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2 주형의 붕괴성에 미치는 글루콘산 소다의 영향

        신운용,권해욱,남원식 ( Un Yong Shin,Hae Wook Kwon,Won Sik Nam ) 한국주조공학회 1994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4 No.6

        N/A The effect of sodium gluconic acid on the collapsability of the sodium silicate type CO₂ mold was studied. The bending strength was saturated with gassing CO₂ for 60 sec. under l㎏/㎠ and with the flow rate of 10ℓ /min. It was decreased with aging after having been fully hardened. The retained strength was reduced in the heating temperature range of 100∼1,100℃ and the retained strength peak near the heating temperature of 100℃ was removed by the effect of the sodium gluconic acid. Silica gel, Na₂CO₃and dehydrated sodium silicates were formed from the binder of sodium silicate with the addition of sodium gluconic acid 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100℃. Na₄SiO₄was formed by the reaction of Na₂O, from decomposed Na₂CO₃, with the dehydrated sodium silicate at 500℃. The crystobalite type of SiO₂was formed at 900℃. The sodium gluconic acid had no effect on the bending strength at around 1,100℃ due to the combustion loss of it.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시기 신규식에 대한 평가·추모와 그 의미

        신운용(Woon-yong Sh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4 No.-

        신규식에 대한 평가와 추모는 1922년 9월 25일 그의 순국 이후 본격화되었다. 특히 『동아일보』는 1922년 9월 28일자 기사에서 그를 ‘열사’로 규정하였다. 『동명』 주필 (최남선)은 신규식을 “지성으로 일관한 인물”로 평가하면서 그의 죽음을 ‘순국’의 의미로 받아들였다. 중국 신문 『신보』는 신규식을 ‘구국대업’을 위해 몸을 바친 ‘청백리’라며 추모하였다. 이유춘은 1934년 11월 1일자 『삼천리』에 신규식의 시 「고려사제감」을 소개하면서 한민족의 위대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일제의 불법적 지배 부당성을 항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항일 투쟁은 1939년 민필호의 『한국혼』으로 지속되었다. 1940년대의 신규식에 대한 평가와 추모를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는 1942년 중경에서 민필호가 발간 편찬한 『중한외교사화』이다. 이 책에서 중국 언론인 호정지는 『한국혼』을 ‘신규식의 영혼 불멸한 결정체’라고 규정하였다. 이는 이 무렵 한중 연합의 중요성과 중국의 임정 공식 인정이라는 절박성이 부각되는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1958년 9월 3일 신규식선생기념사업회가 발족하였으며, 1958년 『조선일보』는 『한국혼』을 한국혁명사상의 중요한 문헌이라고 평가하였다. 1962년 신규식에게 복장이 서훈되었다. 하지만 이는 그의 업적에 비하면 정당한 평가는 아니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 『대종교중광60년사』와 『기려수필』의 「신규식」을 통해 신규식의 업적이 부각되었다. 1971년 신대식이 『한국혼』을 번역 출간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민명하에 의해 『한국혼』 번역 출간 사업은 지속되었다. 1990년대의 특징은 신규식이 국제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중국인 학자 양소전이 『신규식평전』을 발간하였다. 1994년 김동훈 등의 『신규식시문집』, 1995년 김준엽의 『석린 민필호전』을 발행하는 등 신규식에 대한 연구와 추모를 이어갔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 종합적인 신규식 연구서가 간행되기에 이르렀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2002년 9월 25일 열린 중국 상해 복단대학에서 열린 ‘신규식과 한중관계’라는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글과 기왕의 연구 논문들을 모아 석원화·김준엽이 발간한 『신규식·민필호와 한중관계』를 들 수 있다. 중국 대표적인 신규식 연구자 석원화는 ① 독립운동의 지도자, ② 독립운동의 선전가, ③ 교육가, ④ 종교 활동가, ⑤ 위대한 사상가라고 평가한 점이 주목된다. 이처럼, 신규식의 역사적 의미는 “우리의 정체성이 무엇이며 어떠한 국가를 만들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주고 있다. The evaluation and memorial service for Shin Kyu-sik began in earnest after his death on September 25, 1922. In particular, The 『Dong-A Ilbo(동아일보)』 defined him as a martyr in an article dated September 28, 1922. The main writer(Choi Nam-sun/최남선) of the 『Dongmyeong(동명)』 evaluated Shin Kyu-sik as “a person consistent with intelligence” and accepted his death as a meaning of “acrificing his life to his country.” Meanwhile, The 『Chinese New Daily News(中華新報)』 showed the Respect for him of the Chinese through an article. Even in the 1930s, Lee Yoo-chun(이유춘) emphasized the greatness of the Korean people. This was a protest against the unfairnes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s anti-Japanese struggle continued with Min Pil-ho's 『Korean Soul(한국혼)』 in 1939.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evaluation and remembrance of Shin Kyu-sik in the 1940s is 『Diplomatic history between China and Korea(중한외교사화)』 published by Min Pil-ho in Zhongqing, China in 1942. In this book, Chinese journalist Hu Zhengzhi(胡政之) defined 『Korean Soul』 as “the essence of his soul.” Even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sovereignty in 1945, The evaluation and remembrance of Shin Kyu-sikd did not cool down. In particular, in the 2000s, It is noteworthy that Shi Yuan-hua(石源華), a representative Chinese researcher, evaluated him as a lead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 educator, a religious activist, and a great thinker. As such, Shin Kyu-sik, a modern figure, is still alive and currently moving korea. The historical meaning of him gives the answer to “what is our identity and what kind of country we will create.”

      • KCI등재

        규원사화 연구성과와 과제

        신운용 ( Woon Yong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규원사화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25년 『단전요의(檀典要義)』가 간행되면서 부터이다. 항일전쟁기에 양주동 등이 비장하던 규원사화는 국권회복 이후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났다. 1968년 최초로 규원사화를 번역 출간하여 연구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신학균은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1970ㆍ80년대는 주로 번역서 중심으로 규원사화론이 확산되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이 김수일 소장본(1946년)이 진본임을 1972년에 판명한 것은 규원사화의 연구가 촉진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규원사화 연구사에 기록되어야 할 일대 사건이었다. 1977년 송찬식 등의 위서 주장도 있었지만 규원사화 연구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오히려 1981년 정영훈의 석사학위논문이 나오는 등80년대 전반기에는 규원사화 연구가 역사학을 넘어 종교학ㆍ국문학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1980년 중반 이후조인성을 필두로 ‘위서설’이 다시 등장하였고, 이에 이상시가 반격을가하는 연구양상이 전개되었다. 1990년대의 규원사화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박광용의 위서 주장으로 연구 열기는 한층 뜨거워졌다. 이에 대해 임승국ㆍ정영훈 등이적절하게 대응하였으며 연구 수준은 더욱 깊어졌다. 무엇보다 정영훈의 박사학위 논문과 심백섭의 석사학위 논문이 나오는 등 연구수준은 더욱 발전하였다. 이 무렵 정영훈은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를 내놓았다. 그 연구분야도 예술론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는 전 시대보다 정치.철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물론 이는 연구의 다양화라는 점에서 바람직한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의 특징은 위서설이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였지만 상대적으로 규원사화가 진서라는 연구성과와 인식의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이시기 시민단체와 학자들이 중국의 한국 상고사 왜곡에 대한 대항이론을 규원사화에서 찾고 있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 상고사 연구 방향에 대한 본질적비판이며 식민사관의 극복을 위한 필사의 노력에 따른 결과이었다. 유가의 입장에서 서술된 한국사는 더 이상 주류시각이 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이 시기 남북이 규원사화를 매개로 상고사 인식을 공유하였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2006년 남북학술대회는 이러한 가능성을 규원사화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하지만 더 이상남북의 공동연구가 진척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이 시기의 다른 특징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관계자들이 적극 참여는 등 연구자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여러 방면에서 규원사화를 연구한 결과에 따른 것이지만 이전시기보다 선사와 선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깊어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하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대과제로 선교사관의 정립이라는 대과제 아래 크게 대과제 소과제로 (1) 규원사화 속의 용어 대한 엄밀한 연구(2) 한국사상사 상의 규원사화의 위치 확립을 위한 노력 (3) 규원사화내용의 과학적인 논증방법 동원 (5) 신학ㆍ국문학ㆍ민속학ㆍ예술학등의 분야로 연구의 확산 (6) 규원사화 관련 논문에서 위서설의 기술은 이제 지양으로 압축할 수 있다. The present work aims to represent the significance of Kyuwonsawha, the historical manuscript written during the Joshon Kingdom period, on primordial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 The book was officially recognized being referenced in Danjonyo’i, in 1925. Also, the book was known by th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the movement against Japanese illegal occupation in Korea. The most recognized figure for the research at that time is Shin Hak-kyun. He translated the original work into modern language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could be settled down. Later, new academic atmosphere was widely spread in 1970-80s due to the previously translated work. It was also notable that Kyuwonsawha was recognized as the original publication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1972, which confirmed the ground for the further studies. From then on, a number of works on the book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that of Jeong Yeong-hoon, Lee Sang-si, Sim Baek-sop and anothers from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Brain Studies. There were some works being done doubting Kyuwonsawha as a forged book even after its confirmation as the original one. Even so,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lies in its contents and influence including indigenous Korean philosophy and history, i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without seeking ideation from external influence. It nurtured the ground for valuable studies and theories that could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not Confucius thoughts but Korean indigenous philosophy. It also generated the united basi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North and South Korea. Likewise, the book offers the common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clue uniting the two. Further works shall be done on Kyuwonsawha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Korean theology, arts, folkloristics and linguistic studies. Also, the terminology among the book needs to be assessed and the contents examined through logical reasoning. The hypotheses doubting the originality of the book shall be refrained.

      • 한국의 조명하(趙明河) 연구의 성과와 과제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8 대만연구 Vol.- No.12

        This work contemplates on the achievements of Cho Myung-ha studies so far and its further tasks. In general, it appears that the elaboration of Cho Myung-ha studies roughly separates into three main periods. In the first period, the ground is formed for the concrete research and i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emorial foundation for Cho Myung-ha. During this period, the media shed light on the patriotic act of Cho Myung-ha, which didn’t go further than the formul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concrete academic research on him. The second period bega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iography of Cho Myung-ha(趙明河義士略傳) by Cho Kyung-rae in 1987. However, it seems the work of Cho was not fully examined in terms of its authenticity. Still the work is worthy that it launched the very beginning of the academic research on Cho Myung-ha. There is also Cho Hang-rae as a leading scholar in the field, but his research outcome seems on the same level of the previous achievements. The third period comes in 200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works in this period is it is based on the discovery of the historical manuscripts issued by Japanese military and the concrete examination on them. It appears the leading figure would be Shin Woon-yong as criticizing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works and presenting the specific evidence of what had happened on the scene. Another figure would be Kim Ju-Yong who criticized the works of Cho Hang-rae and Shin Woon-yong. His dedication i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s of Cho Myung-ha’s taking action on the day. Yet it seems there has nothing new discovered than the earlier works. Kim Sang-ho is recognized by his theses written in Chinese in Taiwan. At this stage, it appears his study stays in the field of Cho Myung-ha only. Therefore, it suggests there is a room for further research beyond the current accomplishments. Further research outcomes and publication of them would be needed so that the study would elaborate the ground for the peacefu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aiwan.

      • KCI등재
      • KCI등재

        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

        신운용 ( Shin Woon Y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0 No.-

        국권회복 이후 개천절 봉축행사는 국내 단군민족주의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이를 먼저 담당한 세력은 대종교인 안재홍의 국민당이었다. 국민당은 1945년 10월 3일에 개천절 행사를 개최하고 단기 사용과 개천절 홍보를 결의하였다. 1945년 개천절 행사는 특히 대종교인들이 중심된 단군전봉건회의 출발과 깊은 관계가 있다. 단군전봉건회는 대종교·조선국술협회와 함께 1945년 개천절 행사를 열었다. 이는 대종교인들과 관련이 있는 인사들이 주도하였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개천절이 3.1절·광복절·한글날·예수성탄절과 더불어 일요일로 정해졌다. 이는 개천절이 국경일로 정해지는 배경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개천절은 사상적 분열을 통합할 수 있는 장이었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946년의 개천절 행사의 특징은 전년과 달리 기독교 등 종교단체와 사회단체로 구성된 ‘교화사업중앙협회’가 주도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개천절이 대종교만의 행사가 아니라 이제 전민족적 행사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이승만의 “단군은 신이 아니다.”라는 발언은 1948년 개천절을 국경절로 정한 기반의 조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947년 개천절의 분위기는 국내외의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민족국가 건립에 대한 열망으로 고조되어 갔다. 단군전봉건회의 활동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채동선이 「개천가」를 작사하는 등 단군관련 기사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여 개천절에 대한 열기는 더욱 달아올랐다. 무엇보다 1947년 개천절의 특징은 관이 주도하였다는 점이다. 군정청 문교부는 적극적으로 개천절 행사에 각 학교·관공서·사회단체 등 직능별로 거의 ‘의무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갔다. 이는 개천절이 완전히 한국사회에 정착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대일항쟁기의 개천절이 민족의 단결과 정체성 확립 및 대일투쟁 의지를 고무시켰듯이, 해방공간의 개천절도 민족국가 건립과 남북통일의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Afte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power in 1945, the celebration of the Gaecheonjeol(korean Foundation Day) was centered on Dangunists(단군주의자들) in Korea. The first force in charge of this was the Kukmin Party(국민당) led by Ahn Jae-hong. On October 3, 1945, the Kukmin Party held a ceremony for the first day of the year and decided to use Danki(檀紀) and to promote the day. The 1945 Gaecheonjeol event is particularly closely related to the start of the ‘Dangunjeonbongjeung(단군전봉건회)’. This held together with the ‘Daejonggyo’ and ‘Joseonkuksukhyeobhoe(조선국술협회).’ This means that it was led by the people related to Daejonggyo. In addition, the first day was set as Sunday along with the 3.1jeol, the National Liberation Day, the Hangeul Day, and the Christmas Day. This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background for the national holiday. Above all, the meaning can be found in that Gaecheonjeol was a place to unify ideological divisions. Unlike the previous year, the Gaecheonjeol event in 1946 was led by the ‘Gyohwasaeobjunganghyeobhoe(교화사업중앙협회),’ consisting of religious and social groups such as Christianity. This means that Gaecheonjeol is not an event only for Daejonggyo, but is now a national event. In particular, Syng-man Rhee’s remark that “Dangun is not a go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oundation of the 1948 Gaecheonjeol as a national holiday. The atmosphere of Gaecheonjeol in 1947 was heightened by the desire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amid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Amid the remarkable activities of the Dangunjeonbongjeung, Dangun-related articles frequently appeared in the media, and the aspiration for Dangun was further heightened by Chae Dong-seon’s lyrics of ‘Gaecheonga(개천가)’. Above all, the characteristic of Gaecheonjeol in 1947 is that it was l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of the county government office actively created an atmosphere whereby each function, such as schools, government offices, and social groups, participated in the opening ceremony actively. This was the background in which Gaecheonjeol was completely settled in Korean society and reached today. In this way, just as the Gaecheonjeol of the period of uprising against Japan inspir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unity and identity, and the will to struggle against Japan, the Gaecheonjeol of 1945-1947 also served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and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에 관한 연구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study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background for the patriotic deed of Ahn Jung-Geun. And this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 Ahn Jung-Geun worthy undertaking’s international political background is that after the Russia-Japanese war, USA started aggressively intervening in Manchurian matters, claming the equal opportunity and the open-door. At least, before William Howad Taft who has anti-Japanese inclination, became the president, the US-Manchurian policies both cooperative and antagonistic relationship were repeated, but as Taft is elected to the president, it strikingly started to change. Especially, Willard Staight and Edward Henry Harriman planned maneuver to have Manchuria in their hands. In such circumstance, in Aug, 1908 the Russian embassy claimed the compensation for the damage that Japanese authorities caused to Russian and its citizens to the Japanese government. American intervention in Gando, and Russia’s dissatisfaction in Gando agreement led Japan to feel crisis. In order to resolve such crisis, Japan promoted conference with Kokovtsov and failed due to Ahn Jung-Geun’s revolt.. In that circumstance, the US’s Manchuria neutrality proposal stirred Russia and Japan and as a result, expedited the second Russia-Japan agreement, finally it ended up with Korean annexation. The conference between Kokovtsov and Ito was urgently taken place to consolidate the control over Great Han Empire and Manchuria, on the request of Japan. The fact that the conference was held without even specific agenda for discussion reflects how much imminence Japan felt.. Anyhow, Russia’s purpose in the conference is presumed to be accomplishment of Southern Manchurian Railway and Eastern Ch’ing Railway’s freight agreement and overall promotion in the mutual national relationship. On the other side, it is deemed that Japan proceeded the conference with the comprehensive intentions, such as to intensify the Manchuria’s partition occupation by guaranteeing the compensation for the damage that Japanese authorities caused to Russia and its citizen and at the same time, excluding the US intervention in Manchuria pursuant to Goto’s recommendation and etc. Ch’ing viewed the conference between Kokovtsov and Ito as for the discussion on how to colonize Ch’ing after subjugating Chosun. Thus, many Chinese assessed Ahn Jung-Geun’s worthy undertaking as stunning accomplishment that has incapacitated Japanese intention and admired him as role model for all Chinese. And in Daehan Daily News and Jung Kyo assessed it as the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reply to the US protest followed by Gando Agreement. Especially, Park Eun-Sik viewed that the Kokovtsov and Ito conference was held under the circumstance that Japan try to seek the solution to rule Ch’ing. The Kokovtsov and Ito conference was held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US intervention in Manchuria was to be intensified and the international pressure caused as Japan never paid the compensation for Russia and its citizen that Japanese authorities provoked started oppressing Japan even more. Ahn Jung-Geun’s action of Ito’s removal brought a great impact in incapacitating Japanese intention. 본고에서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에 대해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러일전쟁 이후 만주에서의 기회균등과 문호개방을 주장하며 미국이 만주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적어도 반일성향의 태프트가 미대통령이 되기 이전, 미국의 만주정책은 일본과 대립,협력의 반복적 연속이었다. 그러나 태프트가 1909년 3월 미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미국의 만주정책은 급변하게 되었다. 특히 스트레이트와 해리먼은 금애철도를 이용하여 러일을 압박하는 동시에 만주철도를 수중에 넣으려는 공작을 펼쳤다. 이러한 가운데 1908년 8월 러시아 대사가 러일전쟁 중 또는 그 이후에 발생한 일본관헌이 러시아 및 그 국민에 입힌 손해보상 문제를 일본정부에 제기하였다. 미국의 만주간섭과 러시아의 간도협약에 대한 불만은 일본으로 하여금 일정한 위기의식을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 일제는 까깝쵸프와 이토 회담을 추진하였으나 안중근의 거사로 실패하고 말았던 것이다.까깝쵸프.이토 회담은 러일간의 현안을 해결하여 대한제국과 만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필요성에서 일제의 요청으로 급박하게 이루어졌다. 회담의 의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못한 채, 까깝쵸프.이토 회담이 급히 이루어진것은 당시 일제가 얼마나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지를 반영하는 것이다. 하여튼 이 회담에서 러시아의 목적은 ‘남만주철도와 동청철도의 상호 화물협정 체결과 포괄적 양국의 관계개선’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일제는 고토의 헌책에 따라, 간도협약과 러일전쟁 이후 일본관헌이 저지른 러시아와 러시아인에 대한 피해보상이라는 유인책을 제시하면서 미국의 만주간섭을 배제하여 러일간의 만주 분할점령 등 포괄적인 목적으로 까깝쵸프.이토 회견을 추진하였던 것 같다.까깝쵸프.이토 회담에 대해 청국은 일제가 한국을 멸망시키고 다음으로 청국을 식민지화하기 위한 방법을 러시아와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보았다. 때문에 안중근의 의거에 대해 많은 중국인들은 이토의 방만으로 야기될 일제의 만주침략의도를 무력화시킨 것으로 평가하면서 본받아야할 위인으로 안중근을 섬겼던 것이다. 그리고 국내외의 여론은 간도협약에 따른 미국의 항의에 대한 답변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박은식은 이와 더불어 일제의 청국지배 모색에서 까깝쵸프.이토 회담이 이루어졌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당시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까깝쵸프.이토 회담의 국제정치적 의미를 간파하지 못하였던 것 같다.미국의 만주간섭 강화, 러일전쟁으로 초래된 손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지않은 것에 대한 러시아의 불만과 간도협약 등으로 국제사회의 압력이 일제에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 까깝쵸프.이토 회담이 개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중근이 이토를 제거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일제의 목적이 무력화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사업 전개와 그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필자는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이는 안중근의 사상의 현재화 또는 미래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 사업 전개와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국권회복 이전 뮈텔 주교를 필두로 한 한국가톨릭계의 주류세력은 안중근의거를 살인행위로 규정하였다. 물론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드망즈 신부 등 안중근의거를 적극 옹호한 세력도 존재하였다. 하지만 계봉우와 같이 안중근을 성인의 반열로 올린 가톨릭인사는 보이지 않았다. 항일전쟁기 한국가톨릭계는 부정적인 안중근인식이 강하였다. 일제로부터 벗어난 이후 안중근을 건국의 이념적 지표로 삼고자 한 가톨릭 신자 박강성과 같은이도 있었다. 하지만 가톨릭계는 1970년대까지 노기남 대주교가 안중근 추도 미사를 거행한 일도 있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안중근관계자료의 발굴과 출간, 한국의 경제발전, 민주화의 진전과 더불어 매우 느린 속도로 바뀌어갔다. 특히 한국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사제단 소속의 신부들이 중심이 되어 지속적인 안중근 추모행사와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사제단은 교단의 인식보다 늘 한발 앞서서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의 중심으로 세우려고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남북분단이라는 현실을 극복하고 통일을 열 에너지원으로 안중근의 사상에 착목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에너지원을 안중근에게서 얻었다. 이들의 활동은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의 조직과 안중근평화연구원의 창립으로 이어졌다. 이는 안중근을 추모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민족발전의 사상적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국가발전 전망과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사의 가장 위대한 ‘순교자’로받들어 가톨릭의 미래비젼으로 삼겠다는 원대한 포부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교단의 안중근인식은 느리지만 지속적인 변모의 양상으로 보였다. 특히 1993년 김수환 추기경의 고백은 가톨릭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안중근을 순교자로 볼 수 없다”, “안중근의거 때문에 일제의 한국병탄이 앞당겨졌다”, “안중근이 천주교신자였습니까”라는 주장이 거침없이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2009년 의거 100주년과 2010년 순국 100주년을 기하여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에 커다란 변화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염수정 주교는 “안중근의 시복시성을 추진하겠다”는 선언을 하였다. 하지만 국권이 회복된 지 66년이 지난 지금까지 분명하지 못하고 더딘 안중근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가톨릭계의 현실을 본다면 시복성문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is about the history of An Jung-Geun Memorial affairs by Korean Catholic church and its meaning on the basis that we cannot establish An's commemoration and realization of his thoughts apart from the Korean Catholic's recognition on An Jung Guen. it concludes: There had been two sect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 An's patriotic deed. One is the major faction in church led by Bishop Mutel who didn't see An's commitment as more than a murder. The other hardly revealed one with Father Demange Florian had valued An's deed as an honorable one; None of them but Ke Bong-Woo the Korean Christian scholar were willing to saint An Jung-Geun. Korean Catholic Church have had a tendency showing a strong negative view on An Jung-Gu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There still was one catholic Park Gang-Seong trying to take An Jung-Geun as the spirit of the national foundation right after Korean being free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Catholic Church hadn't made much difference other than Archbishop No Ki Mam's holding annual memorial mass for An Jung-Geun till 1970s. This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en slowly changing its viewpoint with the find of An's historical records and its publication,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democratization; 'Korean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leading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takes center to continuously hold the memorial service for An Jung Guen and annual academic conference on his thought. They have struggled to make An Jung-Geun’s stand on the co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priests from the Association look back An Jung-Geun and certainly find him to be the spirit and the concreteness to reunite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 movement of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finally came up with organizing An Jung-Geun memorial conference and the foundation of An Jung-Geun Academic Institute for Peace. They have the great ambition and strong willingness to commemorate An Jung-Geun and let him to spread his theological driving force to help na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respect him to be 'the greatest martyr'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admire him as inspirational leader for the future. To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the church has gradually changed the viewpoint on An Jung-Geun. In 1993, Cardinal Kim Soo-Hwan's comment on An Jung-Geun reatly shocked Korean Catholic Church; it was paradoxically showing their indifference to An at a glance. Therefore the unconcerned priests produced the claims: "An Jung-Geun cannot be the martyred", "He is the one putting forward Japanese illegal occupation in Korea" or "An Jung-Geun, a catholic?" Some great variations came up right before and after the 100years anniversary of An's martyr and his patriotic deed. Bishop Yem Su-Jeong made an announcement that the church will soon come to have An Jung-Geun canonized and saint him. It seems to take time though considering the present Korean Catholic church's little understanding about him even though now it has been 66 years since being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

        신운용 ( Woon Yong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6 No.-

        필자는 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을 살펴보는데 이 글의 목적을 두었다. 한국 근대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인 계봉우는 안중근을 ``대종교가``로 평가하였다. 안중근은 천주교신자이면서도 동시대의 천주교계와 다른 길을 걸었다. 그 결과 한국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날 하얼빈의거를 단행하였고 동양평화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독립과 동양평화의 공고화를 하느님의 명령으로 여긴 그의 주체적 종교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민권을 ``천명의 본성``으로 확신한 안중근은 난신적자 제거와 문명 독립국 쟁취를 민권의 핵심으로 보았다. 이러한 그의 민권의식은 ``김중환의 웅진군민 돈 5천 냥 갈취사건``과 ``이경주사건`` 등에서 표출되었다. 이는 물론 천주교의 만민평등사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안중근이 독립투쟁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단합``이었다. 이는 단순히 반일독립투쟁의 원리로만 작동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 단합은 인류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라는 하느님의 명령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평화는 안중근이 추구했던 최종 목표였다. 평화는 그에게 하느님의 뜻이고 동시에 명령으로 귀결되는 절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그가 천국에 가기 위해서는 이 땅에 세계평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한 그는 무엇인가 해야 했던 것이고, 그것은 바로 의거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그는 영원한 평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공동은행의 설립, 공동군대의 창설, 문화의 상호이해를 실행할 수 있는 평화 회의를 만들자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동양평화론은 천주교 교황의 권위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고 본 그는 평화회의를 교황이 보장하면 성공할 것으로 믿고 있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논의된 천주교의 가르침이 이미 안중근의 활동과 사상에 내재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천주교사에서 안중근을 평가할 때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그가 한국천주교 토착화의 전범이라는 평가를 넘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의 선구자로 자리매김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안중근은 "평화란 정의의 실현이자 사랑의 결실"이라는 공의회의 가르침을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열리기 몇십년 전에 이미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었던 인물이었다. 이처럼 평화는 그에게 하느님의 속성이었다. 때문에 안중근은 일본을 회개시키기 위해 동양평화론을 저술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계봉우는 안중근을 박애정신의 극치라고 평가하였다. 안중근은 죽기 전에 빌렘 신부와 가족에게 보낸 유언장에서 "천당에서 만나자."라고 하였으며 스스로도 죽어서 꼭 천당에 갈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던 것 같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주여. 주여"한다고 모두 천국에 들어는 것이 아니고 하느님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며 힘들여 일한 사람이 천국에 들어갈 것이다."라고 천명하였다. 그러나 한국천주교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뮈텔주교의 그것에 갇혀 있는 인상이 짙다. 김성태 신부는 1993년 "한국 천주교회가 안중근의 의거에 대해 어떠한 선언을 공표할 때가 오지 않았는가 생각합니다. 한국교회는 교계지도자뿐만 아니라 신앙 공동체가 다 함께 역사적 안목에서 안중근의사가 순국 전에 고해성사를 보았듯이 반성할 때가 이르지 않았는가 생각해 봅니다."라고 지적하였다. 이제야 말로 "한국의 독립과 동양의 평화라는 하느님의 명령을 실현하기 위해 살겠노라."라는 그의 외침에 귀를 기울일 때이다. 그리고 세계는 여전히 민권(인권)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고 국제적으로는 계속해서 전쟁이 일어나고 민족과 국가 사이에 반목이 심화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선언은 오늘날 미래를 열 사상적 에너지임에 틀림없다. 안중근의 종교사상은 바로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정신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From the Essay, I have come to a conclusion by looking into An Jung-Geun`s religious thoughts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 Jung-Geun was a great believer, as Gae Bong-u had evaluated. He was a christian but also took a different path. As a result, he was able to act for the most glorious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history of korea independence- The Harbin resistance movement. However, An Jung-Geun`s resistance movement wasn`t just an simple movement for Korea`s independence. It was for Korea`s independence and for the peace of East Asia, which he thought it was the god`s order given to him, according to his belief of his religion. To An Jung-Geun, Human rights meant ``God`s true colors``. He thought the elimination of national traitors and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ountry is the key of Human rights. His belief on Human rights showed up in ``Kim Jung-Hwan`s Woongjin civilian 5000 nyang extortion incident`` and ``the Lee Gyung-Joo case``. Of course he was also affected by Christianity`s idea of equality. What An Jung-Geun thought important in independence resistance activity was unity. This did not just come of by resistance to Japan`s imperialism. To him, unity was a order from God which means to solve the humanity`s problem together. Also, peace is what An Jung-Geun desired overall. Peace was the god`s thought to him and also the god`s command. That is why to reach heaven, he had to do something to bring peace to the world and that was his noble actions in Harbin. Moreover, for eternal peace he insisted on building united Banks, Army, and a united council which can execute mutual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cultures. He thought that his ``Orient peace theory`` can only exist and be maintained by the pope`s authority. He believed that if the pope guaranteed the united council, it could succeed. The fact that teachings of Christianity discuss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was inherent in An Jung-Geun`s act and his ideas means a lot when we evaluate An Jung-Geun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history. This means he was not just a developer of Korea`s christianity, but also a pioneer of the act of ``Second Vatican Council``. An Jung-Geun had already acted on the idea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years before it had taken place, which taught peace meant the act of justice and the fruitage of love. To him peace was the god`s attribute and An Jung-Geun`s center of religious beliefs. This is why he wrote East peace theory to change Japan, the country he hated. This is the reason which explains Gae Bong-u evaluated him as the ultimate of the benevolent spirit. We nationally have many problems with human rights and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it. Internationally there are wars happening and the hostility between the people and nation is worsening. In this perspective, we can evaluate ``East peace theory`` as the new ideological energy for our future. By this fact, An Jung-Geun`s religious thoughts must be highly appraised. An Jung-Geun himself wrote to his family and to priest Bilem "see you in heaven" in his will and he believed himself that he will end up in heaven when he died. Now is the time to focus on his shouting "I have lived to follow the orders of god for the peace of Korea and peace of Asia". "Just by praying to god isn`t enough to end up in heaven. Only those who work hard and follow his words will reach the doors of heaven. However, our holy father wants us all to recognize the holy Christ inside us, and love, show our love by actions on each other which proves the eternal truth and share the love and wonder with others." However, the Korean Christianity`s view of An Jung-Geun is that he is stuck just like the bishop Mutel`s perspective. You can see that evaluating him is not a simple matter, but really complex, just by viewing his opinion and ideas of Christianity and the ``East peace theory``. For this, I want to conclude my writing with the point out from priest Kim Sung-Tae: "I think it is time for the Korean Christianity to make an announcement about An Jung-Geun`s noble acts. Everyone must examine themselves on historic views just like when An Jung-Geun confessed himself before his death.

      • KCI등재

        국권회복(1945년) 이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 및 그 의미

        신운용 ( Shin Woon Y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글쓴이는 이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학계와 일반인 일부의 폄하 논란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권회복 이후 민족주의 세력과 공산주의 세력의 평가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해방공간에서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였다. 학원 강사 설민석 등의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폄하는 공주산주의 세력의 주장에 큰 영향을 받은 한국의 이른바 진보적 역사학자들의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 이글에서 밝혔다. 공산주의 세력의 3.1혁명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은 “3.1혁명은 부르조아 민족주의의 최후 단계로 민중의 계급적 자각으로 공산주의 운동이 민족독립투쟁의 주류가 되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공산주의자들은 “이적행위자’ 또는 ‘인민배반자’라는 극단적 평가와 인식을 갖고 있으며, 임시정부에 대해서도 ‘반인민적 정부’라고 규정하였다. 이는 현재 북측 정권의 평가와 인식으로 이어졌고, 북한의 3.1혁명의 역사는 역사적 사실과 달리 김일성 일가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3.1혁명은 실패하였으며, 그 원인이 공산주의 세력과 김일성의 부재 때문이라는 것이 북한의 ‘움직일 수 없는’ 해석이다. 사실 한국근대 민족운동은 민족주의 세력·아나키스트 세력·공산주의 세력·종교 세력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주체들이 전개하였다. 이 점에서 북한의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기술은 근본적으로 역사 왜곡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북한의 3.1혁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지수걸 등이 참여한 『3·1민족해방 운동연구』 에 그대로 반영되어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큰 원인이 되었다.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쳐 설민석과 같이 극단적으로 주장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minzok juuiist(민족주의) and communist forces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al rights in order to clarify the cause of the Undervaluation of the academic and ordinary people of the 33 representatives of the 3.1 Revolution. In the liberation space,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3.1 Revolution and the 33 representatives of the 3.1 Revolution appeared to face each other. the Undervaluation of the 33 representatives, such as Sul Min-Suk, is based on the so-called progressive historians of Korea who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laims of the Communist. The basic perception of the 3.1 revolution of the communist forces is that “the 3.1 revolution was the last stage of bourgeois nationalism and the communist movement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struggle as the people’s class awareness”. Even the evalu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sts against the 33 representatives were extensively assessed as acts benefiting the enemy” or “people traitor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대한민국임시정부) was also defined as a “government against the people.” This led to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present North Korean regime, and the history of the 3.1 Revolution of North Korea was reconstructed centering on the Kim Il Sung family, unlike the historical facts. In this perspective, the 3.1 revolution was a failure, and the North Korean interpretation was that the cause was the absence of communist forces and Kim Il Sung. In fact, various entities such as nationalist, anarchist, communist, and religious forces developed Korean modern national movement. In this regard, the description of the 3.1 Revolution and the 33 representatives in the DPRK is basically a history disto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