 자각과 함께 사유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Yi Sang`s first novel, December 12th (1930), which has often been read and referred to in relation to the author`s biography. This paper reinterprets the novel through analysi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Japanese Empire`s geography and the protagonist`s diasporic situation. The novel displays aspects of colonial modernity and mobility within the Imperial boundaries by representing the Korean protagonist`s migration, driven by a “destiny” that always transcends his self-determination. While this can be connected to the actual migration of Korea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rought about by the domin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can also be regarded as a kind of fantastic narrative. On returning to Keijo (Seoul), the protagonist`s life in the city is depicted as precarious, symbolized by his damaged body and anxiety concerning the inheritance in Tokyo. Fire, which was actually one of the most serious public concerns of the Keijo residents at the time, and the railway suicide of the protagonist lead to the catastrophic end of the novel. December 12th shows a perception concerning the unlivable life in the colonial city that one has to live. Keijo, integrated into the Imperial network of Japan, is represented as an arena of such contra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