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지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2예 보고)

        김상우,서재희,신승명,조범근,Kim, Sang Woo,Suh, Jae Hee,Shin, Seung Myeong,Cho, Bum Ke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1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BPOP) is an rare benign tumor which involve mostly tubular bones of feet and hand. BPOP has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 similarities with osteochondroma.Radiologically, BPOP has not central continuity with underlying osseous medulla. Histologically, the lesion has marked proliferative activity, and enlarged, bizzare, and binucleated chondrocytes.Despite the high risk of recurrence, treatment of choice is surgical resection.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BPOP of the big toe with reviews of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

        고상훈(Sang-Hun Ko),신승명(Seung-Myeong Shin),최영진(Young-Jin Choi),차재룡(Jae-Ryong Cha),박한창(Han-Chang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은 여러 가지 봉합술이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새로운 봉합법인 UU 봉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UU 봉합술을 시행한 156명 (남자: 88명, 여자: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5세 (38~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2개월 (6~23개월)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6개월, 1년과 최종 추시에 시행한 ASES 점수 중 통증에 대한 VAS, 기능에 대한 일상 (ADL), UCLA 점수 및 KSS 점수로 평가하였다. 추시 기간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는 환자에 한하여 MRI를 시행하여 재파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통증 지표인 VAS는 술 전 평균 7.0에서 술 후 평균 2.7로 감소하였다 (p<0.05). UCLA 및 KSS score는 각각 22.2에서 32.5로, 83.7에서 91.5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이 평균 125도에서 175도, 측방 외 회전이 평균 38도에서 58도, 외전이 평균 104도에서 169도로 향상되었다. 전체 환자 156예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여 시행한 117예 (75%) 중 재파열은 총 4예 (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로 UU 봉합법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파열을 보이는 방법이다. Purpose: There are various known methods fo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report on the clinical results and anatomical results of UU repair surgery, which is a new repair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156 patients (88 men and 68 women) who underwent UU repair for rotator cuff tears from January 2009 to May 2010 in our hospital. Their average age was 55 years old (range: 38~75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range: 6~23 months). For determining the results, we evaluated the VAS for pain, the daily living index (ADL) in the ASES scores, the UCLA and KSS scores, and all these test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hospital visit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and at the final follow-up. During the follow-up period, MRI was performed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only in the patients who consented to MRI scans to confirm the presence of re-rupture.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the VAS as a pain indicator decreased from 7.0 before surgery to 2.7 after surgery (p<0.05). The UCLA and KSS scores increased from 22.2 to 32.5 and from 83.7 to 91.5, and the changes was significant (p<0.05). For the active joint range of motion, the average forward flexion was improved from 125 to 175 degrees, the average lateral external rotation was improved from 38 to 58 degrees, and the average abduction was improved from 104 to 169 degrees. Out of a total of 156 patients, re-rupture was observed in 4 cases (3%) of 117 cases (75%) for which MRI was performed (with consent) between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 UU repair surgery as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 is a good repair method that shows excellent clinical results and a low re-rupture rate.

      • KCI등재

        큰 크기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고상훈(Sang-Hun Ko),이채칠(Chae-Chil Lee),신승명(Seung-Myeong Shin),김상우(Sang Woo Kim),조범근(Bum-Keun Cho)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 대해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 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에 대한 추시 결과와 유효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11년 10월까지 큰 크기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대결절의 내연까지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하였던 71예의 환자를 1군으로, 단순 봉합법을 시행하였던 20예를 2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술 전과 7개월, 1년, 최종 추시 VAS of pain, ASES 점수의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인 검정은 양군간에 student t-test와 수술 전후에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63.2 (52~80)세 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8.4(13~62)개월 이었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에서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8.1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6로 감소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6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8로 감소하였다 (p<0.05). 두 군 간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평균 ADL은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5에서 술 후 최종 추시 평균 29.0으로 증가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평균 11.3에서 27.5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UCLA 점수는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9에서 술 후 최종 추시 28.7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8에서 술 후 최종 추시 30.1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술 후 평균 27.5주째에 촬영한 MRI (20예)와 초음파 (51예)를 이용한 재 파열의 비교에서 1군에서 28%, 2군에서는 20예중 11예에서 재 파열이 있어서 두 군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은 단순 봉합법을 이용한 봉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재파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f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bove 4 cm siz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October 2011, in 71 full thickness tears above 4 cm sized which is possible to arthroscopic repair to medial margin of greater tuberosity. The group I is 71 patients which is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and the group II is 20 cases which is arthroscopic repair with simple suture.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a VAS score for pain,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score, KSS score in pre operation, 7 months, 1 year and last follow-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tudent t test and paired t est. Mean age was 63.2 (52~80) year old, mean follow-up was 38.4 (13~62) months. Results: The VAS scores for pain decreased from 8.1 at preoperative period to 1.6 at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decreased from 7.6 at preoperative period to 1.8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Mean ADL scores increased from 12.5 at preoperative period to 29.0 post 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increased from 11.3 in pre op to 27.5 post-operative last follow-up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The UCLA score increased from 12.9 at preoperative period to 28.7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 (p<0.05), the score increased from 13.8 at preoperative period to 30.1 postoperative last follow-up period in group II (p<0.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In comparing of retear which was checked by MRI and ultrasound evaluated at postoperative period 7 months (mean: 27.5 weeks), the retears were 28% in the group I, and 11 shoulders out of 20 shoulders in the group II.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with UU-Tension Band suture and simple suture f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bove 4 cm sized were not different clinical result between both groups.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point of failure rate between both groups.

      • KCI등재

        유경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

        고상훈(Sang-Hun Ko),전형민(Hyung-Min Jeon),신승명(Seung-Myeong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저자들은 관절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고식적인 관절 절개술이 아닌 관절경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내 고정한 증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66세의 남자로 좌측 견관절의 쇄골 골절 및 관절와의 전위된 횡 골절 및 견갑골 골절이 있는 환자였으며 관절경을 이용하여 골절을 정복하고 유경나사로 내 고정 하였다. 결과: 술 후 9개월 째 좌측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완전히 회복 되었으며 환자는 일상 생활에 불편감이 거의 없었다. 술 후 12개월째 전신 마취 하 내 고정물의 제거 술을 시행 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은 고식적인 수술보다 적은 통증, 적은 출혈량, 술 후 입원기간의 단축 및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고 술 후 견관절 운동 범위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임상적 평가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authors used arthroscopy-assisted percutaneous reduction and cannulated screw fixation rather? than conventional arthrotomy for displaced glenoid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arthroscopy assisted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for a 66 year old man who had a clavicle fracture, a displaced glenoid fracture and a scapula fracture. Results: At 9 month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had recovered full range of motion and was not inconvenienced by the surgery. Removal of the implant was done 12 months post-operatively under general anesthesia. Conclusion: The advantages of arthroscopy-assisted percutaneous screw fixation are less pain and less bleeding, shorter hospital stay and earlier rehabilitation. Arthroscopic percutaneous screw fixation for a displaced glenoid fracture seems to be a good alternative treatment method.

      • KCI등재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Hill-sachs 병변의 관절경적 Remplissage

        고상훈(Sang-Hun Ko),정광환(Kwang-Hwan Jung),신승명(Seung-Myeong Shin),박한창(Han-Chang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저자들은 Remplissage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본원에서‘Remplissage’술기를 시행하였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7.9세였으며 모두 남성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술 전, 후 평가는 견관절의 운동 범위, ASES 점수, KSSI 점수, ROWE 점수, 술 후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포함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16개월에 견관절 기능적 평가에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0.8점에서 술 후 평균 78.3점으로, KSSI 점수는 술 전 평균 44.5점에서 술 후 평균 81.0점으로, ROWE 점수는 술 전 평균 40.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향상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방 거상 평균 178.6±18.6 (165~180)도, 외회전은 평균 49.3±10 (43~60)도로 나타났다.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결과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minimal 1 year follow-up results (shoulder stability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s) for the Remplissage technique to fill a Hill-Sachs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2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after the “Remplissage” procedures in our hospital from December 2008 to November 2009. Their mean age was 27.9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was 19 months.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ROM, the ASES score, the KSSI score, the ROWE score and postoperative MRI. Results: On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evaluation after an average of 16 months, the ASES score improved from 50.8 preoperatively to 78.3 postoperatively, the KSSI score improved form 44.5 preoperatively to 81.0 postoperatively and the ROWE score improved from 40.2 preoperatively to 84.3 postoperatively. After an average 14 months for all the cases, the range of movement was nearly in the normal range, which is 178.6±18.6 (165~180) degrees for forward flexion and 49.3±10 (43~60) degrees for external rotation. Conclusion: For recurrent shoulder instability with a large Hill-Sachs lesion, the Remplissage technique has a good outcome after more than 1 year follow-up in terms of the shoulder stability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s.

      • KCI등재

        축구 선수에게 발생한 제5 중족골 근위부 골절

        김상우 ( Sang Woo Kim ),조성도 ( Sung Do Cho ),염윤석 ( Yoon Seok Youm ),박기봉 ( Ki Bong Park ),신승명 ( Seung Myeong Shin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lower limb varus and fracture of proximal 5th metatarsal bone occurred to soccer players and 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Twenty soccer players (21 cases) were included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is 20.7 years. The average of follow up is 25 months. Fifteen cases were treated with intramedullary screw and 6 cases by conservative method. Union time, time of returning to exercise, lower extremity varu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In surgically treated group, the 14 cases gained radiological union in 7 weeks and the average time of returning to exercise was 3.4 months. In conservatively treated group, the 4 cases gained radiological union in 11 weeks and the average time of returning to exercise was 4.5 months. Radiological lower limb varus was observed in 17 cases. Lower limb varus may be one of predisposing factors to developing the fracture of proximal 5th metatarsal bone. And the surgical treatment was recommended than conservative treatment for better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후방 십자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엄윤석 ( Yoon Seok Youm ),조성도 ( Sung Do Cho ),정지영 ( Ji Young Jeong ),전형민 ( Hyung Min Jeon ),신승명 ( Seung Myeong Shi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PS ADVANCE(R) MPK (1군)와 Nexgen(R) LPS (2군)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2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군 48명 70예와 2군 45명 67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후 운동범위,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 대퇴경골간 내외반 변형 및 술 후 합병증에 관해 알아보았다. 결과: 슬관절 운동범위는 제 1군에서 술 전 평균 굴곡구축 6.3o, 후속굴곡 116.4o에서 술후 1.9o, 120.5o로, 제 2군에서 각각 술 전 12.6o, 117.6o에서 술 후 0.9o, 123.0o로 향상되었다.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제 1군에서 각각 46점, 37점에서 87점, 83점으로, 제 2군에서 각각 50점, 48점에서 87점, 83점으로 호전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제 1군에서 평균 내반 4.0o에서 외반 5.5o로, 제 2군에서 내반 4.1o에서 외반 5.3o로 개선되었다. 합병증으로 1군에서 슬개 치환물 주변의 슬개골 골절 2예(2.8%)와 경골 치환물의 실패 1예 (1.4%)가 있었으며, 2군에서 대퇴골 치환물의 조기 실패 1예(1.5%)와 관절섬유증 1예(1.5%)가 있었다. 결론: PS MPK 슬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2년 이상의 추시 결과 Nexgen(R) LPS와 유사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대퇴부의 골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치환물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the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 and the Nexgen(R) LP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knees in 48 patients after TKA with the PS ADVANCE(R) MPK (group I) and 67 knees in 45 patients with the Nexgen(R) LPS (group II)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the Knee Society (KS) scores, the tibiofemoral angle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For group I, the ROM increased from a mean flexion contracture of 6.3o and further flexion of 116.4o to 1.9o and 120.5o,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12.6o and 117.6o to 0.9o and 123.0o, respectively. For group I, the KS knee and function scores increased from 46 and 37 to 87 and 83,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50 and 48 to 87 and 83, respectively. For group I,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varus 4.0o to valgus 5.5o,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varus 4.1o to valgus 5.3o,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s were 2 knees (2.8%) with periprosthetic patellar fractures and 1 knee (1.4%) with a tibial component failure in group I, and 1 knee (1.5%) with early femoral component failure and 1 knee with arthrofibrosis (1.5%) in group II. Conclusion: The minimum 2-year follow-up results of PS MPK TKA were comparable to those of Nexgen(R) LPS TKA. However, we think that the MPK system has the advantage of more bony preservation at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area.

      • KCI등재

        상부 견갑하 건 완전파열의 관절경 하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의 전향적 비교

        고상훈(Sang-Hun Ko),차재룡(Jae-Ryong Cha),이채칠(Chae-Chil Lee),박한창(Han-Chang Park),신승명(Seung-Myeong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 부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을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 상부의 완전 파열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을 시행한 69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3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UCLA 와 ASES 중 일상생활지수 (ADL)과 통증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1군과 2군 모두 UCLA, ASES score, ASES score 중 통증에 대한 VAS 점수, 5점을 만점으로 한 내 회전 근력평가평가에서 술 전 보다 술 후 결과가 향상되었다. 1군과 2군의 비교에서 술 후 UCLA 및 VAS 점수는 p>0.05로 차이가 없었고, ASES점수 및 내 회전 근력에 대한 평가는 p<0.05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상부 완전파열 시 견갑하근 봉합술은 단순 변연절제술보다 좋은 치료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from arthroscopic repair versus debridement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Ninety-nine patient outcom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prospectively. Sixty-nine patients with full-thickness tears of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group I) and thirty patients underwent simple debridement (group II) between May 2003 and October 2007. In all patients, the tear was localized to the superior one third of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were assessed by evaluating the UCLA, ASES, and VAS for pain and internal rotation strength scor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Results: In groups I and II, UCLA, ASES, VAS, and internal rotation muscle power (perfect score = 5) score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In comparing group I and group II, the UCLA and VA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ile the ASES and internal rotation strength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 The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tears of the upper subscapularis tendon was a better surgical method than simple debrid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