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기행문을 통해 본 식민지적 공간생산

        신진숙(Shin Jins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4 No.-

        본고는 193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나타난 동해기행문을 주요 텍스트로 하여 텍스트에서 표상된 동해라는 공간의 생산 구조를 분석하였다. 동해가 식민지 공간이 식민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지배되는 수동적인 공간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주목하였다. 식민지적 공간 생산은 식민권력과 식민지주민의 상호침투적인 공간 표상과 실천의 작용이었다. 이는 식민지공간에 대하여 식민지적 무의식을 표상하고 실천하는 적극적인 식민지 주체성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고는 동해기행문의 서사주체의 독특한 위치성에 대하여도 주목하였다. 서사주체는 식민지 공간생산에 대한 비판적 자리를 점유하며, 실제적인 제도적 공간 표상을 넘어서는 '표상적 공간'의 층위를 만들어낸다. 특히 동해의 공간생산은 근대적 민족-국가 담론과 절합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This article is for 'essays of East-Sea travels' which describes the production of the space in the colony in 1930s. Essays of East-Sea travels were appeared as some examples showing that the politics of cultural space in colonial space were structured by double layers. The colonial policies produced the representation of space mediated by tourist resort declared by Japanese empire. This colonial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herence and hierarchy. On this, the tourist strategy of Japan was appeared which tried to abstract the colonial space as the space of consumption. But narrative of travelling East-Sea had the representation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showed the unique spatial practice that was contradict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space of Japan empire. Essay of East-Sea travels represented the unconsciousness of the colonial natives. Then essays were re-territorialized the mythology of pre-modern East-Sea on the context of the modern nation-state. The narratives of East-Sea was articulated with the nation-state discourses. There was a dialectical interaction, one was imperial representation of colonial space, the other was the spatial practice of the colonial natives and the last was the representational space of the subject of travel narrative. Therefore essay of East-Sea can provide us with som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ast-Sea symbol.

      • KCI등재

        환경 저항 서사와 정동적 생태학

        신진숙(Jinsook Shi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1

        이 논문은 4대강 사업이 정치경제적, 환경적 사건일 뿐만 아니라, 감정사회학적 측면에서, 재현될 수 없는 정동(affect)들이 생성된 정동적 사건이라는 점에서 출발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시행한 이른바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한반도 국토의 변형과 파괴를 초래한 미증유의 국책사업이다. 발전주의적 국가관이 건축 환경에 재현되는 근대 토건국가의 이념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받았다. 4대강 사업초기부터 시민단체와 환경운동단체들은 개발과 보존이라는 프레임 속에서 전문화된 환경 지식들을 근거로 시위와 같은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대항했다. 다큐와 르포르타주, 문학 작품 활동 등 문화적 저항운동도 존재했다. 하지만 당시 환경시민운동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미흡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환경 문제를 중심으로 한 감정 공동체의 구성과정에서 찾고, 4대강 주변에 포진했던 사람들(농민, 어부, 주민, 노동자 등)의 실재 정동(affect)과 환경저항서사가 접합되는 부분에 주목했다. 특히 환경 저항 담론 속에서 이질적인 느낌으로 미끄러지는 정동들을 사라 아메드가 말한 ‘정동적 소외’로 명명하고, 그것의 배경을 장소, 노동, 그리고 자연(비인간)으로부터의 소외라는 세 층위에서 분석했다. 이러한 정동의 소외는 환경 저항 서사가 구축하는 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진정성 구조와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구체적인 논의는 다큐와 문학 등의 심미적 문화재현에서 두드러지는 정동적 생태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는 환동해(동아시아)지역의 환경프레임을 이해하는 토대로서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space and politics in 2000’s narratives of environmental resistance to the Four-River Project. It brings together cultural politics, the sociology of emotions, and geographies to deeply write about an affective ecology and to rethink the interrelation between affect and signs.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motional community with respect to the Four-river Environmental Narratives of Resistance (FENR),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ffect aliens, said by Sara Ahmed, that mean uncertain feelings dislocated from an affective coincidence in FENR. It explains why FENR have a difficulty to articulate with the actual affect of people who lived around the four major fivers. In the same vein, given that they are consisted of old peoples, farmers, fishers, and labors, this paper highlights the different and contradictory trajectories of producing those affect.

      • KCI등재

        사드저항운동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공공성의 문화적 구성

        신진숙 ( Ji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공공성이 국가 공공성에서 생활 공공성으로 변하고 있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생태주의적 관계를 중시하는 생태민주 공공성의 구성 과정에 초점을 맞춰 논의했다. 특히, 본 논문은 문화사회학이라는 접근 방법을 기반으로 공공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문화적 재현과 그것이 구성되는 재현의 정치가 무엇인지 고찰했다. 본 논문은 경상북도 성주에서 발생한 사드 배치 저항 운동을 소재로 한 최근 다큐멘터리 영화 두 편을 사례로 이러한 내용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현대 문화 대중 사이에서 환경과 안보를 바라보는 시선이 국가적 공공성에서 생활 공공성으로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자녀가 있는 여성과 노인이 행위자로 주체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대안적 민주적 공공성 찾기의 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issue of eco-democratic publicness, which values ec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mid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publicness is changing from national publicness to life publicness in Korean societies.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ed cultural representations of publicness and its politics based on an socio-cultural approach. This paper analyzed two recent documentary films based on the movement against THAAD deployment in Seongju, Gyeongsangbukdo as examples. Through this, the authoritarian publicness was dismantled and a new micro-publicity emerged in Korean society. This is also related to women and the elderly becoming actors. In conclusion, this change is significant in seeking new alternative democratic publicness.

      • KCI등재

        도시 글쓰기를 통해 본 강남의 정동(情動)적 경관과 아상블라주

        신진숙(JinSook Shi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2

        이 논문은 정동적 도시론 관점에서 강남의 도시경관과 여기에서 구성되고 있는 아상블라주가 무엇인지 도시 글쓰기(기록)를 통해 고찰했다. 강남을 이해하는 주류의 시각인 강남/비강남이라는 이분법적 재현에서 벗어나 정동을 통해 도시적 삶을 다시 이해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정동과 얽힌 도시 글쓰기를 하나의 연구방법으로활용함으로써 실제 도시의 모습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구체적인 분석내용은 아상블라주로서의 강남 메타포가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중산층 사회의 사교육시장을 만드는 불안-교육의 조합, 불안정성 사회의 부동산-집의조합, 아파트 키즈의 출현과 고향-나무-기억의 정동적­생태적 조합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통해 강남 메타포와 매개되면서 동시에 그것에 균열을 내는 이질적인 힘들을 재사유했다. 분석 자료는 문학, 다큐멘터리, 온/오프라인도시기록운동 등 다양한 도시 글쓰기 수행 작업을 포함했다. 결론에서는 현재 도시를 만드는 정동적 아상블라주가 어떤 공간 정치를 만들 수 있는지 검토했다 In terms of an affective urbanism, this article shows what affective critical writings are composed around the city of Gangnam and what is newly formed through it. In reality, the ordinary affects taking place in the city cannot be fully recognized simply by the ideological representations of the dichotomy of Gangnam/nonGangnam. Generally, the urban writing that illuminates everyday life of cities can be a source of reflection on the urbanity.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 metaphor of Gangnam as an assemblage, this article examines the desire-education combined with a private education industry in a middle-class society, the real estate-house composition with the precarity, the emergence of apartment kids and their complex hometownrecording performativity. This article focuses on writing about Gangnam, including literary writings, documentary records, and an on/offline urban recording project. In conclusion,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assemblage makes the city and what events are emerging, and discusses on the politics of affects.

      • KCI우수등재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신진숙(Jinsook Shin)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2

        이 글은 조선산업 도시 사회의 변화를 정동(affects), 느낌, 감정과 같은 비재현적 요소와 글쓰기, 상징, 이미지 등과 같은 재현적 요소의 매개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조선산업 도시에서 생산되고 있는 다양한 정동과 감정을 ‘정동적 도시론’으로 고찰했다. 구체적인 분석 사례는 현재 한국의 남해안에 위치한 조선산업 도시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살폈다. 조선산업의 위기 이후 조선산업 도시에서 생산된 감정과 정동이 무엇이고, 이것이 어떻게 현재의 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지를 분석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과거 한국의 산업도시에서 형성된 전통적인 노동 공동체가 해체 또는 변형되는 과정에 주목했는데, 이를 근대적인 산업도시 공동체로부터 그 경계를 초과하는 새로운 정동 공동체로의 이동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산업도시 사회에서 발산하고 있는 다양한 정동과 감정들은 단순한 위기의식을 넘어 집합적 정동으로서의 ‘유동하는 공포’와 결합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동적 분위기는 향후 언제든 제기될 수 있는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지역정책에 대해 산업도시 사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미시적이지만 중요한 참조점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했다. 결론에서는 산업도시에서 어떤 공간적 정동 정치가 구성되고 있는지도 고민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 in which affects as transpersonal bodily capacities and changes become a invisible part of constituting landscapes, focusing on representations of shipbuilding industry cities. Emphasizing on the fact that affects can mediate and be mediated by apparatuses, encounters and conditions, this paper traces a specific forms in which affective life is imbricated with representations. The questions of this paper is how the various sensory modes of being in the industrial area is imbued with relations of social/geographical power, but is irreducible to power’s effect and how affects and emotions act as part of assemblage constituting and landscaping industrial cities. Especially, it highlights the industrial affective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liquid fears. By developing the perspective of affective urbanism,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spacial politics of affect within industrial cities in post-industrial era.

      • KCI우수등재

        노화 감정의 동학과 문화 정치: 2000년대 다큐멘터리 노년서사를 중심으로

        신진숙(Jinsook Shin)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4

        이 논문은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노년기 삶에 대한 문화적 재현과 이를 통해 구성되는 노화 감정의 동학이 무엇인지 2000년대 다큐멘터리 서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노년기 감정의 규범과 연관된 서사화 과정을 고찰하고, 행복과 불행의 이분법적 감정 프레임에 의존하는 기존의 노화 담론에 대해 비판적인 성찰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대중화된 ‘행복한’ 노년 서사와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노년기 감정의 복잡성을 드러내는 ‘평범한’ 노년 서사에 대해 주목했다. 한국사회에서 노화의 감정이 구성되는 전형적인 방식은 대부분 성공적인 노화 경험과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그것은 노인의 삶을 ‘성공/평범’, ‘행복/불행’으로 구별 짓고 동시에 위계화하는 시선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행복한 노년 서사에서 소비되는 노년 이미지가 과거회귀적인 레트로토피아 감성들과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보여주었다. 또 이와 같은 행복한 노년 서사들이 역설적으로 노인들의 진정한 감정들을 억압하는 정동적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음을 비판했다. 나아가 이른바 성공적이지 않은,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 노화의 의미를 고찰할 수 있는 서사들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노화의 복잡한 감정 구조를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노인의 감정을 불확실성이 하나의 일상적 삶으로 편재하는 현재의 사회 현실과 연결 지어 맥락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는 노인의 정동적 삶을 우리 시대의 집합 감정 속에서 통합적으로 읽어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mise of happy lateness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which have been popularized through the documentaries since 2000s. These documentaries are contributed to provide the positive emotional norms of aging related to the successful aging discourses. However, on the one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documentaries can naturalize and justify the homogenized, biased images and socioscapes dominantly shaping the images of the older peoples. On the other hand, these contemporary popular documentaries tend to link the norms of good aging with the traditional but lost moral values. As a result, while the particular affective promises of happy lateness are constructed through these narratives of happy aging, the realities of aging, such as the marginalized or ‘unhappy’ (unsuccessful) aging, can be paradoxically concealed and distorted. In this respect, the author shows the way that these narratives intentionally erase out the wretchedness of old age, and questions how the cultural politics of aging is entwined with this dichotomy of ‘happy/unhappy’ aging emotions. In this point, this paper critically reexamines the cultural ideals of happy lateness and reconsiders the emotions of the old people in terms of the individualized ethics of the precarious society.

      • KCI등재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와 미학적 대응 양상 : 2020년에 출판된 팬데믹 소설 앤솔로지를 중심으로

        신진숙(Shin Ji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이 논문은 코로나(COVID-19) 팬데믹 사회에 대한 문학의 미학적 대응 방식이 무엇인지 한국과 미국의 팬데믹이야기(소설)를 엮은 앤솔로지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팬데믹 상황에서 생산된 소설작품들은 대부분 짧고 단순한플롯이 주를 이룬다. 이 때문에 팬데믹 이야기는 사회에 대한 종합적으로 성찰 할 수 있는 안정적인 내러티브를제시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도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팬데믹 이야기들은 팬데믹 사회의 정동(affects)과 감정을 즉각적인 방식으로 증언하고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를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 이 논문은 팬데믹 이야기가 재현한 팬데믹 사회의 감정들을 다음 네 가지주제로 분석하려고 한다. 첫째, 전염병에 대한 공포의 감정의 전염, 둘째, 팬데믹으로 심화한 불안정성(precarity) 사회의 개인의 삶, 셋째, 인류 멸망의 상상력, 마지막으로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과 희망의 서사 등을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이러한 논의를 통해 팬데믹 사회에서 구성되고 있는 미학적-정동적(aesthetic-affective) 실천과 정치의 가능성을 사유해보려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responses of writers to the COVID-19 pandemic society, focusing on Korean and American pandemic stories (novels) anthologies. Most of the novels produced during the pandemic are short stories with an immediate and simple plot. Because of this, the pandemic stories have some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develop into a comprehensive and stable reflective representations. But nevertheless, the pandemic stories also make the pandemic situ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social reality that has existed before. In other words, the writers pay attention to how social problems that existed before the pandemic, such as immobility, instability, and the impossibility of solidarity, deepen in a pandemic situation. Rather, it visualizes the collective affects that have been present but have not been represented through the pandemic. On the one hand, this approach entails a sense of crisis for an uncertain and unstable future. This is one axis that constitutes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xiety, and anger in the novel. But at the same time, the writers try to connect this imagination of disaster with narratives of hope for alternative lives and other possibility spac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ethics and politics of a post-pandemic society posed by these pandemic narr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