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梁琴新譜』의 사료적 가치

        신현남(Hyoun-nam Shi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국악교육 Vol.29 No.29

        『梁琴新譜』는 1610년에 梁德壽가 편찬한 거문고보이다. 奎章閣 所藏圖書로서 『한국음악자료총서』 권14에 영인 되었다. 악사 양덕수는 琵琶로 당대에 이름을 떨치었으나, 그 所長은 거문고였다. 임진왜란에 罷散되어 남원으로 내려가 寓居하며 사람을 만나지 않고, 거문고에 전념하였다. 『梁琴新譜』는 현행 가곡의 原流로 볼 수 있는 ‘만대엽ㆍ중대엽’과 그리고 ‘북전ㆍ조음ㆍ감군은’이 실려있다. 양덕수는 선조 이전부터 전해오던 이러한 곡들을 집대성한 것이다. 이 중에서 ‘만대엽’과 ‘감군은’은 『琴合字譜』에도 실려있지만 ‘중대엽’은 『梁琴新譜』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더욱이 평조 평조ㆍ우조 평조ㆍ평조 계면조ㆍ우조 계면조의 네 가지 조가 갖추어져 있어서 주목받아 왔다. 또한, 蕭宗 이후에 속하는 『연세대 도서관소장 금보』나 『李家源 소장 금보』 등이 『梁琴新譜』를 그대로 전한 점으로도 이 책이 얼마나 소중한 악보인가 하는 점을 알 수 있다. 純祖때 徐有?가 엮은 『遊藝志』가 현행 음악에 더 가까와 귀중하듯이 『梁琴新譜』는 『時用劉樂譜』ㆍ『琴合字譜』ㆍ『大樂後譜』와 숙종이후의 『玄琴新證假令』ㆍ『玄琴東文類記』ㆍ『白雲庵琴譜』ㆍ『新作琴譜』등의 고악보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점에서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Yanggeumsinbo is a Geomungo score that was compiled and edited by Yang, Deok Su. It is photoprinted in the 14 volume series of the Korean Music Collection kept in the Kyujanggak Institute. Yang, Deok Su was a distinguished musician of the day and his major was Geomungo. After Imjinwaeran he retired to Namwon, a small town in the countryside and secluded himself from people and was devoted entirely to his major. Yanggeumsinbo contains Mandaeyeop, Jungdaeyeop, Bukjeon, Joeum, and Gamguneun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roots of the current style of gagok. Yang Deok Su edited those songs that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 era before Seonjo. Of the above songs, Mandaeyeop and Gamguneun appear in Geumhapjabo before Yanggeumsinbo was written but Jungdaeyeop is the oldest recorded version of that song in history and includes all of the following four tunes: Pyeungjo Pyeungjo, Woojo Pyeungjo, Pyeungjo Gyemyeonjo, and Woojo Gyemyeonjo. Yanggeumsinbo by Yang, Deok Su exists in two different Geumbos. One is part of the Yonsei Library music collection and the other is in the possession of Lee, Ga Won. While Yuyeji compiled by Seoyugu from the age of Sunjo has a reputation for being similar to current music, Yanggeumsinbo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precious historical record of music that was made after Siyonghangakbo, Geumhapjabo, and Daeakhubo. It is notable because it was also compiled later than such as Hyeongeumsindeungbokryeung, Hyeongeumdongmunryugi and Baekunamgeumbo and Sinjakgeumbo after Sukjong.

      • 「韓琴新譜」의 步虛子 本還入 硏究

        신현남(Shin Hyoun-Nam)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이 글은 이전의 古樂譜에는 없던 步虛子 本還入(속칭 밋도드리)이란 악곡이 「韓琴新譜」에 기재되어 있어서, 그 원곡인 步虛子 羽調八篇은 한 장단 10박자 음악인데, 새로 등장한 이 步虛子 本還入은 한 장단 몇 박자의 음악인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韓琴新譜」의 步虛子 本還入은 步虛子 羽調八篇과는 달리 한 장단 6박자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한 刻의 출현음 數에 주목하였는데, 步虛子 羽調八篇은 여덟 음이나 또는 일곱 음이 출현하는 刻이 다수 있는데 비하여 步虛子 本還入은 최고 한 刻에 여섯 음까지 출현하고, 또 이렇게 여섯 음이 출현하는 각이 대부분이었다. 이렇게 步虛子 本還入의 한 刻에 출현하는 음 수가 步虛子 羽調八篇과 다른 것으로 보아, 두 곡의 한 장단 時價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步虛子 本還入은 그 여섯의 출현음 수에 따라 6박자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여기서 한 刻에 여섯 음이 출현할 때 나타나는 ‘스렝’이라는 文絃奏法이 문제시되나, 이는 「韓琴新譜」合字解에 ‘스렝’은 文絃과 누르고 있는 絃을 時差없이 한 음으로 奏하고, ‘덩스렝’은 文絃과 누르고 있는 絃을 時差를 두고 奏해야 하는 것임이 기록되어 있어서 그 문제가 해결된다. 즉, 「韓琴新譜」合字解에 의하면, ‘스렝’을 한 박에 주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步虛子 本還入처럼 한 刻 에 여섯 음이 출현하고, 그 한 음 또는 두 음에 ‘스렝’이 표기되어 있어도 그 여섯 음을 6박에 주할 수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그리고 步虛子 羽調八篇 엥서 文絃奏法 ‘스렝’이나 ‘덩스렝’이 「韓琴新譜」내으 느린악곡들-靈山會相이나 羽調 數大葉같은-에서와 같이 흔히 ‘스렝 덩스렝’으로 함께 출현하는데, 步虛子 本還入에서는 이 ‘스렝 덩스렝’이 한 번도 출현하지 않을분만 아니라 ‘덩스렝’ 독자적으로라도 한 번도 출현하지 않는다. 이것으로 步虛子 本還入은 步虛子 羽調八篇의 ‘스렝 덩스렝’중에서 ‘슬엥’에서 두 박을 취한다. 또, ‘덩스렝’에서 文絃音 ‘덩’은 반드시 생략하고 나머지 음에서 한 박을 취해서 예외없이 ‘스렝 딩’의 세 박으로 變奏되는 예로 보아서 步虛子 本還入은 步虛子 羽調八篇과 같이 한 장단이 10박자가 아니라 그보다 적은 한 장단 6박자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입증해주고 있다. 둘째, 「韓琴新譜」 步虛子 本還入이 한 장단 6박자이긴하나, 현행 밑도드리와 같은 한 장단 4분의 6박자로 밝혀진 「漁隱譜」本還入과는 다른 6박자임을 알게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文絃奏法의 차이에서 드러나게 되는데 즉, 「韓琴新譜」步虛子 본환입의 한 刻에 여섯 음이 출현하고 그 한 음에 ‘스렝’이 붙은 제 5각과 같은 경우, ‘스렝(大五) 동(仝) 당(大四)ㆍ동(大五) 다(方四) 로(大六)’ 과 같은 선율이 「漁隱譜」本還入에서는 ‘스(大五)ㆍ동(仝) 다(方四) 로(大六)’로 변하였다. 즉, 「韓琴新譜」本還入에서는 文絃에서 大絃에 이르는 奏法 ‘스렝’의 時價가 한 박자로 한 장단의 6분의 1을 차지하여 한 단위박이 되었고, 「漁隱譜」本還入에서는 같은 文絃奏法인데 그 時價가 3박자로 전체의 2분의 1을 차지하여 한 리듬박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韓琴新譜」步虛子 本還入은 「漁隱譜」의 本還入보다 느린 곡임이 확실하고, 결국, 「韓琴新譜」本還入 한 장단 4분의 6박자인 「漁隱譜」의 本還入보다는 느린 6박자, 즉 한 장단 2분의 6박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셋째, 이와 같이 「韓琴新譜」步虛子 本還入의 박자를 새롭데 해석함으로써, 唐樂의 하나이면서 한 장단 10박인 보허자가 18세기 초반에 편찬된 「韓琴新譜」의 步虛子 本還入에서 느린 6박으로 변주되었고, 다시 18세기 후반에 편찬된 「漁隱譜」本還入에 이르러서는 빠른 6박으로 변주되어서 현행에 이르는 역사적인 변천과정이 밝혀진 것이다. Bohuhja Bonhwanip 步虛子 本還入 also called Mitdoduri (misical piece), which was not found the old notations, but has recently appeared in the Hankumshinbo 『韓琴新譜』. Its original piece is believed to be Bohuhja Woojopalpyon 步虛子 羽調八篇 composed of deca-meter in each rhythmic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any meters there are in each rhythmic cycle of the Bohuhja Bonhwan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omparing the meters of Bohuhja Woojopalpyon, it is revealed that Bohuhja Bonhwanip consists of a sextuple meter in each rhythmic cycle. By placing great emphasis on the number of notes shown in each line, it can be illustrated that many lines of Bohuhja Woojopalpyon have 7 or 8 notes, while those of Bohuhja Bonhwanip mostly have no more than 6 notes. Thus the two pieces are different in the time value of each rhythmic cycle and Bohuhja Bonhwanip can be explained as a sextuple piece because 6 notes are seen in each line. in this case 'Su Reng' played in a style of Moon hyon(string) may deviate from its sextuple principle. But according to Hankumshinbo Hapjahae, ‘Su Reng’ can be played as one beat without the time interval between Moon hyon and the pressed hyon. In spite of ‘Su Reng’ tone of one or two notes, 6 notes in each line of Bohuhja Bonhwanip can be played as six beats. Though in Bohuhja Woojopalpyon ‘Su Reng’ or ‘Dong Su Reng’ played in a style of Moon hyon is shown in the conjunction of ‘Su Reng Dong Su Reng’ like in the slow-rhythmed pieces of Hankumshinbo viz. Yongsan hoesang and Wooho Sudaeyop, ‘Su RengDong Su Reng’ or ‘Dong Su Reng’ is never found in Bohuhja Bonhwanip. It is also established that Bohuhja Bonhwanip is faster than Bohuhja Woojopalpyon in rhythm. The only Moon Hyon ‘Su Reng’ in Bohuhja Bonhwanip is varied into triple meter ‘Su Reng Ding’ which has two beats from ‘Su Reng’ and one beat from the rest except Moon hyon ‘dong’ out of ‘Dong Su Reng’, in ‘Su Reng Dong Su Reng’ of Bohuhja Woojopalpyon. Judging from the above, it is confirmed that Bohuhja Bonhwanip is in the form of a sextuple meter in each rhythmic cycle different from Bohuhja Woojopalpyon. Second, it is also found that the sextuple meter of Bohuhja Bonhwanip in Hankumshinbo manuscript is different from that of Bonhwanip in Uheunbo. 「漁隱譜」 which consists of 6/4 meter like the present Mitdoduri. For example, the melodies of ‘Su Reng Dong Dang Dong Da Ro’ in Bohuhja Bonhwanip are varied into those of ‘Su Dung Da Ro’ in Bonhwanip of Uheunbo manuscript. In other words, ‘Su Reng’ in Bonhwanip of Hankumshinbo valued as one beat becomes a metrical pulse and that in Bohwanip o Uheunbo valued as three beats becomes a rhythmic puls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1/6 and ½ of a rhythmic cycle. As the result, Bonhwanip of Hankumshinbo is composed of 6/2 meter slower than 6/4 meter Bonhwanip of Uheunbo. Third, by scrutinizing the meter in Bohuhja Bonhwanip of Hankumshinbo, it is apparent that in the historical change the deca-meter of Bohuhja, one of Dangak 唐樂, was varied into slow sextuple meter in Bohuhja Bonhwanip of Hankumshinbo 「韓琴新譜」 recorded in the early 18th cetury and into fast sextuple meter in Bonhwanip of Uheunbo 「漁隱譜」 published in the late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