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수인종 예술활동과 정체성-정치

        심보선 ( Bo Seon Shim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아시아 아메리칸이라는 인종 범주에 기반한 문화예술운동이 확산되어가기 시작했다. 특히 인권운동에 뿌리를 둔 아시아 아메리칸 비영리 예술조직들은 아시아계 소수인종의 권리와 정체성을 활동의 중심 안건으로 삼아 성장해간다. 본 논문은 뉴욕의 아시아 아메리칸 비영리 예술조직들의 예술 활동과 정체성-정치가 외부적인 자원 및 제도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그 성격과 전략이 변화했는가를 역사적으로 살펴본다. 1990년대 이후 정부지원금이 삭감되어 가고 다문화주의라는 주제가 문화예술계 전반에 걸쳐 확산되면서 아시아 아메리칸 예술조직은 자원과 정당성의 확보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아시아 아메리칸 비영리 예술조직들은 조직 구조와 프로그램, 정체성 내러티브의 변화를 기함으로써 위기를 타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예술, 지역, 인종을 아우르는 포괄적 정체성-정치가 한편으로는 마케팅 도구로,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개발 도구라는 범주로 분화 및 통화해감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소수인종 예술과 정체성-정치의 내용과 표현이 결정론적 기제에 따르기보다 거시적 자원 및 제도 환경과 조직 행위자의 전략적 선택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역사적으로 형성하고 변화함을 밝힌다. During the 1970s, the cultural movement deploying the racial category of "Asian American"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newly formed Asian American nonprofit arts organization attempted at enhancing the rights and identity of Asian American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New York-based Asian American arts organizations` cultural identity politics changed over tim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ource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the strategic choices by the organizational actors. Since 1990s, faced with increasing uncertainty caused by the government funding cut and the popularization of "identity" theme in the cultural field, the Asian American arts organizations have arranged organizational structures, activities, and identity narratives in ways that would reduce the uncertainty. As a result the generalist identity politics embracing art, local community, and race has diverged into the specialist frameworks, one focusing on the Chinatown community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market.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의례

        심보선(Bo-Seon Sh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문화와 사회 Vol.16 No.-

        이 연구는 랜들 콜린스와 어빙 고프먼의 “상호작용 의례” 이론을 빌려와 온라인 자전거 커뮤니티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구성되는 결사의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온라인 자전거 커뮤니티는 구성원들이 자전거라는 ‘신성한 대상’을 중심으로 유대하고 정서적 에너지를 고양시키는 결사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반복적인 의례행위, 관심대상, 기분 등을 공유함으로써, 공통의 상징과 정서와 규범을 만들어간다. 이러한 의례 과정은 회원들이 존대와 처신, 수습절차 등의 의례 규칙들을 협력적으로 표현하고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회원들은 자신과 타인들의 언행을 조절하고 문제에 대처해 나간다. 자전거 온라인 커뮤니티 내부에는 자전거와 비자전거,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사내부와 결사외부가 공존한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이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의 공존’을 해석하고 조절하는 노력 속에서 유지된다. 때로는 이 과정에서 격렬한 감정적 논쟁, 즉, ‘플레이밍’이 야기되고 이는 커뮤니티의 유대와 정서적 에너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회원들은 협력적 작업을 통해 다양한 도덕적 표준들을 확인하고 제안하며 내부의 의례균형을 회복하고 위기를 극복하려 한다. 이 연구는 한 평범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의례를 분석하면서 온라인 상호작용에 대한 비관론과 낙관론 모두를 지양하고자 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회원들은 무수한 실패와 반복되는 위기 속에서도, 때로는 일상적으로, 때로는 긴급하게,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의 상호작용 의례를 통해, 자신들이 속한 결사를 유익하고, 즐겁고, 동시에 도덕적으로 정당한 결사로 구성해간다. By resorting to the theory of “interaction ritual” suggested by Randall Collins and Erving Goffman, this study analyzed the conversations within online bicycle community. Online bicycle community is an association that forms solidarity and enhances emotional energy centering around the bicycle as “the sacred object”. The members of online bicycle community share ritual actions, interests, and mood and, thus, produce common symbols, emotions, and norms that contribute to the legitimate and effective 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These ritual interactions are activated by collaborative efforts of the members following the rules of deference, demeanor, and corrective process, which manage the speech-act of the self and others and cope with the problems. Inside the community there are dialectics between bicycle and non-bicycle, online and off-line, and inside and outside of which co-existence must be interpreted and regulated by the members in order for the community to sustain. More often than not, intense quarrels called ‘flaming’ take place weakening the solidarity and emotional energies among the members. Then the members deal with the crisis collaboratively suggesting and confirming moral standards to the members to restore the ritual balance. This study avoids both pessimism and optimism about the online communit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despite the numerous failures and repetitive crises, both regularly and irregularly, through engaging with ongoing interaction rituals of conversations and collaborations, strive to manage their community as a useful, pleasant, and moral.

      • KCI등재

        예술교육의 정치: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심보선(Bo-Seon Sh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3

        본 연구는 예술교육 및 그 이념적 토대로서의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를 “시민성”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기존의 연구가 문화 정책의 타당성이라는 견지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보았다면 본 연구는 민주적 주체성을 구성하는 문화정치적 동학의 관점에서 예술교육을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는 예술을 둘러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헤게모니와 저항을 반영하며 두 이념이 표방하는 예술교육은 그러한 상징투쟁에 관여하는 주체성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안되었다. 이때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에 상응하는 예술교육은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이라는 민주적 주체성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을 각각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예술교육이 구성하는 주체성으로 개념화하면서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과 랑시에르의 미학 이론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본다. 예술적 시민성과 문화적 시민성 개념은 예술에 잠재하는 주체화의 정치적 지평을 밝힘으로써 예술교육 내부에 존재하는 긴장과 모순을 드러낸다. 나아가 본 연구는 그러한 긴장과 모순을 단순히 해소할 것이 아니라 제도적이고 행위적인 “성찰성”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교육은 민주적 주체성이 실험되고 실현되는 “논쟁적 공론장”으로 재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as the ideological basis of art education drawing on the notion of citizenship. Whereas the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art education in terms of validity of cultural policy, this study explores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cultural politics that construct the democratic subjectivity. Historically,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respectively reflect hegemony and resistance around art. Art educations that derives from the two ideologies has been proposed as programs to construct subjectivities involved in the symbolic struggles. The notions of artistic citizenship and cultural citizenship as democratic subjectivities can shed a light on art education program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This study utilizes the sociological theory of Pierre Bourieu to understand artistic citizenship and the aesthetic theory of Jacque Rancière cultural citizenship, which reveal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political subjectific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This study argues that art education should not simply resolve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but take them as the basi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reflexivity. As such, art education can be redefined as contentious public sphere where democratic subjectivity is experimented and performed.

      • KCI등재

        참여형 문화예술활동의 유형 및 사회적 기능 분석

        심보선(Shim Bosun),강윤주(Kang Yunju)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7

        본 논문은 문화예술이 ‘함께하는 삶’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기제와 과정을 참여형 문화예술 활동, 그중에서도 성남시의 문화클럽이라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은 예술이 가져오는 구별과 불평등을 강조하며 퍼트넘의 사회자본론은 공동체적 활동이 가져오는 유대와 신뢰를 강조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전제하고 이러한 전제하에서 문화클럽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유형이 나타나고 유지되는 경험적 기제와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남시 문화클럽 중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가장 활동적인 클럽은 ‘만능형’ 문화클럽이었다. ‘만능형’ 문화클럽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있는 가장 바람직한 클럽이었다. 그러나 예술을 핑계로 친목도모에 치중하는 ‘사교형’ 문화클럽도 두 번째로 많았다. 그 외에 예술적 관심에 치중하며 다른 사회자본적 관심에는 무관심한 ‘자기계발형’과 예술을 도구로 삼아 사회적 연계에 치중하는 ‘문화외교형’ 클럽도 적지 않다. 이들 클럽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결합 양상과 상관관계를 맺는 변수는 ‘클럽 형성 계기’와 ‘활동 거점’이었다. 특히 직장에서 생긴 클럽의 경우 사회자본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문화센터 같은 기관과 오프라인에서 자발적으로 모임이 만들어진 경우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모두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또한 활동 거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성남 전체에서 활동하는 문화클럽에서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동시에 활성화된 ‘만능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어떤 특정 계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계기를 통해 형성되었음이 확인됐다. 이를 통해해 우리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결합하는 양상이 다양함을, 그리고 이 다양성이 ‘어디서 형성됐는가’와 ‘어디서 활동하는가’, 그리고 ‘어디서 형성되어 어디서 활동하는가’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비록 잠정적이고 불완전한 경험적 사례분석에 머물지만 본 논문의 발견은 일반인들의 참여적인 문화예술 활동이 개인주의적 취미활동에 머물지 않고 사회 구성원들의 집합적 복지와 유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기제와 과정을 이해하는 데 이론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책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chanism and processes by which artistic activities contribute to “living together” especially by looking at the case of Seongnam city’s culture clubs. Bourdieu’s concept of cultural capital focuses on distinction and inequality caused by arts whereas Putnam’s concept of social capital on ties and trust caused by communal life. This paper assumes the possibility where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coexist in a positive manner. This paper categorizes types of culture club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ombin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examines the mechanism and processes with which the different patterns of combination are associated. The most active and frequent case is “all-purpose type” club where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positively associated indicating that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not necessarily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However, the second most frequent case is “leisure type” club where members are interested only in internal relationship building by using arts as an excuse, which indicates that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not necessarily go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re are “self improvement type” club focusing only on improving artistic skills without interest in both internal bonding and external connecting and “cultural diplomat type” club using arts as a tool for external connection. The variabl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se types are “how they were formed” and “where they are active”. In the case of clubs formed in the work places have the lowest rate of social capital and in the case of clubs formed in the cultural center and off-line meetings have the high active degree in both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In the case of clubs that are active all around the city have the highest rate of “all-purpose type” clubs that are active in both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In addition, the origins of these clubs active all around the city were not concentrated on the particular sites. This paper identified diverse patterns of combination between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and also the fact that th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how they were formed”, “where they are active”, and “how they were formed” and “where they are active now”. Although this paper is an tentative and imperfect empirical analysis, it provide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the future analysis of the mechanism and processes by which arts contribute to the collective well being and communal life.

      • KCI등재

        상징폭력으로서의 미술관 정책 ― 1960-80년대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심보선 ( Shim¸ Bo-seon ),박세희 ( Park¸ Sehee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우리는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작동하는 예술성과 공공성 담론과 그것들을 생산하는 지식인 및 예술가들, 정부 사이의 동학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국가 이론 및 상징 폭력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개관 이후 예술을 통해 이상적인 근대 국가와 국민을 대내외적으로 육성하는 보편주의적 억견에 따라 예술성과 공공성을 상호 조응시키고 결합시켰다. 즉, 예술의 우수성은 민족/국가/객인의 우수성과 상응한다는 ‘문화(Kultur)’ 개념이 논박불가능한 미술관 운영의 규범으로 자리했다. 이 보편적이고도 규범적인 전제는 선택과 배제, 경쟁과 협력을 통해 작동하는 국가와 예술가/지식인 사이의 사회적 동학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1960-80년대 문화정책은 국가의 통치 기술로서 이중적인 양상을 띠었다. 한편으로는 대중문화에 대한 통제와 검열, 반정부적 예술에 대한 탄압, 민족기록화와 대통령 찬사와 같은 직접적 동원 등 예술의 자율성을 박탈하거나 예술을 선전 도구화하는 정책이 존재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재와 박물관/미술관에 관련한 법과 제도의 설립과 운영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예술적 혁신과 진보 개념을 국민국가의 기획에 적용하는데 예술가 및 지식인을 동원하는 보편주의적 상징폭력으로서의 정책이 존재했다. 기존의 연구는 전자의 비중이 약해지고 후자의 비중이 강해지는 과정을 권위주의적 정권이 쇠퇴하는 민주화의 과정과 연계하여 이해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권위주의적 정권의 근대화 기획에서 후자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위상을 차지했으며 민주화 이후의 국립현대미술관 정책의 이념적이고 제도적인 연원이 바로 거기에 있었다는 점을 사료 분석을 통해 밝혔다. 그리하여 정권 교체와 더불어 전시 및 운영이 다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의 미술계에서 국가의 영향력이 발휘되는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거점으로 기능하기에 이르렀다. Drawing on Pierre Bourdieu’s theory of the state and symbolic power, we analyzed the interactive dynamics centering around the discourse of the “the public” and the “the artistic” between state, intellectuals, and artists i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Since its inception in 1969, the MMCA has combined the public and the artistic according to a universalist doxa that views art as a tool for nurturing the civility of the modern nation-state and its people. The notion of ‘kultur’ equating the excellency of art with that of nation/state/individual was embedded as an indisputable norm in the management of MMCA. The interactive dynamics between the state and intellectuals/artists, including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produced and strengthened the norm. The state's cultural policy from the 1960s to the 1980s was consequently double-sided. On the one hand, it was based on censorship of mass culture, oppression of anti-government artists, and direct control of art, which instilled nationalist and anti-communist orientation within the policy fram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law and state institution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museums, it operated as symbolic violence by incorporating universalist ideas of artistic progress within nation-state building through mobilizing artists and intellectuals into the policy arena. Previous studies of cultural policies have adopted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at interpret the change of the MMCA as a linear democratic process whereby the oppressive control of art weakens, and the universalist promotion of art strengthens. However, we argue that the latter had a central role in the modernist project of nation-building by the authoritarian state and provided an ideologic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MCA even after democratization. Therefore, despite the regime changes and diversification of exhibitions and management, the MMCA has stayed as an influential and long-standing anchorage that has sustained the state’s strong influence in the world of Korean visual art.

      • KCI등재

        문화매개자 개념으로 바라본 문학 작가의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

        심보선(Shim, Bo-Se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58

        현대의 문학 작가는 전통적 저자 이미지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문학의 산업적, 제도적 환경에서 다양한 활동에 종사하며 자신의 커리어를 유지하고 문학적 가치를 창출한다. 예술 기업가정신은 문학 작가를 창의적 지식과 기술을 커리어 관리에 적용하여 문학적이고 경제적인 차원 모두에서 최적의 보상을 기하는 주체로 파악한다. 반면 창의 노동 개념은 문학 작가들이 일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커리어 불안정성에 시달린다고 파악한다. 본 논문은 두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학 작가를 다양한 관계적 맥락에서 새로운 문학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매개자로 정의한다. 나아가 이들이 수행하는 여러 문화매개 실천의 구조와 성격을 개괄적으로 분석하여 작가들이 추구하는 문학적 가치의 자율성과 기업가-노동자의 지위가 문화매개 실천이 이루어지는 조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성됨을 밝힌다. 이러한분석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문학적 자율성이 위협받는 환경적 변화에도 불구하고문학 작가들은 다양한 실천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면서 문화매개자로서 변모하고 있다고 파악한다. 나아가 문학 작가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자기경영기술뿐만 아니라 문학 생산과 유통의 구조적 변화에서 기인하는 제약을 극복할 수있는 집합적 역량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예술경영은 예술을 둘러싼 구조적 환경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의 통찰과 접목함으로써, 문학 작가들이 수행하는창조적 도전을 성찰하고 지원할 것을 제안한다. Contemporary literary writers engage in multiple jobs and activities in the changing industri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to manage careers and produce literary value. The notion of art entrepreneurship envisages writers as the actors pursuing optimal rewards at both literary and economic levels by applying creative knowledge and skills to the management of career. In contrast, the notion of creative labor argues that writers go through career insecurity as they pursue self-fulfillment through work.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wo notions and suggests the notion of cultural intermediarie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roduction of literary value within the variety of relational contexts where they are situated.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a wide range of intermediary practices by literary writers. Based on the analysis, I argue that the autonomy of literary value the writers construct and their status of entrepreneur-labourer are contingent upon the relational contexts within which they practice the intermediary work. I also suggest that literary writers by utilizing a variety of tactics cope with the changes that shape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invent new roles and identities as cultural intermediaries. Furthermore, literary writers develop not only self-management skills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but also the collective capacity to cope with the constraints derived from the structural change of literary production and circulation. Finally, I argue that the art management discipline can reflect upon and support the creative endeavors of literary writers by embracing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structural changes suggested by the disciplin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

        심보선 ( Bo Seon Sh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2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는 이주노동자 정책을 살펴보면서 정책 형성과 변화의 인과적 기제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을 "이주노동자를 합리적인 계약이나 정치적 인정의 평등적 관계 대신에 보호의 대상으로 취급하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온정주의적(paternalist) 정책``으로 정의한다. 본 논문은 정책 영역(policy domain)과 정책 패러다임(policy paradigm)에 의해 정책이 형성된다는 이론적 견지에서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검토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인정의 정치(politics of recognition)에 기반 한 다문화 정책이 국가와 사회집단 간의 인종·종족 동학을 통해 도출되는 인종·종족 기획이라고 보고 이를 정책 형성의 이론과 결합시켜 한국의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자 정책의 기제를 분석한다. 1990년대 이주노동자 정책의 개선 과정에서 이주노동자 운동의 조직화가 이루어졌고 이들 중 일부는 인권과 노동권을 넘어서 소수자 집단으로서의 고유한 정체성과 권리를 요구하는 인정의 정치를 표방하였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정부가 본격적인 이주노동자 정책을 실행해갈 때 이주노동자의 자결조직이 표방한 인정의 정치는 정책 영역과 정책 패러다임에서 배제됐다. 정부는 이전까지의 정책 영역에서 안정적 관계를 구축한 지원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관용``의 패러다임에 기반한 교육, 선교, 가족, 공동체 지원 중심의 복지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온정주의적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으로 귀결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usal mechanism of policy formation in the case of immigrant policy, especially, migrant worker`s policy in Korea since 1990s. This paper defines the migrant worker policy as ``paternalist``, that is, a policy that treats migrant workers as the object of caring that evades relationship based on rational contract or political equality. In order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paternalist migrant worker policy, this paper utilizes the theory of policy formation that employs the policy domain and the policy paradigm as main causal factors. Especially, this paper sees that the multiculturalist policy based on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s produced through racial/ethnic dynamics taking pla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racial/ethnic groups. By combining this perspective with the analysis of migrant worker policy formation in Korea,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aternalist policy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closed partner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service organizations and the employment of "tolerance" paradigm as a policy guideline which emphasizes service programs such as language education, family, missionary work, and community support. This policy orientation excludes from the policy domain the migrant workers` groups and their logic of politics of recognition which emphasizes their collective identity and social rights as a minority group.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사회학적 견지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경영의 시론적 고찰

        심보선(Shim Bo-Seon),강윤주(Kang Yunju),전수환(Jeon Suhw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0 문화와 사회 Vol.8 No.-

        본 논문에서 우리는 문화사회학적 견지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경영에 대한 시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문화예술경영을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적 삶의 구성이라는 견지에서 파악하고 이를 ‘문화예술을 위한 경영’, ‘문화예술을 통한 경영’, ‘문화예술적 경영’의 세 가지 이념형으로 분류하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세 가지 유형 중, ‘문화예술적 경영’을 현대사회의 문화예술경영이 지향해야 할 유형인 ‘삶의 문화예술경영’이라는 견지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우리는 그것의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시민성, 지역성, 예술성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동시에 경험적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우리가 살펴보는 문화예술은 전문 예술 활동과도 구별되고 동시에 개인적이고 사적인 향유 활동으로서의 예술과도 구별되면서 공공적 성격을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약을 하자면 첫째, 시민성의 사례에서는 여가활동으로 여겨졌던 아마추어 예술 활동이 상호 연결되고 정책적 고려 대상이 됨으로써 그에 참여하는 이들이 공적이고 정치적인 주체로 전환함을 알 수 있었고, 둘째, 지역성의 사례에서는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양상으로 지역 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이 이루어지면서 고유한 지역문화와 정체성이 창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예술성의 사례에서는 비공식 예술을 육성하고 가시화함으로써 감성적 공동체가 구성되고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 인정 및 소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향후 이 세 가지 요소의 종합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경험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삶의 문화예술경영’이라는 개념을 보다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art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By defining the art management as the construction of social life through art, we distinguishes three ideal types of art management, that is, ‘Management for Culture & Arts’, ‘Management through Culture & Arts’, and ‘Cultural & Artistic Management’. Among these ideal types, we will investigate ‘Cultural & Artistic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 Artistic Management of Life’, which we treat as the proper model for the contemporary art management. We, then, explain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 Artistic Management of Life’ through the concepts of ‘citizenship’, ‘locality’, and ‘artistic value’.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are analyzed through these concepts are distinct from both the professional artistic activities and the private art consumptions, yet, are equipped with public characters. First, within the concept of ‘citizenship’, the amateur arts activities, which were treated as the object of leisure, are networked and advocated publicly and thus empower the participants as public and political subjects. Secondly, within the concept of ‘locality’, the local residents’ voluntary collaborations create unique local cultures and identities. Thirdly, within the case of ‘artistic value’, emotional communities based on mutu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are formed by making the informal arts visible and supporting them. We will endeavor to develop the notion of ‘Cultural & Artistic Management of Life’ by synthesizing the concepts of ‘citizenship’, ‘locality’, and ‘artistic value’ on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levels.

      • KCI등재

        예술 동호회의 정치: 사적이면서 동시에 공적인 주체화의 무대

        심보선 ( Bo Seon Sh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4 No.-

        The art clubs as voluntary associations have been negatively recog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given that they were seen as private activities. According to Arendt, the pursuit of petit bonheur is the evidence of the domination of the labor society and, accordingly, the increasing desire of escaping the pain of labor. In other words, the art clubs can been seen as artistic activities diminished to hobbies which proves the destruction of the public under the pressure of labor activities. However, this definition of art clubs as the remainder of labor activities neglects the qualitative and relational aspect inherent within the time where art club activities are produced. Robert Putnam argues that the art club activities can prompt social capital and civic engagement functioning as a school of democracy. This grasps sociologically the political and public connotation inherent in the art club activities, which look private on the surface. However, this perspective, seeing the political as ex post facto effect of the social, sets aside the unique aspect of the artistic in 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political subjects and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potency of the art clubs by investigating a few cases drawing on the argument of the aesthetics by Jacques Ranciere. This paper looks at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artistic, that is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cultural capital that strengthens the distinction and hierarchy and the operation of the playful nature that abolishing the distinction and hierarchy. Within this contradiction, the art clubs, if private, can activate the politics that superimpose the autonomous space, emancipatory sense, and equal relations onto the dominant order of the society. The politics and the public that the art clubs construct are not based on the rationality and morality. Rather, they stage free play against the law and norms of the social bodies. However, this does not simply mean that the politics of art clubs is not automatically ensured in the all activities of art club. The politics of art clubs reveal its potency as the will and capability of political subjectification, which always compete against another potency that hampers and destroys the play and that inculcates artistic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n the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