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병사의 따돌림 피해와 욕구좌절의 관계

        신소홍(Shin, So-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군 병사의 따돌림 피해와 욕구좌절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육군 병사 3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따돌림의 평균점수는 2.23점, 사회적지지의 평균점수는 3.60점, 욕구좌 절의 평균점수는 2.75점이었다. 따돌림과 사회적지지, 욕구좌절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돌림의 하위변인 모두 에서 욕구좌절에 p<.05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은 심리적괴롭힘(β=.340), 인간관계따돌림(β =.149), 직무따돌림(β=.130) 순이었다.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정에서 따돌림×사회적지지 하위변인 상호작용 항 모두에서 욕구좌절에 p<.01에서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따돌림×구성원지지(β=.456) 상호작용 항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 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따돌림 피해를 인식하는 병사들을 위해 상사나 동료들의 적극적 지지가 이루어질 때 무형적 전력 확보와 구성원 간 단결이 담보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316 soldiers in the South Korean Army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bullying and frustration. Bullying, social support, and frustration showed average scores of 2.23, 3.60, and 2.75 points,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ullying, social support, and frustration. All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bullying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frustration (p<.05), with psychological harassment showing the greatest impact (β=.340), followed by bully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149) and bullying at work (β=.130). In all the interaction items of the subordinate variable bullying × social support, bully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rustration at p<.01, while the highest impact was shown in the interaction item of bullying × member support (β=.456). The results imply that intangible combat power and solidarity among soldiers can be guaranteed only when superiors and peers provide full support for soldiers who are victims of bully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신소홍(Shin, So-Ho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suffered by college nursing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Methods: For this survey, 257 students (1st and 2nd year) participated, and it was performed over two weeks in September 2014.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for Windows and as a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epression (β=.279).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which is presumably as a result of there being more complex, nonlinear effects, rather than a simpl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resilience. Conclusion: It may be incorrect to assume that academic resilience is a moderating variable that lessens academic stress. It is implied that academic resilienc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when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conditions are met, and that the effects can be reinforced when family support, a learning environment, and improved adaptability to life at school are also provided.

      • KCI등재

        간호대학생들의 부모 성취압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분화의 조절효과

        신소홍(Shin, So-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자기분화가 이들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북지역 소재 2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1,2학년 257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5월 19일부터 5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간호학과 지원동기가 성적에 맞추거나 주위의 권유일 경우와 학교생활이나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성취압력은 가족 투사와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성을, 가족퇴행은 학업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부모의 성취압력(β=.111, p<0.05)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미하여,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 정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기분화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저학년이며, 높은 가족투사, 가족퇴행현상 으로 인해 기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록 조절효과가 기각되었지만 대학생들이 가족들과 적절한 분화가 되었을 때 자기분 화가 독립적인 개체로서 학업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배려는 간호대학생 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influence from academic stress caused by the achievement pressure of their parents and the adjustment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57 students from the 19th of May, 2014 to the 30th of May, 2014 for freshmen and sophomores of a college in the Kyoungbook region to validate the study. The SPSS/PC 18.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more less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caused by the achievement pressure((β=.111, p<0.05) of their parents but there was no reasonable value in validating the adjustment effect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by self-differentiation, i.e., it should be a non-linear and complex effect rather than a simple linear relationship for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

        신소홍(So-Hong Shin),김유정(You-Jeong Kim),김창태(Chang-T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이 연구는 중소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감성지능, 심리적복지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 상관성 파악과 심리적복지감 영향요인 예측,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6년 12월 17일부터 2017년 1월 8일까지 336명의 자료가 편의 표집 되었다. 연구결과, 우울의 평균은 1.55점으로 보통수준을 보였으며, 감성지능은 3.05점, 심리적 복지감은 3.51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감성지능과 심리적복지감에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감성지능은 심리적복지감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으로는 수면시간(β=.111), 근무부서(β=.236), 우울(β=-.245)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검정에서 우울×감성조절(β=.527)과 우울×감성활용(β=.167)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복지감에는 근무부서와 우울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예측되었으며, 감성지능은 부분적인 조절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완화와 감성지능 향상은 간호사 개인의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병원조직 활성화에 매우 긍정적인 대처요인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복지감 향상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과 우울완화를 위한 중재방안이 요구된다. This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depress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nurses employed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s, as well 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of these variables, predict factors influencing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inally,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336 nurses employed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ample was taken from December 17, 2016 to January 8, 2017. The results that the nurses showed an average level of depression with amean score of 1.55 points, while their mean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bove average (3.05 and 3.51 scores, respectively). Depression exhibited negative (-) correlation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found to include sleep hours (β=0.111), working department (β=0.236), and depression (β=-0.245). Moreover, evalu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vealedsignificant relationshipsbetween depress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β=0.527) and between depress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β=0.167).In conclusion, the work environment and depression were predicted to be major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 partially mediating factor. Overall, theseresults demonstrate that 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very positive countermeasures in revitalizing the hospital organization, as well as in ensuring the happiness of individual nurses. Therefore,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work environments and easing depression are required to improve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요양시설 내 재활대상 노인의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소홍(Shin, So-Hong),이재홍(Lee, Jae-Hong),권원안(Kwon, Won-An),권용현(Kweon, Yong-Hyun),김창숙(Kim, Chang-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죽음 및 불안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 요양시설 6개를 임의 모집하여 노인환자 300명(남성: 183명, 여성:117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에서 물질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죽음·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죽 음·불안과 일반적 특성의 연관성에서는 고령일수록, 입소기간이 길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요 양시설 입소 노인이 느끼는 죽음·불안에 대한 두려움을 개선하도록 하며 자아 존중감, 자아 통합감을 향상시키고 우 울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sociology population variable and social support system(emotional, financial, informal and evaluative support) with regards to the death anxiety and provide a basic data to relieve the fear of death in the elderly special nursing service. 300 old people who are living in Daeg-gu city and Kyo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under their agreement which they are fully aware of the purpose and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nterviews for study were perform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general area(11-question), social support area(emotional support 7-question, financial support 6-question, informal support 6-question and evaluative support 6-question) and death-anxiety(20-ques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 12.0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 KCI등재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한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

        신소홍(So-Hong Shin),김현실(Hyun-Sil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이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태도와 생리적 지수에 대하여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2015년 6월 24일부터 2015년 9월 18일까지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C 노인대 학에서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0명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30명씩 배정하였다. 클린다이어트 프로 그램은 실험군에만 적용되었으며 웰니스, 건강행동, 주관적 건강감, 우울 및 생리적 지수(혈압, 혈당, TG/TC, BMI)에 대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웰니스(t=7.069, p<.001), 건강행동(t=6.196, p<.001), 주 관적 건강감(t=6.624, p<.001) 수준이 향상되었고, 우울(t=4.038, p<.001)은 완화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생리적 지수는 BMI(t=5.974, p<.001)에서만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입증한다. 따라서 노인에게 클린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삶의 질을 높이는 총체적인 생활방식이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양 식 그리고 우울증 완화와 BMI관리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60 seniors aged at least 65 years who attended C Senior College in Daegu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30 subjects each. The Clean Diet Program was only applied to the test group, and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depression, health behavior,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wellness, and physiological indices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levels, hyperlipidemia, and BMI)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exhibiting improved or mitigated self-efficacy (t=6.003, p<.001), depression (t=4.038, p<.001), health behavior (t=6.196, p<.001),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t=6.624, p<.001), and wellness (t=7.069, p<.001). Among the physiological indice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MI (t=5.974, p<.001). The results demonstrat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Clean Diet Program. Since the Clean Diet Program can be implemented through walking, simple exercises, and eating habits, it provides great economic efficiency and usefulness and provides a very reasonab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how to improve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health promotion and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전공선택 동기의 매개역할

        신승호,신소홍,김유정,이숙연,Shin, Seung-Ho,Shin, So-Hong,Kim, You-Jeong,Lee, Sook-Ye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전공선택 동기, 전공몰입을 파악하고, 전공몰입의 영향요인 그리고 전공선택 동기의 매개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2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7일부터 11월 16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공 만족도, 전공선택 동기, 전공몰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몰입 영향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와 전공선택 동기가 예측되었다. 전공 만족도와 전공몰입의 간에 전공선택 동기는 부분매개역할을 하였고,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개인적 동기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도를 향상시키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간호학 선택과정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olves descriptive research design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major satisfaction,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major commitment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major selection motiv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228 people enrolled in nursing colleges located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proceeded from November 7th to November 16th, 202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2.0 program. The analysis found that the level of major satisfaction was high and that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the major commitment were strong. Major satisfaction and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were predicted as factors influencing major commitment.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 motive for major selection, and specifically, they were partially mediated by personal motive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in which nursing is selected as a major.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스티그마와 우울

        신승호(Seung Ho Shin),신소홍(So Hong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이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스티그마와 우울의 관계와 이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케어 서비스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지역에 소재한 15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여, 6개월 이하 생활 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수준은 스티그마 2.52점, 케어 서비스 3.41점, 우울 2.48점으로 나타났다. 우울 영향요인으로는 배우자, 입소기간, 입소 결정, 입소 계기와 스티그마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티그마×케어 서비스 상호작용 항이 스티그마와 우울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케어 서비스가 우울 완충을 위해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중재자는 더 적극적인 자세로 케어에 임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또한 입소 초기에 우울의 정도가 높은 것을 고려하여 입소 상담 과정에서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인별 케어 서비스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depression in elderly residents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he role of care services as a variable controlling that relationship.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older adults who were admitted and had been living for less than six months at 15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data gathered from a total of 208 of the above subj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found the average scores of stigma, care services, and depression in the subjects to be 2.52 points, 3.41 points, and 2.48 points, respectively . The factors that influence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their spouses, length of stay, the decision to enter, and stigma. Furthermore, the stigma x care service interaction term was found to perform the role of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depression, confirming that care services are a critical variable acting as a buffer against depression.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nursing mediators to get more actively involved in care. Moreover, since the subjects exhibited high levels of depress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ir sta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lder adults during consultations following their admission and focus on individual care services.

      • KCI등재

        간호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송현영(Hyun-Young Song),신소홍(So-Hong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대구·경북지역 간호 대학생 3,4학년 223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0월 19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감성지능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성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성별(β=-.155), 취업률 동기(β=-.145), 감성 활용(β=.236), 감성조절(β=.197), 타인감성이해(β=.157)가 유의미하였다.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학년(β=.273), 취업률 동기(β=-.145), 주위의 권유동기(β=-.138), 감성조절(β=.223)이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간호학과 선택 시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나 가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이나 임무 등에 대하여 충분하게 조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사과정에서 정서적 교육 등의 비중을 높이면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factors involved i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The cor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gender (β=-.155), motivation to find employment (β=-.145), use of emotions (β=.236), emotional control (β=.197), and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β=.157).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decision level were the year level (β=.273), motivation to find employment (β=-.145), motivation to obtain others" recommendation (β=-.138), and emotional control (β=.223). Hence, sufficient endorsement from school or home is required with regard to the roles and duties of a nurse, in order to motivate future students to select the nursing degree.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may be improved when the degree program provides a higher proportion of emotional educ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직업 가치관, 전공 만족도, 전공몰입 간의 관계

        신승호(Seung-Ho Shin),이정원(Jeong-Won Lee),김창태(Chang-Tae Kim),신소홍(So-Hong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에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 가치관 그리고 전공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산·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3개의 간호대학 2∼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1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구글폼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 만족도 영향요인은 개인적 동기(β=.567), 사회적 동기(β=.230), 내재적 가치(β=.374), 외재적 가치(β=.181)가 예측되었다. 전공몰입 영향요인은 개인적 동기(β=.667), 사회적 동기(β=.216), 내재적 가치(β=.458), 일반만족(β=.824)이 예측되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전공 만족도는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몰입 간(β=.591), 직업 가치관과 전공몰입 간(β=.682)에서 부분 매개 역할로 예측되었다. 간호학 전공 과정이 어려운 만큼 중도 탈락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기계발 기회를 제공하고, 과도한 학업 분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전공에 몰입할 수 있는 교과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work values,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major commit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Google Form, from October 11th to 15th, 2020, targeting the 2nd-4th grade-year students of three nursing colleges in Busa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applying the SPSS/WIN 22.0 program. The analysis predicted that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include personal motivation (β=0.567), social motivation (β=0.230), intrinsic values (β=0.374), and extrinsic values (β=0.181). Personal motivation (β=0.667), social motivation (β=0.216), intrinsic values (β=0.458), and general satisfaction (β =0.824) were predicted to influence major commitment.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predicted that major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commitment (β=0.591), and between work values and major commitment (β=0.682).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nursing as a major cour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developmen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ropouts, and appropriate adjustment of excessive study load for students to focus and immerse in the maj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