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 성별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조절효과

        신혜진(Shin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남 지역 4년제 대학에서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34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을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대안을 제외한 모든 연구변인에서 성차가 나타나 불안,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 및 내․외속박감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인지통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 요인 중 인지 통제는 남학생의 불안 및 우울, 여학생의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대안은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또한, 내ㆍ외속박감 모두 남학생과 여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학생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통제가 부적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통제가 부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넷째, 속박감의 조절효과는 남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학생 집단에서만 나타났는데, 지각된 스트레스가 블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외적속박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내적속박감이 각각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스트레스를 지각한 대학생의 불안 및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해, 성별 뿐 아니라 인지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하위유형을 모두 고려한 차별적인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type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as well as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s are also investigated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345 college students(male 166, female 179).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test results confirmed gender differences in all the study variables, except for cognitive alternatives. To be specific,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perceived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al/external entrapmen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contra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cognitive control, compared to female students. Second, cognitive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le students’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on female students’ depression. Conversely, cognitive alternatives had significant influence neither on anxiety nor on depression. In additi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entrap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depression regardless of gender. Third, gender difference existed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type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ntrapment. For male students, cognitive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For female participants, cognitive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Fourth, internal entrap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whereas, external entrap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among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신혜진(Shin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호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 울 소재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하고 있는 22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SPSS 23.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당한세상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우울증은 낮아졌으며,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높아질수록 우울증도 낮아졌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낙관성 및 인지적 유연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우울에 대한 상담 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수준에 대한 탐색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고 나아가,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촉진을 통한 우울의 예방 및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A total of 227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liefs in a just world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whereas, was positively related to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 each other. Second, both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this indicated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stronger beliefs in a just world would have higher levels of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which, in turn would decrease the levels of depression. Third, du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where beliefs in a just world affected students’ optimism positively, which, subsequently had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lexibility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depression.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그릿(grit)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신혜진(HaeJin Shin)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2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8, 중1패널 자료 중,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서 수집된 3 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청소년의 그릿(grit)이 주의집중력 부족과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비행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의집중력 부족과 공격성은 각각 청소년 그릿과 사이버비행의 관계를 각각 부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청소년의 그릿이 주의집중력 부족 문제를 완화시키고 향상된 주의집중력이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이버비행의 경험률도 낮출 수 있다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그 빈도나 심각성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견되는 청소년 사이버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그릿(grit) 역량을 증진시킴으로써 주의집중력 부족을 완화시키고 아울러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 grit, attention deficits,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The author analyzed the third wave data (9th grades) from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 (KCYPS) 2018, using process macro program of multiple mediation modeling.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ention defici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grit and cyber delinquency. Second, aggression also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grit and cyber delinquency. Lastly, both attention deficit and aggression subseque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yber delinquency. To be specific,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s of grit predict lower levels of attention deficit and subsequently predict lower levels of aggression, leading to decrease in cyber delinquency. In other words,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s of grit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attention deficit and aggression, and thus, are protective of consequent cyber delinquency. In contrast, adolescents with lower levels of grit are more likely to follow the vicious path, where attention deficit aggravates into aggression and eventually intensifies cyber delinquenc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통찰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현주(Choi, Hyun-Ju),신혜진(Shin,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을 통한 진로통찰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개 대학의 교양 및 전공기초 과목을 수강하는 여자 대학생 27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version 2.15)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통찰력은 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은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통찰력 간의 관계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을 통한 진로통찰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진로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통찰력이 낮아지고 진로준비행동 수준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areer insigh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career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insight. Using SPSS Macro,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270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insight mediated the perceived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career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insigh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resilience, great career stress significantly weakened career insight, which was not the case of those with lower levels of career resilience. Third, the interaction of career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had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career insight, which indicat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insight through career resilience.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ounseling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과 사회적 위축감을 매개로 비행피해에 미치는 영향

        최현주(Choi, Hyunju),신혜진(Shin, Hae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긍정적 양육태도와 비행피해 경험의 관계를 우울과 사회적 위축이라는 심리적 특성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조사(KCYPS)의 중1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시간차를 두어 중1 시점의 부모 양육태도가 중 2시점의 심리적 특성을 매개로 중3 시점의 비행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중학생이 1학년 시점에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긍정적 양육태도 변인 모두 2학년 시점의 우울과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위축과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중2 시점의 우울은 중3 시점의 비행피해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사회적 위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는 비행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 수준은 다시 사회적 위축감을 증대시켜 후속적으로 비행피해를 경험할 위험이 높아지는 이중매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 및 실무 측면에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 victimization. The sample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data of 2,351 adolescents from the 7th to 9th grade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the authors examined how adolescent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period of the 8th grad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n the 7th grade and victimization in the 9th grade. The results confirmed a dual mediating model. That i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n the 7th grade predict increases in depression in the 8th grade, which subsequently increases adolescent social withdrawal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risk of victimization. More specifically,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had no direct effect on victimization and both negativ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 the 7th grad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depression in the 9th grade, in contrast to social withdrawal. Additionally, social withdrawal in the 8th grade significantly impacted on victimization in the 9th grade, which was not seen in the case of depression. Lastly, depression predicted increases in social withdrawal.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