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섹슈얼리티

        심진경 ( Jinkyung¸ Shim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2 No.-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을 대상으로 여성의 성적 일탈과 자유가 한편으로는 성 해방 담론에 힙입어 새로운 여성인물의 등장으로 이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와 결합된 가부장제적 담론 안에서 얼마나 손쉽게 남성에게 착취 가능한 것으로 변질되는지를 살펴본다. 은희경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성적 자유와 해방의 주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성적 질서와 성적 혼란 사이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존재들에 가깝다. 그들은 한편으로는 여성 욕망에 대한 대중화된 이미지에 기대어 성적 욕망과 쾌락의 주체를 연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남고 싶어하는 수동적 주체를 가장하기도 한다. 은희경 소설이 지배적인 남성 이데올로기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부성적 권위를 전복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글은 이 점에 착안하여 첫째로 은희경의 소설 속에 나타나는 성 행위의 재현 방식, 둘째로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 사이의 젠더적 위계관계를 중심으로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섹슈얼리티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여성인물들이 남근 중심적 시스템의 한계에 도전하고 저항하면서도 여전히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의 시선에 포박된 존재임을 밝힌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how easily women’s sexual freedom turns into exploitable for men within the patriarchal discourse combined with capitalism, while women’s sexual deviance and freedom lead to the emergence of new female figures through the discourse on sexual liberation in the 1990s. The female characters in Eun Hee-kyung’s novel are not the subjects of sexual freedom and liberation, but rather the ones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the existing sexual order and sexual confusion. They play the subject of sexual desire and pleasure, leaning on a popular image of women’s desires on the one hand, but also masquerading as a passive subject who wants to remain the object of male desire on the other. This is why Eun Hee-kyung’s novel, while raising the issue of male ideology, does not go as far as overthrowing paternal authority. Based on this point,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sexuality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in two broad aspects. One is an analysis of the sex scenes reproduced in the novel, while the other is an analysis of the gender hierarchy between “Looking at Me” and “Seeing Me.” And based on this, the article reveals that the female characters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are still trapped in the gaze of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system while challenging and resisting the limitations of the male-dominated system. The female characters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can be regarded as hysterical subjects in that they want to make themselves objects of men’s desires while rejecting such a masculine order.

      • KCI등재

        변신하는 주체와 심리적 현실로서의 환상 -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심진경 ( Shim Jinky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5 No.-

        이 논문은 한강의 연작소설집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주체의 변신이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폭력과 결합되면서 어떻게 한강 문학 특유의 ‘환상적 병리성’을 만들어내며, 나아가 그러한 환상성과 병리성이 우리 사회의 ‘정상/비정상’의 기준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심문하는지를 살펴본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병리성과 현실성이 결합되어 형성된 독특한 환상적 질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환상성은 기존의 이론적 틀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한강 작가 고유의 환상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강의 『채식주의자』에서 영혜의 ‘채식주의자-식물적 육체-나무’로의 변신 욕망은 어떠한 환상적 장치의 매개 없이 현실적인 조건과 상황 속에서 전개된다. 결국 영혜의 나무-되기는 현실에서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영혜의 억압된 탈현실의 욕망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한계 안에서 금기의 문제와 맞닥뜨림으로써 심리적 현실로 요약되는 환상의 무대를 연출한다. 지극히 현실적인 공간 위에 세워진 이 환상의 무대는 현실과의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그로써 지금까지 우리에게 익숙한 현실을 낯선 시각에서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이 연작소설에서 인혜는 「나무불꽃」의 화자이자 해독 불가능한 타자적 존재인 영혜를 이해하기 위한 매개적 존재로 등장한다. 소설은 영혜와 부분적으로 교집합적 관계를 맺는 인혜를 통해 이 세계가 우리의 생각만큼 그렇게 자명하거나 투명하지 않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보여준다. This paper is about how The vegetarian of the Han Kang's the fantastic and the pathological are combined with the violence experienced by women in the society dominated by the patriarchal ideology, We will examine how pathology examines the 'normal / abnormal' criteria in our society. The vegetarian of the Han Kang is composed of a unique fantasy texture formed by combining pathology and reality. Such fantasy can be interpreted as the fantasy inherent in Han Kang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the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It is in two dimensions. One appear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tree of YoungHae and the other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pirit of InHae. In the vegetarian of the Han Kang, the desire to transform YoungHae into‘vegetarians-vegetative flesh-trees’ evolves under realistic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without any mediator of fantastic devices. Eventually, becoming a tree of YoungHae turns out to be impossible in reality. In the process, however, the desire of the suppressed reality of the YoungHae creates the stage of fantasy summarized by psychical reality by confronting the problem of taboo within the limits of patriarchal ideology. The stage of this fantasy built on a realistic space that has been overtaken, brings tension to reality and thereby makes us recognize the reality familiar to us from a new point of view. In this series of novels, InHae emerges as a mediator for understanding the YoungHae of being a non-deterrent, other being and a speaker of the "tree flam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YoungHae imprisoned in a mental hospital, the unintentional attempt to become YoungHae makes her become a borderline person. As a result, she experiences the instability and ambiguity of life existing between reality and unreal, normal and abnormal, life impulse and death impulse. Thus, the novel tacitly shows that this world is not as self-evident or transparent as our thoughts, through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spiritual partly.

      • 연구논문 : 오정희의 옛우물 다시 읽기

        심진경 ( Jinkyung Shim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29 No.-

        The thesis is an attempt at re-reading the text of An Old Well by Oh Jung-He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old well`` in the text remains unbearably stereotypical. The wide-spread view is that ``the old well`` manifests the maternal life force. However, the issue with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maternal in Oh Jung-Hee``s work remains largely indistinct and hazy at best. Rather the maternal in her work is rarely accepted as a positive sign. The problem is that serious conflicts,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re present internally within the maternal. The maternal simply defies a singular interpreta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well`` as a source of the maternal life force lies the stereotypical conception or equation of ``serious women``s literature as affirmation of maternity``. The thesis raises the question by starting off from this vantage point. The sequence of events in An Old Well from the disappearance of ``Yoendang house``, decision to sell the ``small house``, ``his death``, smashing of the mirror and then finally filling of the well, forms a close interconnection with dissolution and death in terms of their significance and moreover are intertwined with the sense of loss felt by the present ``I``. The meaning of the old well in Oh Jung-Hee``s work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symbolic space and also within the space that defines the beginning and end of existence. The legend of the golden carp that appears at the end of The Old Well can be seen as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I』 and a narrative to make up for the power of life that is ebbing away. However, to view this immediately as signifying the principle of the maternal life force and its approval in a singular, simplified manner is problematic. ``The old well`` that is described in the novel holds its significance within the overall context of those that are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or already expir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Yeongdang house``, ``small house`` and ``him``. The most fundamental point is that as is the case with Oh Jung-Hee``s other work, the significance of the text remains volatile and insurgent. As with the process of writing on parchment, multiple versions of writing remain defiant against an ultimate fixed position of interpretation to offer a multifaceted narrative. This is the case with Oh Jung-Hee``s An Old Well. ``The old well`` is a world that is covered up voluntarily after having reached a sympathetic rapport on the part of 『I』 with the blessings offered by the customary order symbolized by family and at the same time, is the root of the primordial feminine narrative that makes up for the principal loss of existence that cannot be cast off.

      • KCI등재

        원초적 장면과 여성적 글쓰기의 기원

        심진경(Shim Jinky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이 논문은 오정희의 <바람의 넋>에 대한 분석이다. 지금까지의 기존논의에서는 이 소설 속 여주인공의 반복되는 가출에 대해 중산층 여성의 일탈 욕망 혹은 여성의 자기 탐색 서사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오정희 소설에 대한 상투적 분석의 연장선상에 있을 뿐 이 작품 고유의 개성과 의미를 포착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이러한 여성의 가출 충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힌트를 던져 놓는다고 보았다. 그것은 어린 ‘은수’가 전쟁통에 부모와 쌍둥이 여동생이 도둑들에게 몰살당하는 상황을 목격하는 장면이다. 그럼으로써 작가는 여주인공의 기이한 가출 심리에 대해 소설 내적으로 설득력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마련된 원초적 장면이 구성되는 방식과 이 장면이 전체 서사와 맺는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의 넋』 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이 소설의 원초적 장면에는 분명 한편으로는 실제 ‘은수’가 겪었던 6·25의 상흔이 각인되어 있는 것이지만, 작가 오정희의 시선은 단순히 거기에서 드러나는 6·25의 역사적 상흔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다. 작가는 오히려 그 체험의 역사적 맥락을 치환하여 1980년대 여성이 처한 현실 속에서 자기 존재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하는 형식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This essay is an analysis on Parameuneok(『바람의 넋』) by Oh Junghee. In former discussion on this novel, the repeated elopement of heroine have been interpreted as deviation desire of the middle-class woman or the narrative of self-exploration. However this analysis could not grasp the individuality and meaning of this novel. In this essay, I understand the end of this novel give a hint about the drive of elopement of heroine. That is the scene in which little girl Eunsoo witnessed the situation of her parents and little sister murdered by strangers. Through that, the writer is setting the persuasive foundation in this novel about strange elopement desire of heroine. Therefore this essay aims to renewal understanding on this novel, by analyzing the constructing way of this primal scen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whole narrative of this novel. The trauma of Korean War is stamped on this novel"s primal scene which little girl Eunsoo had experienced on the one hand, but the writer do not accentuate the trauma of Korean war. The writer displace the context of that experience and change that into the form of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self-existence in women"s reality in 1980s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