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초기 문인의 차생활 정취에 관한 연구

        신혜현(Hye-Hyun Shin),조희선(Hee-Sun Cho) 한국차학회 2015 한국차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ood of tea life focused on the tea poetry of literati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analyzed to 321 tea poetry of forty literat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 lif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n subdivided the key elements of tea poetry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ose poetr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mood of tea life provides emotional healing, artistic impression and communion with nature. Tea life led literat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rain their human nature and maintain an elegant and austere life.

      • KCI등재

        Black Raspberry 침출액의 Anthocyanin 및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능

        이보경(Bo-Kyung Lee),신혜현(Hye-Hyun Shin),정지현(Ji-Hyun Jung),황금택(Keum Taek Hwang),이연숙(Yeon-Sook Lee),김태영(Tae-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2

        Black raspberry 과실을 원형으로 사용하거나, 손으로 으깨거나, 녹즙기로 갈아서 20%, 40%, 60%, 80% ethanol에 담가(용액 900 mL 당 과실 125 g) 30, 60, 90일 동안 침출한 후 각 침출액에 대한 monomeric anthocyanin 함량, polyphenol 함량, DPPH와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과실의 형태와 상관없이 20% ethanol을 사용하여 침출한 경우에 monomeric anthocyanin 함량과 polyphenol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monomeric anthocyanin 함량과 polyphenol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 DPPH와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20% ethanol에서 침출한 경우에 비교적 높아 항산화능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black raspberry 침출 시 20% ethanol을 제외한 용매를 사용하고 과실은 으깨거나 마쇄할 필요 없이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black raspberry의 가공 시 침출기간도 중요한 고려사항인 것으로 생각된다. Intact black raspberry fruits, which were crushed by hand or ground using a blender, were immersed in 20%, 40%, 60%, and 80% ethanol (125 g fruits per 900 mL ethanol) and exuded for 30, 60, and 90 days at room temperature. Monomeric anthocyanin contents (MAC) and polyphenol contents (PHC) of the exudates were determined measuring absorbance using a spectrophotometer.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50%; SC??) were determined fo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udates. Twenty % ethanol exudates from black raspberry had significantly lower MAC and PHC regardless of the fruit types. SC?? were higher in 20% ethanol exudates, suggesting 20% ethanol exudates from black raspberry had lower antioxidant activities. MAC and PHC of the black raspberry exudates decreased with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MAC and PHC in the black raspberry could be exuded more efficiently using 40% or higher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that crushing and grinding little affect exuding MAC and PHC. The exudates with higher MAC and PHC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

        씨앗의 혼입이 Black Raspberry 발효주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보경(Bo-Kyung Lee),신혜현(Hye-Hyun Shin),정지현(Ji-Hyun Jung),황금택(Keum Taek Hwang),김태영(Tae-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Black raspberry의 씨앗을 즙에 포함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씨앗을 활용한 새로운 과일주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pH는 발효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완료 시점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산도는 발효초기에 증가하여 완료시점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pH와 산도 모두 제조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당함량은 감소하고 알코올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제조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L<SUP>*</SUP>, a<SUP>*</SUP>, b<SUP>*</SUP> 값은 12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으며, 씨앗을 포함하여 발효한 것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진 않았다. Monomeric anthocyanin과 polyphenol 함량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onomeric anthocyanin 함량은 제조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polyphenol 함량은 유의적이진 않지만 씨앗을 포함하여 발효시킨 것이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성분 중에는 알코올 성분들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제조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에 대한 기호도와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 두 발효주 간의 차이는 없었다. 씨앗을 포함한 black raspberry 발효주가 과즙액만을 이용한 발효주에 비하여 polyphenol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과 함께 발효에 따른 화학적 특성이 처리구간에 유사하였다. 따라서 씨앗을 발효 재료로 혼입하여 사용할 때 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씨앗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lack raspberry was fermented with or without seeds.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uring wine fermentation. pH of black raspberry wine de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the fermentation and thereafter increased. Total acidity increased until the 4th day of fermentation with little change afterwards. Both pH and acidity were not affected by the blending of the seeds. Sugar concentration decreased and alcohol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and they were not influenced by the blending of the seeds. L<SUP>*</SUP>, a<SUP>*</SUP>, and b<SUP>*</SUP> values of black raspberry wines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12th day of the fermentation and decreased or little changed thereafter. L<SUP>*</SUP>, a<SUP>*</SUP>, and b<SUP>*</SUP> values of black raspberry wines made from the fruits with seeds (BRSW) were lower than those of black raspberry wines without seeds (BRW) with no significance. Monomeric anthocyanin (MA) and polyphenol contents (PC)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MA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blending of the seeds. PC in BRSW were higher than those in BRW with no significance. Alcohols were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alcohol compositions in the two wine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sensory characteristics. Similarity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RSW and BRW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black raspberry wine with seeds blended is possible.

      • KCI등재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 침출액의 항산화 효과

        이새롬(Sae-Rom Lee),신혜현(Hye-Hyun Shin),황금택(Keum Taek Hwang),정석태(Seok Tae Jeong),김태영(Tae-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5

        전통 향약술의 하나인 감홍로주의 효능을 좀 더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감홍로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침출액들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 함량 45%, 60%의 정제주정(PE), 45% 재래식 증류주정(TDE)을 이용하여 주정 1000 ㎖에 계피, 방풍, 정향, 생강, 자초, 감초, 진피, 용안육을 각각 2.5 g씩 혼합하여 넣고 침출하였다. 알코올 함량 60%의 PE에 재료를 20 g씩 따로 넣고 침출하였다. 상온에서 90일 동안 침출하면서 30일마다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폴리페놀 함량 및 ABTS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가지 재료의 혼합 침출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5%와 60% PE에서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가지 재료를 각각 따로 침출하여 만든 침출액 중에서는 정향 침출액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폴리페놀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IC50 값은 45%와 60% PE와 45% TDE 침출액에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 유의적으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침출 조건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침출 기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가지 재료 침출액 중 ABTS IC50 값은 정향, 계피, 생강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DPPH IC50 값은 정향, 계피, 감초 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생강 침출액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낮았으나, ABTS와 DPPH 실험에서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폴리페놀 물질 이외에도 항산화능에 관여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을 통해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중 정향과 계피가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재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amhongro-ju is a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made from medicinal herbs and spices. In this study,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mhongro-ju and the 8 individual herb extracts used to make the beverage were determined. Cinnamon, saposhnikovia root, clove, ginger, violet-root cromwell, licorice, citrus peel and logan (2.5 g each) were extracted with 1000 ㎖ of 45% and 60% purified ethanol (PE), and 45% traditionally distilled ethanol (TDE). The individual herb (20 g each) was extracted with 1000 ㎖ of 60% PE. Polyphenol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measured. In the combined herb extracts, polypheno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5% and 60% PE extracted for 90 days than those for 30 days. In the 8 individual herb extracts, the clove extract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2421~2446 ㎎/ℓ). ABTS IC50 values of the combined herb extracts were lower in the 60% PE and 45% TDE extracted for 90 days than those for 30 days. In the 8 individual herb extracts, the clove and cinnamon had the lowest ABTS and DPPH IC50 values. In the individual extracts, ginger had the lowest polyphenol content; however, it was the third in the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