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柳崇祖의 『대학』 이해와 理學 사상-『大學十箴』을 중심으로-

        심예인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2

        1511년(중종 6) 성균관 대사성 柳崇祖는 『大學十箴』과 『性理淵源撮要』를 왕에게 진상하였다. 그 가운데 『대학십잠』은 『대학』의 3강령 8조목을 10개의 箴으로 정리한 저술이다. 이 책의 편찬 배경은 두 가지이다. 첫째, 종래까지 제왕학의 텍스트로 중시되던 眞德秀의 『大學衍義』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즉 사례 중심의 『대학연의』를 이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의 요체를 깨닫고 실천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둘째, 연산군대의 두 차례 사화를 겪은 유숭조는 중종반정으로 새로운 유교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군주의 聖學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제왕 스스로 성인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箴의 형태로 풀어냈다. 『대학십잠』의 구성은 格物致知로 시작하여 絜矩로 끝난다. 격물치지는 聖學의 출발이자 治道의 근본이다. 치도는 마음에서 비롯되므로, 마음을 닦아 혈구의 도로 백성을 헤아릴 것을 주문하였다. 이를 위해 敬의 자세를 강조하였다. 이 사실은 16세기 이후 『대학』의 핵심어가 敬으로 모아지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0개의 잠 가운데 특히 『明明德箴』에는 유숭조의 성리설을 비롯한 理學 사상이 담겨 있다. 그가 명덕을 주목한 이유는 修己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즉 명덕을 “삼강령의 으뜸”이라고 하는 동시에 ‘수기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지난날 임금이 마음을 닦지 않아 생긴 폭정을 목도한 그는 나라를 다스리는데 가장 우선시해야 할 일로 군주의 正心과 修身을 주목하였다. 나아가 ‘反正’이라는 유교적 명분에 맞게 군주에게 天德과 王道의 실천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명덕을 강조하여 정심과 수신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천덕과 왕도의 실현을 기대한 것이다. 이는 유숭조가 『대학』의 내용을 근거로 실천을 꾀하는 이른바 理學의 心學化를 도모했음을 시사한다. 원래 ‘心學’은 국초에 원론적 차원의 수양론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하지만, 연산군을 거쳐 중종대를 기점으로는 실천적 차원의 수양론을 강조하는 의미로 바뀌었다. 이 무렵 심학을 하는 방법으로는 김굉필 이후 『소학』 중심의 실천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유숭조는 군주에게는 『대학』중심의 실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군주의 심학을 도모하기 위해 『대학십잠』을 편찬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십잠』은 조선 사회에서 군주의 修身學을 위한 첫 교재이자, 16세기 초 이학의 심학화 과정을 보여준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십잡』 내에는 유숭조 이학 사상의 핵심인 理氣四七說이 들어 있다. 특히 理와 氣를 四端과 七情에 결합한 유숭조의 언설은 李滉의 理氣互發說을 연상시킨다. 유숭조가 이황 이전에 이기사칠설을 제시한 사실은 16세기 초 조선 이학 사상의 단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결국 『대학십잠』은 곧 16세기 중반 이황의 『聖學十圖』 이전에 존재한 성학서로서의 前史的 성격을 띤다. 나아가 유숭조의 이기사칠설은 중종대 초반 서울 중심 官學의 이학 수준과 분위기를 잘 대변한다고 여겨진다. In 1511, Yu Sung-jo(柳崇祖), a rector of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of the Joseon Dynasty, presented the king Jungjong with Daehaksibjam(『大學十箴』) and Seongliyeonwonchwalyo(『性理淵源撮要』). Daehaksibjam is a book that summarizes the three cords(samganglyeong 三綱領) and the eight steps(paljomok 八條目) of Great Learning(『大學』) into ten admonitory precept. There were two reasons why he wrote this book. First, it had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Jin Deok-su(眞德秀)’s An Explic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衍義』),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text of disciplines of kingship. Second, Yu Sung-jo, who experienced the tyranny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Yeon-san, thought that ‘learning of the sages(seonghak 聖學)’ was desperate to make a new Confucian society through Jungjong-banjeong(中宗反正). To this end, he unveiled a specific way of studying in the form of proverbs that would enable the monarch to become a sage man(seongin 聖人) by himself. Yu Sung-jo began Daehaksibjam with ‘comprehend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gyeokmulchiji 格物致知)’ and closed it with ‘principle of applying a measuring square(hyeolgu 絜矩)’. gyeokmulchiji is the beginning of seonghak and the foundation of ‘the way of the governing(chido 治道)’. Since chido comes from the King’s heart, he requested to cultivate virtue and to rule the people with hyeolgu. To this end, he emphasized the attitude of ‘respect(gyeong 敬)’. This fact shows that he had some influence on the definition of gyeong as the key word of Great Learning since the 16th century. “Myeongmyeongdeokjam(明明德箴)”, one of the ten proverbs, contains the thoughts of Yu Sung-jo’s ‘study of principle(lihak 理學)’. The reason why he noticed ‘brilliant virtue(myeongdeok 明德)’ was to emphasize ‘self-cultivation(sugi 修己)’. In other words, he considered myeongdeok was the best of samganglyeong and the starting point of self-cultivation. Because he witnessed the tyranny of the King Yeon-san, he chose ‘making the mind correct(jeongsim 正心)’ and sugi as his first priority in governing the country. Furthermore, he demanded the monarch to practice ‘the moral nature of heaven(cheondeok 天德)’ and ‘the way of the ruler(wangdo 王道)’. Thus emphasizing ‘brilliant virtue’, he ultimately expected the achievement of cheondeok and wangdo. This suggests that he promoted ‘the process of learning of the mind(simhakhwa 心學化)’ of lihak that seeks practice based on Great Learning. The term ‘learning of the mind(simhak 心學)’ was originally used as a theoretical theory of discipline. However, simhak had been changed to a practical theory of discipline in the reign of the King Jungjong. At that period, the main trends of the study of simhak were the practical trend centered on Primary Learning(『小學』). However, he found that the practice of Primary Learning was not suitable for the monarch and judged that the practice of Great Learning was urgent. Thus, he compiled the Daehaksibjam as a guide to seonghak. In that sense, Daehaksibjam is the first textbook for the study of self-cultivation of the monarch in the Joseon society. It is also a book that shows simhakhwa of lihak in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Daehaksibjam, ‘Likisachilseol(理氣四七說)’ is the core of his thoughts. In particular, this word combining ‘principle(li 理)’ and ‘energy(gi 氣)’ with ‘four beginnings(sadan 四端)’ and ‘seven emotions(chiljeong 七情)’ is reminiscent of ‘Likihobalseol(理氣互發說)’ of Lee hwang(李滉). The fact that he presented likisachilseol before Lee hwang helps us understand the beginning of Joseon’s lihak thought in the early 16th century. After all, Daehaksibjam is characterized as a textbook that existed before Lee hwang’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in the mid-16th cen...

      • KCI등재

        여말선초 道學의 성격과 道統論

        심예인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이다. 이학은 道學으로도 불렸다. 이학이 만물을 理로 설명하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라면, 도학은 道統의식과 함께 타 사상에 대한 闢異端의 논리를 내재한 개념이다. 그동안 조선의 도학은 주로 김굉필과 조광조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의리실천학을 지칭하는 용어로만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도학은 이미 고려 말 이학이 도입되면서부터 그 용례가 발견될 뿐 아니라 시기별로 그 성격을 조금씩 달리하였다. 14세기 말 도학은 당시 원나라에서 도입된 程朱學 내지 이학 자체를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이때 도학은 道問學의 학문 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고, 특히 불교와 도교를 배척하는 벽이단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15세기 도학 역시 도문학의 학문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다. 여기에 사대부뿐만 아니라 군주를 위한 학문과 사상으로서 治道學 내지 經世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세조나 연산군과 같은 覇道的 군주와 부패한 정치세력이 부상하자, 15세기 말부터 절의실천적 도학이 주장되는가 하면 治心․養性․居敬과 같은 수신의 학문 태도, 즉 尊德性의 학문방법이 크게 권장되었다. 도학이 이제 마음을 닦는 心學으로 확대된 것이다. 도학의 핵심은 무엇보다 도통을 잇는 데 있다. 여말선초 이학자 가운데 가장 먼저 도통을 정리한 인물은 李穡이다. 이색은 원나라 許衡을 도통의 반열에 올려 원대 이학의 정통성을 주장하였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다. 중국의 선유들에 대한 文廟從祀 논의, 조선 유자들에 대한 문묘종사 논의,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유자들의 도통 논의가 그것이다. 도통논의에서 두드러진 점은 당대 사회의 가치에 따라 도통론이 좌우되어 문묘 종사의 대상들이 끊임없이 入享과 黜享을 거듭했다는 사실이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君主道統論과 儒者道統論으로 특징지어진다. 군주도통론은 周나라 武王 이후 끊어졌던 王統을 이학의 나라인 조선의 국왕에 의해 다시 잇고자 한 도통론이다. 이는 박의중과 정도전에게서 그 단초가 나타난다. 유자도통론은 공자 이후 사대부의 영역으로 내려온 도학의 전수가 조선의 유자들에 의해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유자도통론은 문묘종사를 통해 공인되는 형태와 유자들 사이에 존재한 도통의식 또는 도통론의 형태로 구분된다. 15세기까지는 이제현에서 이색을 거쳐 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불교에 기울거나 절의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이들은 모두 문묘 종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여말선초에는 학문의 전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도통론이 존재하였다. 첫째, 원대의 허형에서 고려의 이색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둘째, 이제현-이색-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셋째, 이색-정도전-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넷째, 권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그밖에도 박영은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을 제시하였고, 박세채의 기록을 통해 이황이 4현을 언급하기 전까지 김안국을 도통의 반열에 올리려는 움직임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여말선초 도통론은 16세기 중반 이후 士林勢力에 의해 정해진 도통과는 별개로 다양한 도통의 계보가 존재했다. Chosŏn was a nation established by taking the “learning of principle”(K. Ihak 理學 C. lixue) as its ruling ideology. The learning of principle was also called the “learning of the Way”(K. Tohak 道學 C. daoxue). While the learning of principle is a value neutral concept used to explain all things by the principle, the learning of the Way is a concept that contains the logic of regarding other theories as heterodox teachings along with the strong sense of the lineage of the Way. The learning of the Way of Chosŏn has been mostly used as a term merely referring to meanings and principles focusing on practicality(義理實踐) of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Goeng-pil and Cho Kwang-jo. As the learning of the Way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Koryŏ period, however, the diverse usages of the term were found and moreover, its characteristics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used as a term indicating Cheng-Zhu learning from the Yuan dynasty or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tself. The learning of the Way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stood out as the logic of regarding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 teachings. In the 15th century, the us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also based on classical studies and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The learning of the Way based on classical studies played a role as statecraft learning or ideology for rulers as well as literati. However, as hegemonic rulers like King Sejo or Prince Yŏnsan and corrupt political forces such as old meritorious elites emerged, it came to be difficult to rectify the society only with the learning of the Way valuing the classical studies ba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Hence,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related to cultivate oneself(節義實踐) was advocated while the learning attitudes of honoring virtuous nature(尊德性), such as controlling the mind, nourishing inner nature, and abiding in reverence, were greatly encouraged. The learning of the Way was extended to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cultivation of mind. Above all, the key point of the learning of the Way is carrying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mong the scholar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it was Yi Saek who was aware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Yi Saek claimed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from Yuan dynasty by putting Xu Heng on the rank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The argument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rgument on the shrine service to Chi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 shrine service to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not served in the shrines.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resulted in the incessant replacement of spirit tablets in the shrines. Arguments on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characterized b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and that of Confucian scholars.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wa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royal lineage by the kings of Chosŏn, which was a state of the learning of the Way. This royal lineage was considered to have ceased since Emperor Wu of the Zhou dynasty. This was exposed in the idea proposed by Chŏng To-jŏn and Park ŭi-Jung.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Confucian scholars was the assertion that, after Confucius, the Way passed down to the Chinese literati was again transmit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Chosŏn. ...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