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신원영(Won Young Sh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에게 있어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와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04년(초4)부터 2008년(중3)까지 실시한 종단적 연구인 청소년패널(KYPS)의 초4 패널 자료(1∼5차년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5차 시점 간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의 자기회귀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1∼5차 시점 간의 자아존중감 자기회귀 효과는 가족 내 사회적 자본보다 그 양이 적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향후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이후 시점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청소년 시기에 형성된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은 일관되게 유지되는 특성을 보임을 의미하며, 아동청소년 시기에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획득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자아존중감 형성에 원인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를 통하여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필요한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Five waves of panel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were employed for this research.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collected the first wave data in 2004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4th grad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analysis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ability coefficient of famil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showed that both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Secondly family social capital(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t+1), whereas self-esteem did not predict family social capital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is stable overtime, and that obtaining family social capital and establishing positive self-esteem is important during this period in childhoo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family social capital affects self-esteem, whi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amily social capital accumulation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self-esteem.

      • 2-3세 아동의 이중모음 과제별 발달 특성

        신원영(Won Young Shin),강은희(Eun Hee Kang),이지윤(Ji Yun Lee)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rmal children do 2-3 years old of diphthong for each task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upport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utilizing as part of the articulation phonological treatment. Methods: Thirty normal children, aged between 2;6-3;11 participated in the study. Diphthong test word 40 image cards, depending on the four tasks(onset-vocalic word, onset-consonantal word, position in word-initial and medial) examined divide t10 word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 Second, Depending on the task, it was different diphthong accuracy. Difficult tasks were onset-consonantal word, diphthong position in word-medial.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phthong accurac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sk level of difficulty. When diphtho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o the low task first is more efficient.

      • KCI등재

        2-3세 아동의 이중모음 발달 특성

        신원영(Won Young Shin),강은희(Eun Hee Kang),이지윤(Ji Yun Lee) 한국언어치료학회 2017 言語治療硏究 Vol.2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iphthong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aged 2 to 3 by comparing their utterance accuracy according to following factors: 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itial sound; the position of diphthong; and gender. Methods: A total of 45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A (2;6-2;11), B (3;0-3;5), and C (3;6-3;11). Each group had 15 children (8 boys and 7 girls), respectively. The test consisted of 40 vocabulary items of CGV structure with consonants in front of the diphthong and GV structure without consonants; each structure has 20 vocabulary items. Results: First, the diphthong accuracy was in proportion to ag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de among age groups. The diphthong accuracy by task was also in proportion to 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task (i.e., presence of initial sound, position of vowel)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accuracy of diphthong by gender, the girls group was higher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boys group,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de in accuracy by age, especially at the age of 2. A gender difference in the diphthong development was found in easy tasks, with girls being more accurate than boy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difficult tasks.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diphthong accuracy according to age and task among children aged 2 to 3. This finding leads to understanding the difficulty of tasks and that informative data could be provided regarding evaluating children s articulation, planning treatment, and checking the progress of the treatment.

      • KCI등재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인성 특성과 또래 괴롭힘 친화성의 영향 변인 연구

        손경원 ( Kyung Won Son ),신원영 ( Won Young Shin ),정창우 ( Chang Woo 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된 학교폭력과 인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또래 괴롭힘(bullying)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인성 및 공감, 행복의 유의미한 차이와 괴롭힘 친화성에 미치는 영향변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20개 학교 4-5년 2,809명을 일차 설문조사 및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네 유형(가해자, 동조자, 방관자, 방어자)의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해당되지 않는 253명을 제외한 2,55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인성, 공감, 행복의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괴롭힘 참여자 역할 점수를 바탕으로 괴롭힘 참여자 역할 집단을 구분하고, 괴롭힘(참여자) 역할성향 점수, 인성 점수, 공감 점수, 행복 점수로 일원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인성, 공감, 행복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참여자 역할에 따라 역할성향 점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지만, 모든 역할 유형 집단에서 방어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방어자 집단이 또래 괴롭힘친화성이 가장 낮으며, 방관자 집단이 가해자 집단과 동조자 역할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인성지수의 수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성은 3차원(개인, 대인 간, 사회)8개 덕(존중, 절제, 책임, 배려, 소통, 협력, 정의, 인류애)으로 정의하고 하였다. 방어자 집단이 가장 높고, 동조자, 가해자, 방관자 집단 간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공감과 행복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방어자 집단이 가장 높고, 동조자, 가해자, 방관자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괴롭힘 친화성에 인성이 가장큰 부적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정서적 공감과 인성은 괴롭힘 친화성과 부적 영향력이, 그리고 부정적 감정은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인성교육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인성이 공감이나 행복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학교폭력 예방 요인임을 시사한다. 좀 더 인성 관련 가치 덕목을 통합하여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생은 전반적으로 자신의 인성에 대해 긍정편향을 보이고, 이러한 경향은 가해자 집단이나 동조자 집단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가치 덕목에 대한 인지적 이해나 태도 함양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 입장에서 기존의 이해를 반복 학습하는 것에 불과할 수있다. 셋째, 초등학생의 절제 및 소통 능력이 낮은 반면 부정적 감정수준은 낮지 않다. 특히 가해자 집단에서 이러한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부정적 감정을 다스리고 비폭력적 방식으로 표현하는 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방관자, 가해자, 동조자 집단의 공통성과 차이를 고려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and influential factors(character, empathy, happiness) with 2556 4th and 5th grade students from 20 primary schools in South Korea. A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students’s the index of character, the level of empathy, happiness, scores on four types of bullying participation(Bully, Bully assistant, Bystander, Victim defender). A series of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run to find out the empirical difference in the scores of character, empathy, happiness by four types of bullying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t was the highest score of victim defensive role in all types of groups even though there is the difference among four types scores in bullying situations peers.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aracter index based on peer bullying participant roles.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pathy and happiness by peer bullying participant roles. Defender group is the highest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ully, bully assistant, bystander. Fourth, character variables was negatively stronger than empathy and happiness in statistically explaining the level of bully-friendl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ey character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in primary school should be comprised of several virtues and skills (ex: self-control, communication) as well as empathy and th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skills of emotion.

      • KCI등재

        ‘아동권리지수’ 적용을 통한 아동권리 비교 연구

        이봉주(Lee, Bong Joo),신원영(Shin, Won Yo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8

        지난 20-30년간 아동 옹호활동의 일환으로 아동의 현재 발달상황이나 삶의 질 등을 통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수개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제 2차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이후 아동의 권리상황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 및 지수 생산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실제로 학계와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아동권리 지표체계를 수립하고 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를 종합하여 직관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아동의 권리상황을 보여줄 수 있는 아동권리지수 생산의 노력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현재 살아가고 있는 삶과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 스스로 느끼는 권리가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의 4개 영역, 9개 요소, 38개의 아동권리 세부지표를 만들었다. 그리고 전국 16개 시도의 초⋅중등학교에 재학중인 아동과 그의 부모 17000여명을 직접 조사하여 아동권리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아동권리지수의 지역 간, 학년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동권리지수는 아동의 가정 및 지역사회의 경제적 환경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한민국 아동의 권리지수를 향상시키고 비교 집단 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아동예산의 증진과 인식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research about children’s development indicators and child well-being indicators. After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and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second report of Korea, the effort to monitor and measure children’s rights and the use of child rights indicators has increased within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However, few indicators provide a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children’s own perceptions of their rights and to develop a children’s rights index to measure children’s rights. In this study, a children’s rights index was developed from 38 indicators categorized into nine components and four domains (survival rights, development rights, protection rights, and participation rights) to measure children’s rights. Data were gathered from 17,00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16 cities. The surve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rights index by region and age group.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circumstances of both households and communities and the children’s rights index. In the light of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public investment on children and to rais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rights and to decrease disp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