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百濟 石築山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하여

        沈正輔(Sim, Jeong-Bo) 한국상고사학회 2001 한국상고사학보 Vol.35 No.-

        According to Sam-Kuk Sa Ki(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 the country Baekche was the most active in constructing the fortresses,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was composed of fortress systems with 200 fortresses, most ofwhich were minly constructed as mountain fortress. The fact that the small sized Baekche fortresses in Baekche is similar to the fortress construction in Bu-Yeo. This reflects that some of Bu-Yeo's tradition is maintained in Baekche's construction technique. Until recently, build a stone fortress has been considered as constructed in the late sixth century. However, Seol-Bong fortress and Ban-Wol fortress were possibly constructed from the late forth century to the late fifth century. This shows that stone-walled fortress had already been constructed during the Han-Sung dynasty. The construction period of Dae-Mo fortress also needs to be re-examined, for the fortress remains are similar to that constructed in the mid-fifth century of Baekche. Regarding Gye-Jok fortress, the estimation that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in the early fifth century, was found to be true with the excavation of Baeche's necked jar(圓底短頸壺). This jar, possibly made between the late forth and the early fifth century, was found in the foundation layer of the inner southern gate. For further research, the charcoal sample ore,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old earth's surface of the northern wall during the first excavation period, was entrusted to the Beta Research Center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radiocarbon dating measurement, the ore was probably made on the year of 415. Wol-Pyong-Dong fortress might have been first constructed in the late fifth century, but it is probable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might date further back, for the remains excavated from that fortress such as bird leg figures(鳥足紋) jar, proves that the fortress could have been built during or before the period when Woong-Jin was the capital of Baekche. The construction of Baekche's stone-walled fortress between the late forth and early fifth century on the borderline, could also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the King Keun-Cho-Go(近肖古王). Here are the most common methods in forming the fortress's foundation layer. First, the ground is dug until the base rock or the weathered base rock is exposed, and then the fortress is built on the exposed surface. A slope on the surface is either made even by shaving the surface like a stairway, and then by putting the foundation rock over it; or the base rock layer with clay, send, or stones of all sizes is hardened and that hardened surface is used as the foundation layer. If the base rock is used as the foundation layer, a hump is made on the upper layer of the base rock in order to prevent the foundation rock from being shoved. This technique which can be found in Sul-Bong fortress and Gye-Jok fortress, was first used in constructing the fortresses during the period of Goguryo. After forming the foundation layer, two or three layers of clay and earth were supplemented, or flat rock was paved on the foundation layer with the width of 30㎝~80㎝. These more developed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protect the foundation of the fortress, and are found in Im-Jon fortress and Gye-Jok fortress. In building the fortress wall, the rectangular stones were piled up in the shape of “品”. here are two of the ways to pile up the stones. The first method is a vertical construction, by piling two or three layers of rectangular stones, and then putting two layers of long flat stones or one layer of squares stones. The second method is constructing the wall with the trimmed stone of granite horizontally with the outer wall of the fortress itself. But usually, most of th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by piling up the rectangular stones both crosswide and lengthwide, and crevices between the stones were mostly filed up with Geurangi-building, and wedge stones were not used m 《三國史記》에 의하면 三國 중 백제에서 성곽 축조가 가장 활발하였음을 기록하고 있으며, 地方의 行政單位가 200城의 城體制로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200城은 대부분 山城으로 파악된다. 또한, 百濟 城郭은 거의 전부가 테뫼식산성을 위주로 축조하고 있는데, 이는 山嶺에 소규모의 山城이 一列로 축조되어 있는 백제성곽이 공격보다는 방어에 목적을 두고 축조하였음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三國 중 百濟에서 소규모의 테뫼식산성을 주로 축조하여 방어체계를 이루고 있는 것은 夫餘에서의 테뫼식산성의 축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夫餘의 전통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石築山城의 축조시기에 대하여서는 이제까지 6세기 후반으로 편년되고 있었으나, 雪峰山城과 半月山城이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편년되고 있어 漢城期에 이미 석축산성을 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大母山城도 유물상으로 보아 5세기 중반의 百濟山城으로 볼 수 있어 재검토가 필요하다. 鷄足山城은 초축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南門址 안쪽 기저부층에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편년되는 百濟의 圓底短頸壺가 출토되고 있어 鷄足山城의 축조시점이 5세기 초로 편년할 수 있는 고고학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는 1차 발굴조사 시 北壁 내부 舊地表上에서 채취한 목탄시료를 미국 Beta 연구소에 의뢰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중간 값이 415년으로 나타나 뒷받침된다고 하겠다. 月坪洞山城의 축조시기에 대하여 月坪洞遺蹟의 보고자는 초축시기를 5세기 후반대로 추정하고 있어 上限이 더 올라갈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는데, 鳥足文土器 등 출토유물로 보아 웅진도읍기 이전으로 올라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백제에서의 石築山城의 축조가 당시 國境線上 부근에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확인되고 있는 것은 近肖古王의 領土擴張과 관련하여 나타난 현상이라고 하겠다. 百濟 山城의 基底部 조성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基底를 암반이나 풍화암반층이 노출될 때까지 파내고 그 상면에 체성을 축조하되 경사면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계단식으로 깎아내어 수평을 맞추고 그 위에 기단석을 올려놓는 방법과 암반층이나 풍화암반층 또는 생토면 위에 점토와 모래 및 잡석을 놓아 다진 후 이를 기저부로 삼고 있는 방법이다. 특히 基底部가 암반인 경우에 基壇石이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반 상면에 턱을 만들었는데, 이 技法은 고구려 성곽 축조방법으로 알려져 온 것으로 雪峰山城과 鷄足山城에서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한편, 百濟城郭에서 기단석을 포함하여 2~3단 정도를 점토 및 土砂로 補築한다든지 城壁 外部 基底層에 鋪道처럼 幅 30㎝~80㎝ 정도의 구획에 납작한 板石을 깔은 것은 모두 基壇部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任存城과 鷄足山城에서의 基壇補築도 같은 맥락으로 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城壁의 築造方法을 살펴보면, 장방형의 석재를 사용하여 ‘品’자형으로 쌓아 올리되, 長方形 石材를 2단~3단 놓은 후 그 위에 얇고 길이가 긴 板石形 石材를 2단이나 正方形 石材를 1단을 놓는 방식을 사용하고, 들여쌓기를 하지 않아 성벽 단면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축조하는 방법과 版築으로 조성된 體城 외벽에 花崗石材를 治石한 成石을 수평을 맞추어 축조하고 있는 例가 제시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대부분의 산성들이 가공한 장방형의 석재를 가로쌓기 및 모로쌓기로 수평을 맞추어 축조하되, 石材와 석재 사이의 빈틈은 그랭이쌓기를 채용하여 해결하였으며 쐐기돌로 메운 곳은 그리 많지 않다. 즉 下段 石材의 윗면에 맞추어 그 위에 놓여질 石材의 아랫면을 깎아내 조정하여 빈틈이 없도록 하고 水平을 맞추어 축조하면서 성벽 外面의 단면은 圭形을 이루고 있는 것을 축조기법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公山城을 비롯하여 鷄足山城, 黔丹山城, 姑蘇城 등에서 石築으로 정연하게 축조된 集水池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대규모의 集水池를 정연하게 축조하고 있는 것은 아직 新羅山城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百濟山城의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라 하겠다. 城郭遺蹟에서 기와의 출현은 城의 築造時期 및 使用時期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遺物인데, 평기와 내면에 통쪽(模骨)와통의 흔적이 高句麗와 百濟 山城에서 공히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평기와의 內面에 繩蓆紋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 문양이 百濟의 傳統的인 技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읍성축조에 있어서 ``축성신도(築城新圖)``의 반포 목적과 고고학적 검토

        심정보 ( Jeong Bo Sim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외침에 대한 우리나라의 역대 방어 전략은 들판의 곡식을 깨끗이 치우고 산성으로 입보하여 적이 지쳐서 물러갈 때를 기다려 공격하는 청야입보(淸野入保)정책이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청야입보정책에서 연해읍성의 출현은 새로운 방어 전략의 모색이었다. 이는 미처 피하지 못한 백성과 옮기지 못한 가축이나 곡식의 손실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되었다. 읍성의 축성재료 면에서는 석성, 토성, 벽성, 목책도니성, 목책이 다양하게 축조되고 있었으나, 고려시대에는 토성이 보다 많이 축조되고 있었으며, 조선시대 초기만 하더라도 토축과 석축이 병행하여 이루어졌으며, 체성은 도성의 축조기법에 따라 경사면의 내탁부가 이루어지도록 축조하였다. 그런데, 세종 20년에 「축성에 대한 새로운 도본」을 반포하여, 체성을 모두 석재로 쌓도록 하고, 토사로 이루어진 경사면의 내탁부도 석재로 계단을 이루도록 하여, 읍성의 석축화(石築化)가 시행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세종은 적대(敵臺), 옹성(甕城), 연대(煙臺)의 도본을 내려 중요 방어시설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석축화가 이루어진 것은 세종 16년 3월에 최윤덕이 고려 때 모두 흙으로 성을 쌓아 民力만 낭비하고도 功이 없었다고 하여 우리나라에는 축성할 石材가 없는 곳이 없으므로 마땅히 石城을 쌓아 영구하게 하자고 거듭 건의한 것이 반영된 것이다. 읍성의 석축화를 위하여 「축성에 대한 새로운 도본」을 반포하여 규식화 한 것은 당시 병조판서였던 황보인의 건의에 의하여 추진되었으며, 도본 작성은 ‘수성전선색(修城典船色)’에서 작성하였다. 그러나, 읍성을 석재로만 축조한 이후 오히려 축성 완료후 단기간에 붕괴되는 현상이 진행되므로 세종 25년에 이보흠이 상소하여 다시 도성 축조기법에 의하여 체성을 축조할 것을 건의하기에 이르렀다. 고고학적으로 웅천읍성 증축과정에서 이러한 변화를 살필 수 있으며, 단종 1년 이후에는 도성축조기법으로 다시 축조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즉 내벽에 석재를 사용하여 계단상으로 축조하였던 등성시설(登城施設)이 토사를 정교하게 다져서 경사면을 이루는 등성시설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발굴조사 시에 체성의 기저부 조성방법과 수·개축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Throughout history, Korea`s defense strategy against foreign invasion consisted in clearing the field and entering the fortress. To be more specific, Korean ancestors first removed all crops from the field and entered the fortress. They then waited until the enemies grew tired and began to withdraw. It was at that moment that Koreans started attacking them. Considering such a traditional policy of “clearing the field and entering the fortress,” construction of Yeonhae Walled City meant searching for a new defense strategy. That was because it was lamentable to lose people, livestock and crops that had still remained in the field. For a walled city, a variety of fortresses were constructed and the examples are stone fortress, earthen fortress, walled fortress and fortress composed of a wooden barricade and mud. During the Goryeo Dynasty, earthen fortresses were the most common. On the other hand,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oth earth and stone were used and the inner part of the incline in the fortress body was buil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echnique used for the capital. However, during the 20th year of King Sejong, the Korean government published The New Guidelines on Fortress Construction. These guidelines were mainly about recommending masonry for walled cities. For example, all fortress bodies had to be built with stone and the inner parts of inclines made of earth and sand had to have a staircase made of stone. In the same year, King Sejong ordered construction of major defense facilities, providing guidelines on outer wall, outwork and storage. Stone fortresses came to be built following Choi Yun-deok`s suggestion in March of the 16th year of King Sejong. At that time, Choi constantly argued for constructing stone fortresses. To elaborate on his position, he pointed out that during the Goryeo Dynasty, all fortresses had been made of earth and that it had been just a waste of human resources because these fortresses had been useless. He also added that since stone is everywhere in Korea, it must be used to construct fortresses so that they can be used permanently. Following the advice of Hwang Bo-in, then Minister of War, The New Guidelines on Fortress Construction were published and stone became the official material of walled cities. The guidelines were drawn up by an organization called Sujseongjeonseonsaek. However, using only stone for walled cities resulted in collapse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of a fortress. That is why during the 25th year of King Sej ong, Lee Bo-heum asked the government to respect again the construction technique used for the capital to construct fortress bodies. Archaeological research allows these changes to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extending Ungcheon Walled City. Such research also makes clear that after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capital was used again. In other words, before this period, a stone staircase was built on the inner wall of a fortress while later on, an incline made of dense earth and sand was used instead. This explains why during excavation,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the foundation of a fortress body was built and to see if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were carried ou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