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조명하(趙明河) 연구의 성과와 과제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8 대만연구 Vol.- No.12

        This work contemplates on the achievements of Cho Myung-ha studies so far and its further tasks. In general, it appears that the elaboration of Cho Myung-ha studies roughly separates into three main periods. In the first period, the ground is formed for the concrete research and i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emorial foundation for Cho Myung-ha. During this period, the media shed light on the patriotic act of Cho Myung-ha, which didn’t go further than the formul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concrete academic research on him. The second period bega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iography of Cho Myung-ha(趙明河義士略傳) by Cho Kyung-rae in 1987. However, it seems the work of Cho was not fully examined in terms of its authenticity. Still the work is worthy that it launched the very beginning of the academic research on Cho Myung-ha. There is also Cho Hang-rae as a leading scholar in the field, but his research outcome seems on the same level of the previous achievements. The third period comes in 200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works in this period is it is based on the discovery of the historical manuscripts issued by Japanese military and the concrete examination on them. It appears the leading figure would be Shin Woon-yong as criticizing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works and presenting the specific evidence of what had happened on the scene. Another figure would be Kim Ju-Yong who criticized the works of Cho Hang-rae and Shin Woon-yong. His dedication i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s of Cho Myung-ha’s taking action on the day. Yet it seems there has nothing new discovered than the earlier works. Kim Sang-ho is recognized by his theses written in Chinese in Taiwan. At this stage, it appears his study stays in the field of Cho Myung-ha only. Therefore, it suggests there is a room for further research beyond the current accomplishments. Further research outcomes and publication of them would be needed so that the study would elaborate the ground for the peacefu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aiwan.

      • KCI등재

        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

        신운용 ( Woon Yong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6 No.-

        필자는 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을 살펴보는데 이 글의 목적을 두었다. 한국 근대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인 계봉우는 안중근을 ``대종교가``로 평가하였다. 안중근은 천주교신자이면서도 동시대의 천주교계와 다른 길을 걸었다. 그 결과 한국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날 하얼빈의거를 단행하였고 동양평화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독립과 동양평화의 공고화를 하느님의 명령으로 여긴 그의 주체적 종교사상에서 나온 것이다. 민권을 ``천명의 본성``으로 확신한 안중근은 난신적자 제거와 문명 독립국 쟁취를 민권의 핵심으로 보았다. 이러한 그의 민권의식은 ``김중환의 웅진군민 돈 5천 냥 갈취사건``과 ``이경주사건`` 등에서 표출되었다. 이는 물론 천주교의 만민평등사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안중근이 독립투쟁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단합``이었다. 이는 단순히 반일독립투쟁의 원리로만 작동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 단합은 인류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라는 하느님의 명령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평화는 안중근이 추구했던 최종 목표였다. 평화는 그에게 하느님의 뜻이고 동시에 명령으로 귀결되는 절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그가 천국에 가기 위해서는 이 땅에 세계평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한 그는 무엇인가 해야 했던 것이고, 그것은 바로 의거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그는 영원한 평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공동은행의 설립, 공동군대의 창설, 문화의 상호이해를 실행할 수 있는 평화 회의를 만들자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동양평화론은 천주교 교황의 권위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고 본 그는 평화회의를 교황이 보장하면 성공할 것으로 믿고 있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논의된 천주교의 가르침이 이미 안중근의 활동과 사상에 내재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천주교사에서 안중근을 평가할 때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그가 한국천주교 토착화의 전범이라는 평가를 넘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의 선구자로 자리매김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안중근은 "평화란 정의의 실현이자 사랑의 결실"이라는 공의회의 가르침을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열리기 몇십년 전에 이미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었던 인물이었다. 이처럼 평화는 그에게 하느님의 속성이었다. 때문에 안중근은 일본을 회개시키기 위해 동양평화론을 저술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계봉우는 안중근을 박애정신의 극치라고 평가하였다. 안중근은 죽기 전에 빌렘 신부와 가족에게 보낸 유언장에서 "천당에서 만나자."라고 하였으며 스스로도 죽어서 꼭 천당에 갈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던 것 같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주여. 주여"한다고 모두 천국에 들어는 것이 아니고 하느님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며 힘들여 일한 사람이 천국에 들어갈 것이다."라고 천명하였다. 그러나 한국천주교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뮈텔주교의 그것에 갇혀 있는 인상이 짙다. 김성태 신부는 1993년 "한국 천주교회가 안중근의 의거에 대해 어떠한 선언을 공표할 때가 오지 않았는가 생각합니다. 한국교회는 교계지도자뿐만 아니라 신앙 공동체가 다 함께 역사적 안목에서 안중근의사가 순국 전에 고해성사를 보았듯이 반성할 때가 이르지 않았는가 생각해 봅니다."라고 지적하였다. 이제야 말로 "한국의 독립과 동양의 평화라는 하느님의 명령을 실현하기 위해 살겠노라."라는 그의 외침에 귀를 기울일 때이다. 그리고 세계는 여전히 민권(인권)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고 국제적으로는 계속해서 전쟁이 일어나고 민족과 국가 사이에 반목이 심화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선언은 오늘날 미래를 열 사상적 에너지임에 틀림없다. 안중근의 종교사상은 바로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정신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From the Essay, I have come to a conclusion by looking into An Jung-Geun`s religious thoughts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 Jung-Geun was a great believer, as Gae Bong-u had evaluated. He was a christian but also took a different path. As a result, he was able to act for the most glorious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history of korea independence- The Harbin resistance movement. However, An Jung-Geun`s resistance movement wasn`t just an simple movement for Korea`s independence. It was for Korea`s independence and for the peace of East Asia, which he thought it was the god`s order given to him, according to his belief of his religion. To An Jung-Geun, Human rights meant ``God`s true colors``. He thought the elimination of national traitors and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ountry is the key of Human rights. His belief on Human rights showed up in ``Kim Jung-Hwan`s Woongjin civilian 5000 nyang extortion incident`` and ``the Lee Gyung-Joo case``. Of course he was also affected by Christianity`s idea of equality. What An Jung-Geun thought important in independence resistance activity was unity. This did not just come of by resistance to Japan`s imperialism. To him, unity was a order from God which means to solve the humanity`s problem together. Also, peace is what An Jung-Geun desired overall. Peace was the god`s thought to him and also the god`s command. That is why to reach heaven, he had to do something to bring peace to the world and that was his noble actions in Harbin. Moreover, for eternal peace he insisted on building united Banks, Army, and a united council which can execute mutual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cultures. He thought that his ``Orient peace theory`` can only exist and be maintained by the pope`s authority. He believed that if the pope guaranteed the united council, it could succeed. The fact that teachings of Christianity discuss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was inherent in An Jung-Geun`s act and his ideas means a lot when we evaluate An Jung-Geun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history. This means he was not just a developer of Korea`s christianity, but also a pioneer of the act of ``Second Vatican Council``. An Jung-Geun had already acted on the idea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years before it had taken place, which taught peace meant the act of justice and the fruitage of love. To him peace was the god`s attribute and An Jung-Geun`s center of religious beliefs. This is why he wrote East peace theory to change Japan, the country he hated. This is the reason which explains Gae Bong-u evaluated him as the ultimate of the benevolent spirit. We nationally have many problems with human rights and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it. Internationally there are wars happening and the hostility between the people and nation is worsening. In this perspective, we can evaluate ``East peace theory`` as the new ideological energy for our future. By this fact, An Jung-Geun`s religious thoughts must be highly appraised. An Jung-Geun himself wrote to his family and to priest Bilem "see you in heaven" in his will and he believed himself that he will end up in heaven when he died. Now is the time to focus on his shouting "I have lived to follow the orders of god for the peace of Korea and peace of Asia". "Just by praying to god isn`t enough to end up in heaven. Only those who work hard and follow his words will reach the doors of heaven. However, our holy father wants us all to recognize the holy Christ inside us, and love, show our love by actions on each other which proves the eternal truth and share the love and wonder with others." However, the Korean Christianity`s view of An Jung-Geun is that he is stuck just like the bishop Mutel`s perspective. You can see that evaluating him is not a simple matter, but really complex, just by viewing his opinion and ideas of Christianity and the ``East peace theory``. For this, I want to conclude my writing with the point out from priest Kim Sung-Tae: "I think it is time for the Korean Christianity to make an announcement about An Jung-Geun`s noble acts. Everyone must examine themselves on historic views just like when An Jung-Geun confessed himself before his death.

      • KCI등재

        안중근의거 전후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의

        신운용(Woon-Yong Shin) 한국보훈학회 2020 한국보훈논총 Vol.19 No.4

        하얼빈 한인사회의 형성은 동청철도의 부설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03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하얼빈에 철도노동자로 모여들기 시작하여 1907년 3월 하얼빈 총영사관의 설립과 더불어 일제는 하얼빈 한인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강봉주를 사주하여 한인회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김성백 등의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의 저항에 부딪쳐 1909년 5월 해체되었다. 하얼빈 한인의 민족운동은 미주와 블라디보스토크과 연동되어 있었다. 그 결과 1909년 9월 14일 공립협회 하얼빈지방회가 성립되었다. 하얼빈지방회는 함경도 출신의 30대 노동자가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하얼빈공립협회의 회장은 강봉주이었지만, 김성백 등의 민족투쟁가들이 그 활동을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공립협회가 국민회·대한인국민회로 확대 개편됨에 따라 공립협회 하얼빈지방회도 하얼빈국민회·하얼빈대한인국민회지부로 재편되었다. 한편,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은 민족운동의 지속과 한인의 단결을 위해 학교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었다. 그 결과 김성백 김성옥·김형재·탁공규 등이 중심이 되어 1909년 4월 18일(러시아력) 동흥학교 설립 신청을 하였다. 동흥학교를 유지하고 한인의 단결을 더욱 튼튼히 하기 위해 김성백 등 70여명의 하얼빈 민족투쟁가들이 1909년 9월 27일 한인회를 조직하였다. 1909년 1월 하얼빈 한인은 260여명이다. 이들은 의사 통역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담배말이 등의 단순노동에 종사하였다. 특히 이들 중 전문적으로 대일투쟁에 종사한 한인은 20여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하얼빈 한인사회의 중심인물로 김성백·김옥성·정대호를 들 수 있다. 유동하와 사돈관계인 김성백은 하얼빈의 여러 단체의 장으로 활약하였으며 동흥학교의 재정적 후원자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안중근 유족을 자신의 집에 머물게 하였다. 이처럼 그는 하얼빈의 대표적 민족투쟁가였다. 김성옥은 조도선 등의 한인을 자신의 집에 숙박시키는 등 한인 보호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그는 김성백과 함께 활동하면서 동흥학교를 후원하고 후학의 양성에도 자금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가쓰라 처단계획을 세운 혐의로 국내로 압송되기 하였다. 안중근과 진남포에서 가장 친하게 지낸 정대호는 안중근의 가족을 무사히 하얼빈까지 데리고 왔다. 그는 만주리국민회지방총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민족운동에 진력하였다. 1912년 김성옥 등과 함께 국내로 피체되었다. 이와 같이 하얼빈 한인들은 미주와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과 깊은 연관 속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음을 이 글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안중근과 그의 의거가 하얼빈 한인사회가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정신적 에너지가 되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The formation of the Harbin Korean community was a decisive factor of the construction of Dongcheong Railway. Since 1903, Korean community members have begun to flock into Harbin as a railway worker, and in March 1907,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late General of Harbin, Japan established a Korean-American society centered on Kang Bong-ju, a Japanese-American lead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anbin. However, it was disbanded in May 1909 in response to the protests of national activists such as Kim Sung-baek. Harbin Korean national movement was linked with those of America and Vladivostok. The result was a branch of Harbin Public Association on 14 September 1909.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mainly made up of workers in their 30s from Hamgyeong-do. The chairman of the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Kang Bong-ju, a single-minded proponent, but it seems that the activities were led by national activists such as Kim Sung-baek. As the public association was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the National Congress and the Korean People s Congress, Harbin Public Association was also reorganized into the Harbin National Congress and the Harbin Korean People s Association. Meanwhile, Harbin activists felt the necessity of school for the continuation of national movement and the unity of Koreans. As a result, Kim Sung-bak, Kim Sung-ok, Kim Hyung-jae, and Tak Kong-gyu applied for the establishment of Dongheung School on April 18, 1909. In order to maintain Dongheung School and strengthen Korean solidarity, more than 70 Harbin national activists including Kim Sung-baek organized Korean-American Association on September 27, 1909. In January 1909, there were about 260 Koreans, most of whom were engaged in simple labor such as cigarette rolling, except for a few interpreters and doctors.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20 Koreans who are professionally engaged in the fight against Japan. The main characters of the Harbin Korean community include Kim Seong-baek, Kim Ok-sung, and Jeong Dae-ho. Dong-ha Kim and Sung-baek Kim were the heads of several Harbin organizations and were the financial supporters of Dongheung School. In particular, he made his family stay in his house. Thus he was a representative national activist in Harbin. Kim Seong-ok was the leading figure in protecting Koreans, including staying with Koreans like Jo Do-sun at his home. He worked with Kim Sung-baek to support Dongheung School and spared no money to foster future students. He was deported to Korea on charges of the Katsura execution plan. Jeong Dae-ho, the closest friend of Ahn and Jinnampo, brought Ahn s family to Harbin. He was active in the national movement, serving as vice-president of the Manchurian National Assembly. In 1912, he was captured in Korea with Kim Sung-ok and others. Thus, it can be seen from this article that Harbin Koreans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in deep connection with Koreans in the US and Vladivostok.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Ahn Jung-geun and his heroic deed became the spiritual energy for the Harb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국권회복(1945년) 이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 및 그 의미

        신운용 ( Shin Woon Y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글쓴이는 이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학계와 일반인 일부의 폄하 논란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권회복 이후 민족주의 세력과 공산주의 세력의 평가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해방공간에서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였다. 학원 강사 설민석 등의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폄하는 공주산주의 세력의 주장에 큰 영향을 받은 한국의 이른바 진보적 역사학자들의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 이글에서 밝혔다. 공산주의 세력의 3.1혁명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은 “3.1혁명은 부르조아 민족주의의 최후 단계로 민중의 계급적 자각으로 공산주의 운동이 민족독립투쟁의 주류가 되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공산주의자들은 “이적행위자’ 또는 ‘인민배반자’라는 극단적 평가와 인식을 갖고 있으며, 임시정부에 대해서도 ‘반인민적 정부’라고 규정하였다. 이는 현재 북측 정권의 평가와 인식으로 이어졌고, 북한의 3.1혁명의 역사는 역사적 사실과 달리 김일성 일가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3.1혁명은 실패하였으며, 그 원인이 공산주의 세력과 김일성의 부재 때문이라는 것이 북한의 ‘움직일 수 없는’ 해석이다. 사실 한국근대 민족운동은 민족주의 세력·아나키스트 세력·공산주의 세력·종교 세력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주체들이 전개하였다. 이 점에서 북한의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기술은 근본적으로 역사 왜곡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북한의 3.1혁명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지수걸 등이 참여한 『3·1민족해방 운동연구』 에 그대로 반영되어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큰 원인이 되었다.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쳐 설민석과 같이 극단적으로 주장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minzok juuiist(민족주의) and communist forces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al rights in order to clarify the cause of the Undervaluation of the academic and ordinary people of the 33 representatives of the 3.1 Revolution. In the liberation space,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3.1 Revolution and the 33 representatives of the 3.1 Revolution appeared to face each other. the Undervaluation of the 33 representatives, such as Sul Min-Suk, is based on the so-called progressive historians of Korea who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claims of the Communist. The basic perception of the 3.1 revolution of the communist forces is that “the 3.1 revolution was the last stage of bourgeois nationalism and the communist movement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struggle as the people’s class awareness”. Even the evalu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sts against the 33 representatives were extensively assessed as acts benefiting the enemy” or “people traitor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대한민국임시정부) was also defined as a “government against the people.” This led to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present North Korean regime, and the history of the 3.1 Revolution of North Korea was reconstructed centering on the Kim Il Sung family, unlike the historical facts. In this perspective, the 3.1 revolution was a failure, and the North Korean interpretation was that the cause was the absence of communist forces and Kim Il Sung. In fact, various entities such as nationalist, anarchist, communist, and religious forces developed Korean modern national movement. In this regard, the description of the 3.1 Revolution and the 33 representatives in the DPRK is basically a history distortion.

      • KCI등재

        규원사화 연구성과와 과제

        신운용 ( Woon Yong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규원사화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25년 『단전요의(檀典要義)』가 간행되면서 부터이다. 항일전쟁기에 양주동 등이 비장하던 규원사화는 국권회복 이후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났다. 1968년 최초로 규원사화를 번역 출간하여 연구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신학균은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1970ㆍ80년대는 주로 번역서 중심으로 규원사화론이 확산되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이 김수일 소장본(1946년)이 진본임을 1972년에 판명한 것은 규원사화의 연구가 촉진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규원사화 연구사에 기록되어야 할 일대 사건이었다. 1977년 송찬식 등의 위서 주장도 있었지만 규원사화 연구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오히려 1981년 정영훈의 석사학위논문이 나오는 등80년대 전반기에는 규원사화 연구가 역사학을 넘어 종교학ㆍ국문학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1980년 중반 이후조인성을 필두로 ‘위서설’이 다시 등장하였고, 이에 이상시가 반격을가하는 연구양상이 전개되었다. 1990년대의 규원사화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박광용의 위서 주장으로 연구 열기는 한층 뜨거워졌다. 이에 대해 임승국ㆍ정영훈 등이적절하게 대응하였으며 연구 수준은 더욱 깊어졌다. 무엇보다 정영훈의 박사학위 논문과 심백섭의 석사학위 논문이 나오는 등 연구수준은 더욱 발전하였다. 이 무렵 정영훈은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를 내놓았다. 그 연구분야도 예술론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는 전 시대보다 정치.철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물론 이는 연구의 다양화라는 점에서 바람직한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의 특징은 위서설이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였지만 상대적으로 규원사화가 진서라는 연구성과와 인식의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이시기 시민단체와 학자들이 중국의 한국 상고사 왜곡에 대한 대항이론을 규원사화에서 찾고 있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 상고사 연구 방향에 대한 본질적비판이며 식민사관의 극복을 위한 필사의 노력에 따른 결과이었다. 유가의 입장에서 서술된 한국사는 더 이상 주류시각이 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이 시기 남북이 규원사화를 매개로 상고사 인식을 공유하였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2006년 남북학술대회는 이러한 가능성을 규원사화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하지만 더 이상남북의 공동연구가 진척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이 시기의 다른 특징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관계자들이 적극 참여는 등 연구자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여러 방면에서 규원사화를 연구한 결과에 따른 것이지만 이전시기보다 선사와 선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깊어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하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대과제로 선교사관의 정립이라는 대과제 아래 크게 대과제 소과제로 (1) 규원사화 속의 용어 대한 엄밀한 연구(2) 한국사상사 상의 규원사화의 위치 확립을 위한 노력 (3) 규원사화내용의 과학적인 논증방법 동원 (5) 신학ㆍ국문학ㆍ민속학ㆍ예술학등의 분야로 연구의 확산 (6) 규원사화 관련 논문에서 위서설의 기술은 이제 지양으로 압축할 수 있다. The present work aims to represent the significance of Kyuwonsawha, the historical manuscript written during the Joshon Kingdom period, on primordial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 The book was officially recognized being referenced in Danjonyo’i, in 1925. Also, the book was known by th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the movement against Japanese illegal occupation in Korea. The most recognized figure for the research at that time is Shin Hak-kyun. He translated the original work into modern language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could be settled down. Later, new academic atmosphere was widely spread in 1970-80s due to the previously translated work. It was also notable that Kyuwonsawha was recognized as the original publication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1972, which confirmed the ground for the further studies. From then on, a number of works on the book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that of Jeong Yeong-hoon, Lee Sang-si, Sim Baek-sop and anothers from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Brain Studies. There were some works being done doubting Kyuwonsawha as a forged book even after its confirmation as the original one. Even so,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lies in its contents and influence including indigenous Korean philosophy and history, i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without seeking ideation from external influence. It nurtured the ground for valuable studies and theories that could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not Confucius thoughts but Korean indigenous philosophy. It also generated the united basis for the historical studies of North and South Korea. Likewise, the book offers the common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clue uniting the two. Further works shall be done on Kyuwonsawha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Korean theology, arts, folkloristics and linguistic studies. Also, the terminology among the book needs to be assessed and the contents examined through logical reasoning. The hypotheses doubting the originality of the book shall be refrained.

      • KCI우수등재

        일제의 국외한인에 대한 사법권침탈과 안중근재판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사연구회 2009 한국사연구 Vol.146 No.-

        Regarding Ahn Jung-Geun trial, the historic background that he should be trialed by Japan, and the perspective internal and external Korean and Japanese execution maneuver have been mentioned. And those facts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 The exercise of Ahn Jung-Geun’s jurisdiction was conducted at least after the Russia-Japan war, when the Japan’s continuous maneuver to have absolute control over Korean jurisdiction hit its peak, not as Russia extradited him to Japan due to Ahn Jung-Geun’s worthy undertaking in Oct, 26, 1909. As a measure dominate overseas Korean jurisdiction, Japan abolished Korean overseas diplomatic machinery. Japan’s abolishment of Korean overseas diplomatic machinery which took place through 1905-1906, caused the problems regarding overseas Korean’s jurisdiction. Russia stated on The Far East Daily(遠東報)that overseas Korean’s jurisdiction would be given to Ch’ing, denying. Thereupon, Japan pressed Russia to acknowledge Korean’spursuant to Chosun-Ch’ing commercial treaty and in the end, Russia acknowledge Korea’sin May, 30, 1907. Such Japan’s pillage in Korean jurisdiction left a precedence that Japanese law applied in Korean jurisdiction in Kim Jae-dong and Seo Jae-GeunJapanese murder case. Such precedence influenced the Ahn Jung-Geun trial and provided the reason to apply Japanese domestic law in Ahn Jung-Geun trial. However, Japan insist that the reason the Japanese domestic law was applied to Kim Jae-dong and Seo Jae-Geun is for judicial convenience. Therefore, it implies that Japan acknowledged that application of Japanese domestic law in Ahn Jung-Geun case is in violation of its own domestic law. Furthermore, the decisive evidence that Ahn Jung-Geun trial was conducted violating both Japan’s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law is found in royal order 196 announced in Apr, 5, 1910. The royal order 196 states that under the Emperor structure, Japanese domestic law is applied to Korean and this indeed implies that application of Japanese domestic law in Korean trial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the royal order 196 violates the law. Japan concluded, of Ahn Jung-Geun after entire investigation. Although Ahn Jung-Geun was to be trialed on Japanese court pursuant to Japanese law, Japan minutely conducted plans to execute Ahn Jung-Geun. As a result of such maneuver, Ahn Jung-Geun was executed.

      • KCI등재

        경신참변과 대종교

        신운용(Shin, Woon-Yong)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7 No.-

        이글은 일제가 경신참변을 일으킨 과정과 실상을 대종교의 피해상황과 그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제는 3·1투쟁으로 고양된 반일민족투쟁 세력을 초토화하기 위해 1920년 「간도지방불령선인초토계획」에 따라 19사단과 20사단을 동원하여 간도한인사회를 초토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대한군정서를 중심으로 한 한인무력세력이 대일전쟁사에 최대의 승전으로 기록된 ‘청산리대첩’을 거두었다. 그러나 일제는 간도한인세력을 초토화시키는데 몰두하여 민간인에 대한 야만적인 학살행위를 자행하였다. 일제가 저지른 참상은 의병에 대한 야만적 진압을 시작으로 만보산 참상, 임오교변, 제암리교회 참상, 관동대지진 참상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 중 ‘경신참변’은 일본 정부가 주체가 되어 저지른 가장 ‘야민적’인 학살행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제 19사단 중 기무라지대는 대종교라는 종교적 신념에 따라 성립된, 간도무장세력 중 가장 강력한 대한군정서를 초토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무력조직이었다. 이는 대한군정서가 일제에 가장 위협적인 조직체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점에서 기무라지대가 대종교의 중심지 왕청현을 초토화시킨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9사단이 학살한 한인은 일제의 통계에 따르면 522명에 이른다고 한다. 그 중 일제는 기무라지대가 학살한 간도한인은 86~94명이라고 주장하였다. 무엇보다 「사상자인명일람표(조선인)」에서 30명 이상의 대한군정서 요원이 확인된다. 그러나 일제의 피해 통계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3,469명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이다. 사실 일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경신참변의 규모와 그 야만행위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앞으로 학계가 지속적으로 파해쳐야 할 분야이다. 대종교 측의 경신참변에 대한 인식은 『대종교중광육십년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는 대체로 (1) 피해상황정도와 대종교에 끼친 영향, (2) 경신참변과 대한군정서의 관계, (3) 중국당국과의 관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대종교 측은 경신참변의 비극을 되새기면서 경신참변이 대종교 성장과 항일민족투쟁에 비극적인 악영향을 끼쳤으며, 일제가 대종교인으로 이루어진 대한군정서를 가장 큰 위협으로 여겨 경신참변을 일으킨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중국당국과 대한군정서는 일정한 협력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장작림 정권은 일제에 적극 협력한 점에서 경신참변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facts of the large-scale massacre in 1920, called ‘Gyeongsin-chambyeon’(경신참변), caused by the Japanese army, focusing on the awareness of Daejonggyo on the large-scale massacre. the Japanese army mobilized the 19th Division and the 20th Di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The Project for the the large-scale massacre on korean in Gando Province” in order to suppress the anti-Japanese struggle forces raised by the 3.1 struggle. In this process, the Korean armed forces, won the ‘Cheongsan-ri great war’, which was recorded as the greatest victory in the korean war history agaist Japan. However,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engaged in brutal slaughter of civilians in Gando Province, devoting themselves to the destruction of the Korean armed forces. The devastation caused by the Japanese army began with the brutal suppression of the civilians. Among the 19 Japanese divisions, the Kimura-battalion was an armed organization which was created to destroy the most powerful Korean arm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beliefs of the Daejonggyo, among the the Korean armed forces. According to Japanese statistics, the number of Koreans killed by 19 divisions reached 522. Among them, the Japanese government insisted that there were 86-94 Koreans who were killed in the Kimura-battalion. Above all, more than 30 Korean military officers are identified in the Casualties List. However, the the number of deaths by the Japanese army are far below thos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3,469). In fact, the Japanese army seems to have carried out much more slaughter. There is still no comprehensive study of the size and the barbarism of the Gyeongsinchambyeon. This should continue to Reveal the facts in the future The awareness of the Daejonggyo side for the Gyeongsin-chambyeon can be seen in the “Daejongyo Sixty-Year History of the Daejonggyo(대종교60년사)”. The Daejongyo side reminded the Gyeongsin-chambyeon thad a tragic advers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Daejonggyo and the anti-Japanese national struggle, and interpreted it as the greatest threat to the growth of Daejonggyo.

      • KCI등재

        안중근유해의 조사.발굴 현황과 전망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6 No.-

        본고의 목적은 일제의 불법적인 안중근유해 매장, 유해에 대한 논의과정, 유해조사,발굴과정, 묘지의 위치에 대한 여러 가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유해발굴 방안과 향후 전망도 아울러 검토하는데 있다. 필자는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일제는 사형수의 유해를 가족이나 관계자에게 인도할 것을 감옥법으로 규정해놓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는 자국의 법률마저 어겨가면서 ‘공안상’이라는 정치적 이유를 들어 유해의 인도를 거부하고 여순감옥 묘지에 그의 주검을 묻었다. 이는 유언대로 그를 하얼빈에 묻었다가는 그의 묘가 독립운동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일제의 두려움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엇보다 유해를 유족에게 넘겨주지 않은 것은 재판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는 역사적 진실에서 보건대 국제법과 자국의 법률조차 어긴 불법을 넘어 반인륜적 범죄행위였던 것이다.유해를 찾기 위한 우리들의 노력은 1948년 김구 이후 끝임 없이 계속되었다.무엇보다도 유해봉환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건은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일본 관료의 망언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독립기념관의 건립이었다. 독립기념관 건립을 주도한 인사들은 안중근의 유해 봉환을 그 건립의 주요한 명분으로 내세웠고 봉환을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경주하였다.그러나 중국과 수교가 없는 상황에서 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유해봉환의 가능성은 88올림픽이후 1992년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고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유해문제는「안의사유해봉환 및 환국추진 위원회」,「안의사 유해봉환위원회」,그리고「안중근의사묘역추정위원회」가 주도하였다. 그런데 안중근의 묘지에 대한 설은 대체로 (1) 동산파(東山坡)설. (2) 이마이 후사코(今井房子)설, (3) 신현만설, (4) 이국성설, (5) 김파설, (6) 고가 하츠이치(古賀初一)설, (7) 유병호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을 검토한결과 안중근묘지는 여순감옥 옆의 동산파(東山坡)일대에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렇다면 안중근의 유해는 영원히 사라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해봉환을 추진했던 관계당국은 종합적 검토를 등한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음에도 이마이가 제공한 사진과 증언에 근거한 일부의 주장에만 전적으로 의지해 2008년 발굴에 착수하여 혈세만 낭비하고서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민족의 염원인 유해발굴은 동양의 미래이라는 거시적 시각을 갖고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안중근의사 유해 조사,발굴송환 위원회》를 정부기관 또는 남북, 중일의 공동조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는 안중근의 유해발굴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동양평화’를 구현하라는 유언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whereabouts of a Korean independence fighter An Jung-geun's remains I have tried to focus on the illegal burial of his remains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the history of excavation, the main hypothesis of the whereabouts of his remains and so on. I’d like to conclude this paper as follows. Japanese officials in Lushun prison in the Liaoning province of China had not given his dead body to his family a century ago. it is against her law, even though international laws. it is a reflection of their fear made by the dead body. We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bring his remains back home after Kim koo's visit to north korea in 1948. but it was impossible to find out his body without diplomatic ties with china. we tried to bring his remains back home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in 1992. after that few communities for Ahn'remains have acted to bring his remains back home By the way the main hypothesis of the whereabouts of his remains consist of (1) the hypothesis of Dongsanfa(東山坡). (2) the hypothesis of imai husako, (3) the hypothesis of Shin hyun-man, (4) the hypothesis of Lee Kook-Sung, (5) the hypothesis of Kim Pa, (6)the hypothesis of Koga Hathuichi, (7) Yoo Byung-Ho. though my review of it, I think that his remains have been buried around the Dongsanfa(東山坡). if it is true, we can not find out his remains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a massive apartment complex at the same location.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d carried out the excavation on the uncredible hypothesis Choi Soe-Myon had made up. eventually nothing was found our government had spent a lot of money for it in vain, but the Ministry did not take her responsibility for it. It is quite regrettable and embarrassing that we still have not located Ahn's remains. We have to do our best to bring his body back home With cooperation from Japan and China for the future.

      • KCI등재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과 풍류의 발현

        신운용 ( Woon Yong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이 글의 목적은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이 어디인지, 「난랑비서」의 접화군생이 어떤 의미인지를 진흥왕 37년조의 화랑에 대한 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아울러 난랑은 어떠한 인물인지를 경문왕과 효종랑을 예로 들어 밝히려고 한다. 최치원의 사상은 주로 유불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특히 유교를 중심으로 유불도를 회통한 인물이라는 것이 학계의 대체적인 평가이다. 최치원은 난랑비서문에서 “신라에 풍류라는 현묘한 도가 있는 데 이 도는 선사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그 핵심은 삼교를 아우르는 접화군생(接化群生)에 있다”고 하여 자신의 사상적 종착점이 풍류임을 선언하였다. 여기에서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풍류사상은 동인의식에 의해 강력히 추진되었던 것이다. 이 점에서 그가 언급한 유불도에 대한 연구는 그의 사상적 편력을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그의 사상적 지향점을 밝히기에 역부족이다. 그렇다면 그가 자신의 사상적 종착점인 풍류를 현묘지도라고 설명한 근거인 접화군생은 어떤 의미이고 그 내용을 무엇일까? 이는 풍류의 본질을 밝히는 데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대한 글쓴이의 생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우선 접화군생에 이르는 과정은 세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단계는 ``유오산수(遊娛山水)``·``무원부지(無遠不至)``하면서 ``상열이가악 (相悅以歌樂)``을 베푸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화랑들이 전국시찰 과정에서 백성들과 더불어 가악을 펼치면서 민심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 단계는 상마이도의(相磨以道義)로 전 단계에서 파악된 ‘민심이라는 도의(道義)’를 서로 닦고 실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 단계는 지기인사정(知其人邪正)이다. 이는 ‘상마이도의’의 결과로 백성들이 화랑들의 도의를 실천한 과정과 결과를 보고서 국왕을 비롯한 화랑 등의 지도세력의 사람됨(옳고 그름)과 정치의 선악을 판단하여 지도자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무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그들에게 사람답게 살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또는 “무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그들을 가르치고 살리는 것”으로 정의되는 접화군생은 민심이라는 도의가 유오산수·무원부지·상열이가악, 상마이도의, 지기인사정의 과정을 통하여 구현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난랑비서」의 작성연대를 밝히는 일은 최치원의 사상이 풍류로 귀착된 시점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밝혀야 할 과제이다. 그가 난랑비서를 쓴 시점은 신라의 전통문화에 강렬한 자부심을 드러냈던 진성여왕대로 파악된다. 난랑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는 「난랑비서」가 진성여왕대에 완성되었다면 경문왕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는 것으로 정리된다. 진성여 왕대는 ‘효’를 정치이념으로 내세운 화랑이 주요정치세력으로 등장하던 시기였다. 이들은 삼대목을 편찬하는 등 신라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역사의 전면에 내세웠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난랑이라는 인물이 주목을 받았을 것이다. 특히 풍류를 크게 진작시킨 인물이 바로 경문왕이라는 최치원의 지적은 대단히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유교를 보편성이라는 입장에서 파악하면서 풍류를 특수성이라는 시각으로 본 기왕의 연구는 풍류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결과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보편성은 진리에 닿아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풍류는 진리의 구현 그 자체이고 보편임이 분명하다. 때문에 최치원은 풍류를 ``현묘지도’로 표현하였고 그 핵심을 ``접화군생’ 이라고 단언했던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맥락에서 그가 유불도를 풍류의 하위개념으로 본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풍류는 경문왕대와 진성여왕대에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경문왕의 ``겸손’·``근검절약``·``절제된 권력행사’는 접화군생 실현을 위한 정치사상이었다. 이는 향가의 편찬으로 구체화 되었던 것이다. 진성여왕대에는 효종랑을 중심으로 하는 화랑세력이 ``효’를 정치사상으로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진성여왕은 ``효사상’을 국제화 시키는데 앞장섰던 인물로 평가된다. 이처럼 풍류사상이 부각되던 진성여왕대의 향가집 삼대목 편찬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최치원이 왕건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기왕의 연구에서 부정되고 있다. 하지만 풍류의 핵심인 접화군생이 구현되지 않는 상황에서 그가 왕건과 같은 새로운 세력이 접화군생이 구현된 인향의 부활을 열망한 것은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인다. 풍류사상이 진성여왕 이후 신라에서는 구현되지 않았지만 고려의 팔관회와 선랑제도로 명맥을 이어갔다. 그리고 풍류는 고려말 단군에 대한 인식이 깊어지는 여말선초, 임진왜란 이후, 조선말의 동학과 대종교 출현으로 이어져 한민족의 사상적 에너지가 되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re Choi Chi Won, the great philosopher of Shilla, destined his ideology, how he described the concept of Chopwhakunsang(接化群生) by writing Nanrangbisomun(words on the tombstone of Nanrang), and to predict who Nanrang was by taking examples of King Kyongmun and Hyojongrang and looking over the articles about Hwarang at the time of King JinHeung. About the matter of who Choi Chi Won was,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impact, it has only been discussed based on the early stage of his study on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Nanrangbiso, however, contains his supreme understanding which is described as Poongryu(風 流). He wrote: “there is mysterious fundamental principle that I declare Poongryu. It is also observed in prehistoric times, whose pivotal point turns out to be Chophwakunsang”. In other words, his study on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worked as the mere stage for Poongryu. It is an important matter of elaborating the essence of Poongryu. It is showed as three stages as following: firstly, it is the process of Yu-o-san-su (遊娛山水), Muwonbuji(無遠不至), and Sangyol-i-ga-ak(相悅以歌樂). It is understood that hwarang, the crack unit of Shilla, had time to communicate with people to share public sentiment during their inspection all over the nation. Also, Hyang-ga(native songs) is understood as political and religious devices to keep the nation harmonious. Sang-ma-i-do-ui (相磨以道義), as next, worked as practicing policies for their understood public sentiments. Finally, Ji-gi-in-sa-jong (知其人邪正)means they would choose a leader who well performed the tasks and apprehended the people during the whole process. Thus, Chophwakunsang is about how well apply what people of Shilla needed into national projects and finally reach perfection through the process of Yu-o-san-su, Muwonbuji, sagyol-i-ga-ak, Sang-ma-i-do-ui, and Jigi-in-sa-jong. It is thought the only way to know the time when Choi Chi Won went to meet the concept of Poongryu by revealing the time he finished Nanrangbiso. It is assumable that he might finish it at the time of Queen Jinsong, when he was full of pride about his mother country, Shilla.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Nanrang might be King Kyongmun if it is written at the time of Queen Jinsong. ``Hwarang`s were politically empowered based on the ideology ``Hyo(respection for the elderly and parents)``. They propagated the traditional culture of Shilla and its value with the publication of SamDaeMok(the book of Hyang-ga) and so on. Nangrang might be received attention for meeting demands of the time. In the same vein, it is meaningful that Choi Chi Won considered King Kyongmun as the figure who developed the ideology ``Poongryu``. Misunderstanding shown among pre-existing studies considers Poongryu as distinct characteristics lacking universality and, therefore, misses the essence. Still, Poongryu is explained as the eternal truth by Choi Chi Won. In this context he made it clear that Poongryu is about mysterious universe-moving force whose essence is Chophwakunsang(harmony). It is how he view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be the subordinate conception for Poongryu. Poongryu had been fully adapted to the value of society at the time of King Kyongmun and Queen Jinsong; ``moderation``, ``thriftness``, and ``modesity`` were the policies of King Kyonmun to realize Chophwakunsang, which was specified such as the publication of Hyang-ga. Hwarangs at the time of Queen JinSong, with the leader ``Hyojongrang``, propagated ``Hyo`` ideology. Queen Jinsong is known as the figure who tried to generalize ``Hyo``.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queen, the publication of Samdaemok, the book of hyang-ga, was inevitable. The pre-existing studies denied the relations between Choi Chi Won and Wang Gon. However, it is no wonder that he supported Wang Gon based on his ideology and longed for new era where Chophwakunsang is realized. Poongryu had been hardly acknowledged after Queen Jinsong, yet it kept alive through Koryo period with political devices such as Pal-kwan-hoi and Son-rang system. As studied above, Poongryu has been working as the essential power to keep Korean spirit through the time of Shilla and Koryo, the Imjin war, and at the end of Choson, appeared as Donghak and Dajonggyo.

      • KCI등재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사업 전개와 그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필자는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이는 안중근의 사상의 현재화 또는 미래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 사업 전개와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국권회복 이전 뮈텔 주교를 필두로 한 한국가톨릭계의 주류세력은 안중근의거를 살인행위로 규정하였다. 물론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드망즈 신부 등 안중근의거를 적극 옹호한 세력도 존재하였다. 하지만 계봉우와 같이 안중근을 성인의 반열로 올린 가톨릭인사는 보이지 않았다. 항일전쟁기 한국가톨릭계는 부정적인 안중근인식이 강하였다. 일제로부터 벗어난 이후 안중근을 건국의 이념적 지표로 삼고자 한 가톨릭 신자 박강성과 같은이도 있었다. 하지만 가톨릭계는 1970년대까지 노기남 대주교가 안중근 추도 미사를 거행한 일도 있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안중근관계자료의 발굴과 출간, 한국의 경제발전, 민주화의 진전과 더불어 매우 느린 속도로 바뀌어갔다. 특히 한국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사제단 소속의 신부들이 중심이 되어 지속적인 안중근 추모행사와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사제단은 교단의 인식보다 늘 한발 앞서서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의 중심으로 세우려고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남북분단이라는 현실을 극복하고 통일을 열 에너지원으로 안중근의 사상에 착목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에너지원을 안중근에게서 얻었다. 이들의 활동은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의 조직과 안중근평화연구원의 창립으로 이어졌다. 이는 안중근을 추모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민족발전의 사상적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국가발전 전망과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사의 가장 위대한 ‘순교자’로받들어 가톨릭의 미래비젼으로 삼겠다는 원대한 포부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교단의 안중근인식은 느리지만 지속적인 변모의 양상으로 보였다. 특히 1993년 김수환 추기경의 고백은 가톨릭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안중근을 순교자로 볼 수 없다”, “안중근의거 때문에 일제의 한국병탄이 앞당겨졌다”, “안중근이 천주교신자였습니까”라는 주장이 거침없이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2009년 의거 100주년과 2010년 순국 100주년을 기하여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에 커다란 변화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염수정 주교는 “안중근의 시복시성을 추진하겠다”는 선언을 하였다. 하지만 국권이 회복된 지 66년이 지난 지금까지 분명하지 못하고 더딘 안중근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가톨릭계의 현실을 본다면 시복성문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is about the history of An Jung-Geun Memorial affairs by Korean Catholic church and its meaning on the basis that we cannot establish An's commemoration and realization of his thoughts apart from the Korean Catholic's recognition on An Jung Guen. it concludes: There had been two sect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 An's patriotic deed. One is the major faction in church led by Bishop Mutel who didn't see An's commitment as more than a murder. The other hardly revealed one with Father Demange Florian had valued An's deed as an honorable one; None of them but Ke Bong-Woo the Korean Christian scholar were willing to saint An Jung-Geun. Korean Catholic Church have had a tendency showing a strong negative view on An Jung-Gu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There still was one catholic Park Gang-Seong trying to take An Jung-Geun as the spirit of the national foundation right after Korean being free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Catholic Church hadn't made much difference other than Archbishop No Ki Mam's holding annual memorial mass for An Jung-Geun till 1970s. This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en slowly changing its viewpoint with the find of An's historical records and its publication,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democratization; 'Korean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leading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takes center to continuously hold the memorial service for An Jung Guen and annual academic conference on his thought. They have struggled to make An Jung-Geun’s stand on the co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priests from the Association look back An Jung-Geun and certainly find him to be the spirit and the concreteness to reunite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 movement of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finally came up with organizing An Jung-Geun memorial conference and the foundation of An Jung-Geun Academic Institute for Peace. They have the great ambition and strong willingness to commemorate An Jung-Geun and let him to spread his theological driving force to help na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respect him to be 'the greatest martyr'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admire him as inspirational leader for the future. To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the church has gradually changed the viewpoint on An Jung-Geun. In 1993, Cardinal Kim Soo-Hwan's comment on An Jung-Geun reatly shocked Korean Catholic Church; it was paradoxically showing their indifference to An at a glance. Therefore the unconcerned priests produced the claims: "An Jung-Geun cannot be the martyred", "He is the one putting forward Japanese illegal occupation in Korea" or "An Jung-Geun, a catholic?" Some great variations came up right before and after the 100years anniversary of An's martyr and his patriotic deed. Bishop Yem Su-Jeong made an announcement that the church will soon come to have An Jung-Geun canonized and saint him. It seems to take time though considering the present Korean Catholic church's little understanding about him even though now it has been 66 years since being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