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과대학 문제기반학습에서 튜터 수행 및 집단 효능감이 학업성취와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Jihyun S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e tutors play a critical role in med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ir influence on stud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medical PBL. In addition, as PBL is collaborative learning, collective efficacy was expected to be powerful in predicting learning results in PBL. However, no research was conducted on this issu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tutor performance perceived by students and collective efficacy on learner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medical PBL. Fifty-one second 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from forty-eight students of them were analyzed. They met once a week for three weeks under the tutelage of one tutor per group to complete one PBL module. On the last day of a PBL session, the tutor performance survey with a learner satisfaction question and the collective efficacy survey were conducted. Learne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ir PBL grade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to interpret the collected data. Results showed that tutor performance and collective efficacy explained 32.6% of the variance in learner performance and 18.4% of the variance in learn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tutor performance and collective efficacy in PBL and imply the importance of tutor training. Further, they suggest that the methods to improve collective efficac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successful PBl. 의과대학 문제기반학습(PBL)에서 튜터 수행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튜터 수행이 PBL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PBL은 협력학습이므로 협력학습에서의 동기요소인 집단 효능감이 PBL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와 관련한 연구 또한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통 7-8명으로 구성된 소그룹에서 튜터와 함께 학습하는 의과대학 PBL에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튜터 수행과 집단 효능감이 학습결과(학업성취와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51명의 의과대학 2학년 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 중에서 49명의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이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3주간 튜터와 함께 PBL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만남에서 튜터 수행과 집단 효능감,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BL성적으로 학습자성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튜터 수행과 집단 효능감이 학습자성취의 32.6%, 학습자 만족도의 18.4%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는 투터 수행과 집단 효능감이 PBL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PBL 튜터 훈련의 필요성을 지적해 주며, 성공적인 PBL을 위해서는 집단 효능감이란 변수 또한 PBL 설계 시 고려되어져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플립드러닝이 의대생의 학습접근방식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Jihyun S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드러닝이 의대생의 학습접근방식(approaches to learnin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학습형태로서의 플립드러닝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Kim et al.(2014)이 제안한 학습자중심 플립 드러닝 설계원리에 따라 플립드러닝을 설계하여, 플립드러닝 전후로 R-LPQ-2F(수정된 2요인 학습과 정설문지)를 활용하여, 의대생들이 플립드러닝에서 어떤 학습접근방식을 취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처음 플립드러닝 활동에 참여한 의대생의 플립드러닝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와 플립 드러닝 전후로 강의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한 의과대학에서 인체와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수강한 의예과 1학년 학생 34명이었고, 플립드러닝은 4차시 동안 진행되었다. 플립드 러닝이 학습자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채택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 자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채택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의 하위요인인 심층적 동기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플립드러닝이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와 몰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플립드러닝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이 플립드러 닝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을, 플립드러닝이 학습향상에 미친 영향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의평가에서도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드러닝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플립드러닝을 또 다시 수강하고 싶으냐는 질문에는 강의식 수업에 대한 선호도를 드러냈다. 플립들 러닝 실시 후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짧은 플립드러닝 학습경험, 교수중심의 교수방법에 대한 선호도 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 같으며,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이해를 촉진하며 플립드러닝이 효과적인 대학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es had drawn much attention from the research and practices communities. Despite this attention, how students learn in the flipped learning has been minimally explored. Focusing on this gap,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approach to learning in flipped learning. Students’ perception for this learning method was also scrutinized. For this purpose, the student-centered flipped learning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nine design principles suggested by Kim et al. (2014). 34 premedical students enrolled in the interaction of human body and microorganis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flipped learning was executed once a week for four weeks. To collect data, surveys for students’ perception on the flipped learning were conducted after the flipped learning and R-LPQ-2F to investigate approaches to learning and a course evaluation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Because students in student-centered flipped learning are required to learn by actively constructing new knowledge, it was expected that the medical students adopted deep approaches to learning.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in terms of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The deep motivation, a sub-factor of the deep approach to learning, howev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o it is thought that the flipped learning aroused intrinsic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work. In addition, students recognized more high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of the flipped learning than learning impro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 They were also, in general, more satisfied with the flipped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teacher-orien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course evaluation, but they showed significant higher preference toward the teacher-oriented learning than the flipped learning. The explanations for reasons why deep approaches to learning did not increase during the flipped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적응적 교수프로그램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과정 지향적 완성된 예제가 교수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시지현 ( Jihyun S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인지부하이론에 근거하여 개개 학습자의 인지부하 조절 요구에 최적화된 적응적 교수방법과 시청각적 과정 지향적 WOE의 활용이 교수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 시청각적 과정 지향적 WOE가 교수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모달리티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C프로그램에 관한 온라인 문제해결 환경이 개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112명의 모 교육대학에 다니는 학부 학생들이었고, 이들이 개발된 학습 환경에 로그인할 때 무작위로 네 집단 중 하나에 배정되었다 (적응적 시청각적 그룹, 적응적 시각적 그룹, 고정적 시청각적 그룹, 고정적 시각적 그룹). 이중에서 최종적으로 99명의 측정결과를, 사전진단 검사 점수를 공변수로 해서 공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적응적 교수방법이 고정적 교수방법 보다 원전이 수행에 있어서 보다 유의하게 높은 교수 효율성 그리고 낮은 인지부하 측정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청각적 WOE 집단과 시각적 WOE 집단은 교수효율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인지부하 측정값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적응적, 고정적 두 집단 모두에서 시청각적 과정 지향적 WOE를 활용한 집단의 교수효율성이 높은 결과를 고려할 때 모달리티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적응적 교수와 시청각적 과정 지향적 WOE의 활용은 효과적으로 인지부하를 조절하여 학습자의 관련영역 전문성 수준을 효율적으로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학습경험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상황에서 학습자에게 가해지는 인지부하가 학습자의 가용한 인지자원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교수설계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aptive instruction optimized to leaner expertise and presentation modes of process-oriented WOEs on instructional efficiency. It also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bimodal process-oriented WOE further control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thereby positively impact on instructional efficiency. For this purpose, an online problem solv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112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e four groups; adaptive bimodal WOE, adaptive unimodal WOE, fixed bimodal WOE, and fixed unimodal WOE groups. Of them, data from 96 students were used for ANCOVA with the pretest results as a covariat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adaptiv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lower cognitive lo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imodal and the unimodal process-oriented WOE groups in instructional efficienc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t an alpha level of .10. In addition, the bimodal process-oriented WOE groups in both adaptive and fixed instruction groups showed higher instructional efficiency. These results seem to imply positive modality effec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adaptive instruction and the bimodal process-oriented WOE effectively controlled cognitive load and improved learner expertise in the domain. These findings are particularly important as excessive cognitive load prohibits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The insight gained though this study may inform instructional designers seeking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efficient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이 의대생의 성찰수준에 미치는 효과

        시지현 ( Jihyun S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성찰적 실천가를 양성하는 것이 의과대학 핵심교육목표 중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성찰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전략이 꾸준히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대생의 성찰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을 활용하여,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 전후로 의대생의 성찰적 사고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을 보다 더 많이 경험한 4학년과 3학년의 성찰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논증 증진방안으로는 Toulmin의 논증모델(Toulmin et al., 1984)과 논증과정에 대한 시각화를 위한 개념도, 이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한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의과대학 3, 4학년 학습자 각각 49명이 참여하였고 학습자들의 성찰수준 측정에는 Mezirow(1997)의 성찰모델을 기반으로 Kember와 동료들(2000)이 개발한 4 수준의 성찰적 사고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 학습이 의대생들의 성찰적 사고를 촉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논증 스캐폴드를 기반으로 하는 문제기반학습을 더 많이 경험한 것이 학습자들의 성찰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은 성찰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lective practice is regarded as essential attributes of competent health care professionals, so the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reflective thinking are continuously attracting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using argumentation scaffolds on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between year 3 students and year 4 students who experienced more the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argumentation scaffolds was examined. For the argumentation scaffolds, Toulmin's model of argument(Toulmin et al., 1984) and the concept map method were used together. For this, 49 students in the year 3 and year 4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as measured by using the 4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model developed by Kember at el. (2000) based on the reflection model of Mezirow (1997).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argumentation scaffolds facilitates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the more the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argumentation scaffolds is utilized, the more effective it is but the effect is a limited extent. Taken toge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argumentation scaffold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to promote reflective thinking.

      • 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 스크립트가 협력학습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Si, Jihy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 스크립트 제시가 협력학습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 스크립트를 설계하여, 설계된 CSCL 스크립트가 협력학습과정(훈련 협력학습효율성)과 결과(수행 협력학습효율성), 모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4단계(협력학습활동, 인지부하측정, 전이검사, 인지부하 측정)로 구성된 온라인 학습활동이 온라인 교육플랫폼인 블랙보드에 개발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은 두 그룹(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 스크립트 제시 유무)으로 나뉘어 2명씩 팀을 구성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스크립트 제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훈련 협력학습효율성을 보여주었다. 수행협력학습 효율성, 인지부하 측정값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협력학습 공동결과물, 전이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같은 수준의 인지부하 투입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수행을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집단작동기억효과를 위한 CSCL스크립트 제시가 협력학습의 과정과 결과 모두에서 효과적, 효율적 협력학습을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지부하 측정값에서 두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SCL script for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s on collaborative learning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CSCL script for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s was developed and its impact was investigated on collaborative learning efficiency both in term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outcome.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ontaining the four steps, collaborative learning, cognitive load measurement, one transfer test, and cognitive load measurement, was also developed on the Blackboard. 3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wo conditions (with or without the CSCL script for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s) with 16 for each group collaborating in 2-person tea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efficiency in term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but not outcom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load measurements. However, consider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and transfer test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CSCL script for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s mad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and as a result, learners developed higher quality schema with equal cognitive load. There are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for no differences in cognitive load measurements between two groups, s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clarify this issue.

      • 내래이션의 복잡성과 학습자료 제시속도가 모달리티 효과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Si, Jihy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모달리티 효과에 관한 초기 많은 연구에서 시청각적 자료제시가 시각적 자료제시보다 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모달리티 효과가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특정 교수조건에서만 모달리티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달리티 효과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내레이션의 복잡성과 학습자료 제시속도가 모달리티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시각적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내레이션이 길고 복잡한 경우 일시적 정보효과로 인해 역모달리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역모달리티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학습자료 제시속도를 시스템 혹은 학습자가 조절하는 두 교수조건에서 학습자료 제시양식에 따른 효과 (모달리티 효과 )가 다르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The modality effect occurs when audio/visual instructions are superior to visual only instructions. The number of Studies that points toweard possoble moderating factors for the modality effect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wo moderating factors, complexity of narration and pacing presentations on the modality effect within a cognitive load theory frame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use of lengthy and complex narration did not result in the reverse modality effect although it was expected due to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In addition, the modality effect did not occur in both system-paced and learner-paced instructions, leaving no evidence that the pacing of presentations affected the modality effect.

      • SCOPUS

        Critical e-learning quality factor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in a Korean medical school

        시지현(Jihyun Si) 한국의학교육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34 No.2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the e-learning quality. The student satisfaction model with the five factors such as content, system, learner, instructor and interaction was proposed and empirically examined.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and other construc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 sectional survey design, and convenience sampling. To examine the critical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a survey of 28 items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ent out through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all the students (n=250) enrolled in the pre-med 1 to the medicine 3 in one medical school in Korea. The medical school delivered all the courses online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 collected data (n=209, 83.6%)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IBM AMOS ver. 26.0 and IBM SPSS ver. 26.0 (IBM Corp., Armonk, USA). Results: The determinants of e-learning student satisfaction were system, learner, instructor, and interaction qualities, which together explained 72.6% of the variance of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determinants of e-learning interaction quality were content and system qualities, which together explained 62.9% of the variance of interaction qua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guidelines to improve e-learning quality in terms of student satisfaction in medical education contex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improving interaction features such as interactive teaching styles, collaborative activities, providing instructors and learners with proper training for e-learning prior to e-learning and a quality of contents, and upgrading e-learning system for better performance and service.

      • KCI등재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일시적 정보효과가 학습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 ( Jihyun Si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2

        일시적 정보효과는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길고 복잡한 청각적 정보의 일시성으로 인해 학습에 가해지는 부정적인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는 인지부하이론의 틀에서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일시적 정보효과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일시적 정보효과를 극복하는 방법인 것으로 생각되는 분절화(long vs. short)와 학습자료 제시 조절방법(system-paced vs. learner-paced)이 일시적 정보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길고 복잡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만 제시하는 것이 시청각적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학습효율성이 보다 높은 것(높은 성취와 낮은 인지부하 투입)으로 드러났다. 또한 시청각적으로 자료를 제시해야 하는 경우는 청각적 학습 자료를 분절화해서 제시하거나, 학습자료 제시를 학습자가 조절하는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인 것으로 드러났다.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occurs when long and complex transient information disappear before the learner has time to adequately process it or link it with new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on multimedia learning efficiency within the cognitive load perspective and how segmentation and pac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teract with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isualonly instruction(a diagram with long and complex texts) was more efficient than the audiovisual instruction(a diagram with long and complex spoken texts).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using long and complex spoken texts with a diagram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learning unless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are reduced through segmentation and learner-paced instructions.

      • KCI등재

        형성적 평가도구로서 루부릭 활용이 의대생의 연구기술개발에 미치는 효과

        시지현(Jihyun S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루부릭은 주로 평가를 목적으로 교수자에 의해 활용되지만 학습자에 의해 활용될 경우 형성적 평가도구로서 학습자의 수행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대생의 연구기술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형성적 평가도구로서 루부릭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한 의과대학 의예과에서 2018년과 2019년 연구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들이 참여하였고 두 집단은 그룹으로 루부릭을 활용하거나(2019 집단) 루부릭의 도움 없이(2018 집단) 10주간 실제적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였다. 또한, 루부릭을 활용한 2019년 집단은 수업 후 루부릭 활용에 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2019년 집단의 연구보고서가 2018년 집단의 연구보고서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루부릭 사전제시가 연구 진행과 연구기술개발에 미치는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루부릭 사전제시 집단은 연구프로젝트 후에 9개의 연구기술 모두가 개발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연구프로젝트 후 학습자의 의학연구에 대한 관심도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형성적 평가도구로서의 루부릭 활용은 의대생의 연구기술개발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의대생의 연구기술개발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의과대학의 연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실증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Rubrics are assessment tools for teachers to assess students’ performance, but when used by students, rubrics can be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where assessment information is used to inform students about their progress and aid their development. This formative use of rubrics can increase students’ performance. Many medical schools have incorporated research programs at the undergraduate level. Conducting research at schools is a learning task but how to effectively train medical students’ research skills has not drawn much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formative use of rubrics in medical students’ research skill development in an introductory course-based research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2019 group using a rubric for formative assessment was compared with the 2018 group who did not use it while conducting research projects as a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2019 group outperformed the 2018 group when their final research papers were assessed in terms of research skill development. The 2019 students also thought the use of rubrics to be beneficial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and their perception toward research skill development and research interes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 formative use of rubrics is thought to be an effective measure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research skills i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s. Considering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is issue, these results can confer important insights for designing research programs in medical schools.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온라인 학습에서 의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학업성취 및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인지부하의 매개효과

        시지현(Jihyun S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학습에서 의대생의 자기효능감, 세 가지 인지부하,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 간의 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세 가지 인지부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 의과대학 의예과 1, 2 학년 학생 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설문은 성별, 학년, 나이를 묻는 질문과 자기효능감, 인지부하,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문항을 합쳐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는 약 2주간 학습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실시되었고, 수집된 설문자료는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본유적 인지부하,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드러냈고, 외재적 인지부하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드러냈다. 하지만, 내재적 인지부하와는 유의한 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내재적 인지부하는 외재적 인지부하와만 유의한 정적상관을 드러냈고, 외재적 인지부하는 본유적 인지부하, 인지된 학업성취 및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드러냈다. 본유적 인지부하는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학업성취 및 학습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본유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각각 부분매개, 그리고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개효과의 크기는 본유적 인지부하가 외재적 인지부하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비효율적인 교수설계나 어려운 과제보다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으로 인한 학습자의 본유적 인지부하의 투입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효과가 훨씬 크므로,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시됨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edical students’ self-efficacy, three cognitive loads,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ree cognitive loa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or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102 students enrolled in the first-and second-year premedical curriculum in a medical schoo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30 questions, including items about gender, grade, age, self-efficacy, cognitive loa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each student’s smart-phone for two week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PROCESS macro.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ermane cognitive loa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insic cognitive load,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Intrinsic cognitive loa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extrinsic cognitive load, and extrinsic cognitive load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ermane cognitive loa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Germane cognitive loa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Germane and extrinsic cognitive loads were found to partially or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or student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magnitud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arger in germane cognitive load than in extrinsic cognitive loa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rather than inefficient instructional design or difficult tasks, self-efficacy have more impact on learning outcome in online learning contexts, so the efforts to improve learners self-efficacy need to be prioritized for successful onlin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