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내담자 대상관계와 작업동맹과의 관계

        심혜숙(Hae Sook Sim),임현지(Hyun Ji L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상관계에 따라 지각하는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부넉하여 상담자-내담자의 대상관계와 작업동맹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와 청소년 상담실 및 일반상담실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33명)와 3회 이상 상담이 진행되고 있는 내담자(55명)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상관계 평가지와 작업동맹 질문지를 각각 실시하였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의 수준에 따라 상하집단으로 나눈 뒤 각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상담자-내담자 대상관계의 하위요인의 척도에 따라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 자기 중심성 척도에 따라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특히 목표합의와 과제동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상담자가 지각한 유대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에서는 사회적 무능력의 척도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중 유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상담자-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 자기 중심성 척도에서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목표와 과제, 작업동맹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무능력 척도에서는 내담자가 지각한 유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중심성이 높은 상담자는 자기 중심성이 낮은 상담자에 비해 상담에 있어서의 목표에 대한 합의와 과제에 대한 동의가 내담자와 더 잘 이루어진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정상범위에 속하면서 높은 자기중심성을 가진 상담자는 관계에 있어서 자기의 목표를 위한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담자들은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상담과정 중의 내담자와의 목표합의와 과제동의에 적극적이며 스스로 작업동맹이 잘 형성된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무능력 척도가 높은 내담자가 낮은 내담자에 비해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유대를 더 잘 맺고 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 무능력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을 사회적으로 무능하다고 인식하고 관계를 하는데 있어서 불안해하고 반응이 없고 정서적으로 둔하며 자신의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가지나 잘 훈련된 상담자가 있는 상담 장면에서는 자신의 어려움을 잘 이해해주고 받아주는 것에 대해 편안해하고 안심해함으로 인해 상담자와 쉽게 정서적 유대를 맺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높은 집단은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가 낮고 내담자가 높은 집단에 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목표합의가 잘 이루어진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고,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가 높고 내담자가 낮은 집단이 상담자가 낮고 내담자가 높은 집단에 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목표합의와 과제동의가 잘 이루어진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 자기 중심성의 평균이 상담자는 정상범위에 속하며 내담자는 임상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자기 중심성 척도가 높은 상담자는 상담관계에 있어서도 적극적이며 능동적이고 상담목표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제시하여 스스로도 작업동맹이 잘 형성되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자기 중심성이 높은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 있어서 비협조적이며 요구적이며 자기 중심적이여서 이러한 내담자를 만나는 상담자는 동맹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후 충분한 사례수와 표준화된 대상관계 측정도구를 이용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정희(Park Jung-Hee),심혜숙(Sim Hae-So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집단상담과 달리 소수 학생의 특정 문제 해결에 관심을 두기보다 모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목적으로 정규 수업시간 중에 운영될 수 있는 학급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업계고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사전-사후 측정 실험설계에 의해 주 2회씩 총 8회 실험처치 하였고, 공변량 분석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자들의 반응 및 만족도 평가도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져 본 연구자가 개발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예방과 발달의 학교상담 목적에 맞는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classroom counseling program that aims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70 students from two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3rd year students in an industrial high school. The study group took part in the classroom counseling program over a total of 8 sessions, with 1 hour per s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e testing we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concerned ([F(1, 57)=10.34, p<.01]). In general,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positive. In conclusion, the classroom counseling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n effective program for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classroom counseling program can serve as a viable new school counseling program for the purposes of re-invigorating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 KCI등재

        여고생의 직업 가치관 및 진로 의식 성숙을 위한 현실요법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황규정 ( Kyu Jung Whang ),심혜숙 ( Hae Sook S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여자고등 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진로성숙에 현실요법 진로 상담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24명의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를 12명씩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에 배치하여 실험 집단에 10희기의 프로그램을 실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현실요법 진로 상당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유의확률이 p<001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현실요법 진로 상담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확률이 p<001와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진로 상담 프로그램 적용은 직업가치관 변화와 진로 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써 현실요법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해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t is based on a reality therapy on the maturity of career awareness and career valu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ll acquire higher career maturity than the group that does not, Second,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ll gain higher scores in their career values than the group that does no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rogram has been restructured so that the Principal of reality therapy that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behaviors, the present, and conscious experience can interweave with career development theory. 2nd grade female students at general purpose coeducational high-schools in Busan were tested for their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career values, and 24 were selected from those in the lower 30% who volunteered for the program. 12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to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executed 10 rounds in total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impact of the program,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PSS 12.0 K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so, t-test was made on the result of the pre test of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to prove tha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homogeneou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the program has o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on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only t-test was conducted without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0vM. On the other hand, the t-test on the result of the pre test of the career values showed that the two groups were not homogeneous. Thu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done to see any quantity change in career values after the program was execu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p<00l. It shows that the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the maturity of career awareness at significance level of .001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001 and p<05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made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values at the significance levels of 001 and 05.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김희경 ( Kim¸ Hui Kyeong ),심혜숙 ( Sim¸ Hae Sook ),이동훈 ( Lee¸ Dong Hu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발달 단계상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성인 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불안정 애착이 형성된 대학생의 이성 관계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 지역 대학의 338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고, 측정을 위하여 친밀관계경험검사, TMMS, 정서표현태도, 이성관계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성인애착,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표현억제 및 이성관계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표현억제와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 불안, 애착 회피가 높을수록 정서인식 명확성과 이성관계만족도는 낮게 나타났고, 정서표현억제는 높게 나타났다.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수록 이성관계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정서표현억제가 높을수록 이성관계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정서인식 명확성은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표현억제는 애착 불안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정서표현억제는 애착 회피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i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38 undergraduate students in Busan: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Trait Meta-Mood Scale (TMM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ATE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ventory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emotional clarity,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correlation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clarity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cted as a mediator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otional clarity,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Emotional clarity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emotional clarity par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r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played a role as a full mediator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ttachment anxiety influenced not only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directly, but also influence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rough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교사의 심리경향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관계

        박미희 ( Mi Hee Park ),심혜숙 ( Hae Sook S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0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5 No.-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심리경향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중등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검사와, 교사효능감 검사 및 직무만족도검사를 실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경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외향과 내향, 감각과 직관, 사고와 감정, 판단과 인식의 네가지 심리지표에서 모두 일관성 있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경향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ea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psychological type of teachers.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Psychological type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middle school teachers in P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Teacher efficacy to Psychological tendency. Teachers who had Extraversion-Introversion psychological tendency in MBTi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Extraversion person`s score is higher than Introversion persons`s score. Those who SN (sensing -iNtuition), TF (thinking-Feeling), JP (Judgement-Perception) presernted in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Job satisfaction to Psychological tendency. Teachers who had Extraversion-Introversion psychological tendency in MBTi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Extraversion person`s score is higher than Introversion persons`s score. Those who SN(sensing- iNtuition), TF(thinking-Feeling), JP(Judgement-Perception) presernted in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 showed in the Teacher efficacy to Psychological Temperament. Fou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the Job satisfaction to Psychological Temperament. But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Job satisfaction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NT (iNituition-Thinking) temperament`s score against SJ (Sensing-Judgement) temperament`s sco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y factor. NT (iNituition-Thinking) temperament`s score against Sp (Sensing-Perception) temperament`s sco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 factor. Fifth, there i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ally Psychological Tendency.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행동과 부부갈등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이태영 ( Tae Young Lee ),심혜숙 ( Hae Sook S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행동, 부부갈등과 수치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수치심에 영향을 주는 부모양육행동과 부부갈등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소재, 중학교 남학생 141명(46.4%)과 여학생 148명(48.7%)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수치심 척도를 실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이 지각한 부 양육행동과 부부갈등은 수치심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 과잉기대만 수치심에 4%정도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이 지각한 부 양육행동과 부부갈등은 수치심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 과잉간섭만 수치심에 6%정도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수치심과 관련, 부모의 영향력이 예측하는 것만큼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수치심이라는 부적응적 정서문제를 다루는 청소년 상담과 지도를 위해 부모라는 외재적 요인과 더불어 청소년 개인이 가진 다른 내재적 요인도 고려 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arental behavior,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s shame according to gender, and also to examine influence of on the adolescent`s sha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male students, 148 female students who were in the middle school in Uls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father behavior,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s sham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mother`s overexpected about 4% on the boy adolescent`s sham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mother`s overprotected about 6% on the girl adolescent`s sh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