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도군 청산도 일대에 분포하는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의 형성 시기 및 형성 과정

        신재열(Shin, Jaeryul),홍성찬(Hong, Seongchan),홍영민(Hong, Yeongmin),류희경(Ryu, Huigye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일대에 분포하는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 및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시기와 형성 과정을 규명하고 있다. 청산도 권덕리 일대에서 확인되는 해안단구 층서에 따르면 제1면과 제2면의 구정선 고도는 각각 고조위 기준 5m와 10m 내외로 나타난다. 제2면을 이루고 있는 원력층의 퇴적 연대(약 122 ka)는 최종 간빙기 극성기(MIS 5e)동안 형성된 단구로 확인되며, 장기미 해안의 고해안 퇴적물 기록에 따라서 제1면의 형성 시기(약 88~85 ka)는 최종 간빙기중 첫 번째 아간빙기(MIS 5a)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반도 서・남해안 외해 도서 지역에서 확인되는 해안단구 및 고해안 퇴적물의 발달 특성은 각 지역의 개별적 해안 환경 및 퇴적장 조건에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로서 이들 지역에서의 해안 지형 발달사에 관한 이해를 위해서는 제4기 후기 지역 일대에서의 해수면 변동 및 지각 운동 특성과 함께 지역적 특수성이 면밀히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ages and processes of the last interglacial marine terraces and paleo-coastal sediments in Cheongsan-myeon (Cheongsando Island) in Wando-gu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 geochronology of marine terraces identified in Gwondeok-ri, the altitudes of paleo-shoreline on the first and second terrace are about 5m and 10m respectively, based on the regional high sea-level. The formation ages of the second and first terrace are 122 ka year and 88~85 ka year, responding to MIS 5e and MIS 5a in respectiv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arine terraces and paleo-coastal sediments on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greatly influenced by individual coastal environments and sedimentation conditions in each region, therefore in relevant studies, regional specificiti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ith the sea-level fluctuations and crustal movements during the late Quaternary.

      • KCI등재

        남해안 사천시 대포동 일대에 분포하는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I)

        신재열 ( Shin Jaeryul ),홍성찬 ( Hong Seongchan ) 한국지형학회 2018 한국지형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restores onshore paleo-shoreline records and establishes the nature and strain rate of neotectonism by investigating the existence and formative age of paleo-coastal sediments emerged around S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paleo-sand bars representing 5m of the paleo-shoreline from high tide level are formed in Sacheon-si, and the formation age of these is confirmed as MIS 5c at approximately 100,000 year BP through rock surface luminescence dating to rounded gravels in paleo-sand ba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uplift rate of crust precisely due to incomplete restoration of sea level records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stage, the uplift rate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was assumed approximately 0.72 lower than the Eastern coast during the late Quaternary in comparison to the 1st marine terrace along the Eastern coast.

      • KCI등재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 시기, 기작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판구조운동 기원의 새로운 가설

        신재열(Jaeryul Shin),황상일(Sangill Hwang)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동성 요곡운동의 재정의,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 제시가 주요 내용이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흔히 일컬어지는 한반도 신기지반운동은 최소한 신제3기(23 Ma) 이후 진행된 동해안 지역의 융기-서해안 지역의 침강 패턴의 조륙운동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융기-침강의 지역적 경계는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 동북부 지역과 러시아 남부 지역에 걸쳐 광역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융기-침강운동의 발생동력은 가설적으로 서태평양 섭입대의 활동과 관련한 맨틀 대류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며,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한 단층활동은 제4기 이후 한반도의 지역적 융기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서해안의 현생 융기운동과 같이 여전히 남아있는 논쟁적인 부분들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의들은 현장에서부터 그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old concept and reviews prevalent statements on Cenozoic vertical motions of the peninsula that have been uncritically repeated in our academia.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redefinition of the notion, tilted flexure or warping, and a suggestion for a new time set and properties of the deformation, followed by a new model on its influencing factors and processes. In conclusion, the Cenozoic vertical mo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reified further with an epeirogenic movement of uplift in the east side-subsidence in the west side of the peninsula since the Neogene (23 Ma). However, the regional boundary for areas of uplift and subsidence is not like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broader farther to East China and the southern part of Russia. It can be best understood that mantle convection produced by subducting activities in the Western Pacific Subduction Zone causes the uplift and subsidence of earth surface around NE Asia. In addition, faultings in the upper lithosphere induced by in-situ plate boundary stresses accelerate regional uplift in the peninsula since the Quaternary. Controversies that are still standing such as current uplift movements along the western coast of the peninsula during the late Quaternary could be precisely discussed with future research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it.

      • KCI등재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의 제4기 활동 및 지진 안정성

        황상일(Sangill Hwang),신재열(Jaeryul Shin),윤순옥(Soon Ock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4

        한반도는 주변의 북중국, 일본과 같이 지구조적 활동이 활발한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알려 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제4기 단층의 존재는 한반도 의 신기 지체구조 운동의 성격을 본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주시 양남면 일대에서 확 인된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은 그 최종 운동 시기가 제4기 후기로 확인되고 있어 현생 지구조 체계 하에서 발생하고 있 는 지각 변형 사건임을 분명히 지시해 주고 있다. 이들 단층운동과 관련된 동-서 방향의 최대 압축 응력은 인도-호주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 응력이 원거리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징적으로 한반도 남동부 지역의 제4기 단층들은 반복적 재활성 가능성이 크므로 잠재적 지진 재해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본 연구는 연구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지진 안정성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Although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onsidered as a largely aseismic region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high seismic areas such as North China and Japan, there are more than thirty Quaternary faults reported so far, which are mostly centered in the southeastern peninsula. Structural studies of active faults exposed in Yangnam-myeon of Gyeongju, SE Korea are largely interpreted to post date the late Quaternary, suggesting that the NE-trending reverse faults may result from the active stress regime in the peninsula. The prevailing presentday E-W SHmax orientations in the peninsula ar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plate forcing stemming from the convergence between the Indo-Australian and Eurasian plates. It is clear that the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activated, although resolving more elaborate time intervals responsible for a future rupture remains a significant challenge.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assess many of potential seismic hazards in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in terms of seismic stability for foundation of nuclear power plant.

      • KCI등재

        퇴적암에서 수분값과 화학적 풍화지수(CIA) 간의 상관관계

        박경근(Kyunggun Park),신재열(Jaeryul Shin)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천생산 지역의 조립질 퇴적암을 대상으로 수분값과 풍화지수를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암석시료 20개를 대상으로 함수율과 흡수율, 수분측정기를 이용한 계측값 등 다양한 수분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XRF 분석을 통해 얻은 화학적 풍화지수(CIA)와 비교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퇴적암의 경우 역의 함유량이 많거나 치밀도가 낮은 암석일수록 함수율과 흡수율은 높게 나타나며 흡수율이 증가할수록 SiO₂와 Al₂O₃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CaO와 Na₂O는 장석류의 풍화로 인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이는 흡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적 풍화지수도 함께 증가하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화강암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a correlation between water content values and chemical index of alteration(CIA) for coarse sedimentary rocks of Mt. Cheonsaeng in Gumi-si, Kyeongsangbuk-do. Through measurement of various water values of 20 samples including water content rate, water absorption rate and equipment measuring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values with CIA of the samples obtained by X-ray fluorescence. As a result of analysis water content rate and water absorption rate in a sedimentary rock are likely to be higher when matrix is psephitic and less compact. Furthermore the higher water content rate is, the higher CIA is due to increase of SiO₂ and Al₂O₃ and decrease of CaO and Na₂O derived by chemical weathering of felspar. This correlation between water content rate and CIA represents a similar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targeting granite.

      • KCI등재

        서해안 서천군 당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육상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II): 추가 연대 자료 및 제4기 후기 연안 지형 발달 모델

        신재열 ( Shin¸ Jae-ryul ),홍영민 ( Hong¸ Yeong-min ),류희경 ( Ryu¸ Hui-gyeong ),홍성찬 ( Hong¸ Seongchan ) 한국지형학회 2021 한국지형학회지 Vol.28 No.3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we report a complementary dating data on the silty layers deposited in paleo-tidal conditions of the study area, Dangjeong-ri, Seocheon-gun and suggest coastal terrain development processes over the past 200,000 years. Based on the dating results, the silty layers distributed up to 25 m above mean sea level were deposited between 171 and 183 ka, and the gravel layer deposited in a fluvial environment of a paleo-Dangjeong stream was found to have formed between 78 and 83 ka. Considering relative altitudes of distribution, an uplift rate of the study area in the western coast is judged to be relatively 0.5~0.7 low to that of Pohang area in the eastern coast. Compared to Busan and Sacheon areas in the southern coast, it is assumed that an uplift rate of the study area shows a similar level with those during the late Quater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