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토론학습 인터페이스 설계연구

        시지현 ( Ji Hyun Si ),박대건 ( Dae Ghun Park ),최아름 ( Aim Chae ),김동식 ( Dong Sik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5

        최근 무선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폰이 급격히 보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사이버 대학들도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캠퍼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빠르게 구축된 무선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높아진 상호작용성을 최적화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가지는 높아진 상호작용성의 교육적 잠재력이 실현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적합한 토론활동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프로토타입은 사용자들이 설문조사를 통해 제기한 문제점과 협력학습을 위한 원리에 기초하여 설계되었고 전문가 평가자들의 인지적 리허설과정을 통해 향후 개선방향 또한 제안되었다.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for mobile learning on the rise, cyber universities in Korea are trying to build a reliable mobile campus infrastructure. Such advances in smart phone technologies have made it increasingly easy for users to stay connected and this heightened interaction through smart phones has educational potential for collaborative learning. Thus, to fulfill its educational potential and ultimately provide 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on the smart phones, this study has developed a discussion-based interface prototype for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oposed interface design was evaluated through cognitive walkthrough of the expert reviewers and its usability improvements were also offered.

      • KCI등재

        복잡한 과제에서 협력학습 효율성에 대한 정서적 설명: 인지부하이론의 관점에서

        시지현 ( Ji Hyun Si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최근 복잡한 과제학습에서 협력학습의 효율성을 집단 효능감이라는 동기요인으로 정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제기되었다. Kirschner, Paas와 Kirschner(2011a)는 복잡한 과제로 초래되는 인지적 부담이 협력학습자들 간에 분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학습과제의 성공적인 해결에 대한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아는 것, 즉 효능감을 바탕으로 협력학습이 개별학습보다 효율적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은 학습자들의 이러한 믿음을 사전 인지부하로 측정하여, 실제 학습하기 전에 복잡한 과제학습에 있어 협력학습자들이 개별학습자들보다 더 적은 인지부하 투입을 예상하는 결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협력학습결과 보고 부재, 관련 후속연구의 부재, 그리고 집단 효능감 측정 도구 문제가 제한점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Kirschner, Paas와 Kirschner(2011a)의 연구를 확장해서 복잡한 과제학습에서 협력학습이 개별학습보다 효율적임을 집단 효능감을 바탕으로 정서적인 측면으로도 해석할수 있는지를 재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 여자대학교 이학년 교직과목을 수강한 학생48명을 4그룹(쉬움개별, 쉬움협력, 복잡함개별, 복잡함협력)으로 나누어, 각 교수조건에서 이들이 학습하기 전에 사전인지부하와 효능감을, 학습한 후에는 테스트와 테스트 인지부하점수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과 대비검증 그리고 Mann-Whitney U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복잡한 과제에서 협력학습 집단이 개별학습 집단에 비해 보다 낮은 사전인지부하 측정값과 테스트 인지부하 측정값, 그리고 보다 높은 효능감과 테스트 점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한 과제학습에서 협력학습의 효율성이 효능감이라는 동기요인으로도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A research on an affective explan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efficiency inspired by research on efficacy has recently been conducted. Kirschner, Paas, and Kirschner(2011a) argued that when learning cognitively demanding tasks, learners who knew that their cognitive capacity could be shared within a collaborating group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belief that they had in successful task completion. And this belief could explain why collaborative learners outperformed and learned more efficiently on complex tasks than individuals who worked alone. They used pre-cognitive load measurements as an indicator of a learners’ belief in completing a task successfully. However, this study has such limitations as no report on collaborative learning results, no follow-up studies, the utilization of an unusual tool for measuring the efficacy. Thus,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ed to expand their study and re-explore this affective explan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efficiency with complex tasks within the cognitive load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48 women’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one of the four groups(easy/individual, easy/collaborative, complex/individual, complex/collaborativ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with complex tasks, the collaborative learners showed lower pre-measurement scores of cognitive load and test cognitive load scores, higher efficacy and test scores than the individual learners.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indicate that the higher efficiency of collaborative learning with complex tasks could be explained by the affective factor(efficacy).

      • KCI등재

        인지부하이론의 관점에서 네 가지 교수효율성 비교 연구

        시지현 ( Ji Hyun S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Pass와 Van Merrienboer(1993)가 제안한 교수(수행)효율성과 그 이후로 제안된 훈련효율성, 교수전반에 걸친 3차원 교수효율성, 그리고 시간을 포함한 3차원 교수효율성은 측정된 변인에 따라, 특정 교수조건의 효율성에 대해 인지부하이론의 관점에서 각기 다른 정보를 제시해 준다. 이는 특정목적에 맞게 설계된 교수조건은 그 특정목적에 적절한 교수효율성 공식을 사용해서 그 효율성을 판단해야 한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네 가지 교수효율성 공식이 각기 측정되는 변인에 따라, 특정 목적에 맞게 설계된 교수조건에서 변화하는 학습자들의 인지과정에서의 차이점을 찾아내기 위한 진단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재적 인지부하를 적응적 교수설계와 모달리티 효과를 바탕으로 최소화한 교수조건을 제시하여 그 학습결과에 대해 네 가지 교수효율성 공식으로 교수효율성을 산출해서 비교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훈련 효율성과 교수과정 전반에 걸친 3차원 교수효율성이 외재적 인지부하를 최소화 하려는 교수조건의 효율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과정 전반에 걸친 3차원 교수효율성이 교수 과정 전체에 관여된 인지부하를 변인으로 고려하므로, 각 교수조건의 상대적 효율성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좀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하지만 앞에서 논의된 네 가지 교수효율성은 특정 목적에 맞게 설계된 교수조건의 효율성을 식별하기 위한 진단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ass and van Merrienboer(1993) developed a computational approach to measure the instructional efficiency (performance efficiency) based on test performance and mental effort invested to attain this test performance. This computational formular aided researche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in compa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instructional conditions on learning. Since Pass and van Merrienboer(1993), the computational formulas for training efficiency and two 3-dimensional instructional efficiencies have also been suggested. Each instructional efficiency provides different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different instructional conditions on learning according to the measured variables. This implies that the efficiency of instructional conditions should be evaluated by an appropriate efficiency formula to thei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plore usefulness of the four instructional efficiencies as a diagnostic tool to evaluate efficiency of instructional conditions developed according to a certain purpose. For this purpose,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that minimized the extraneous load by adaptive instructions to individual learners and multimedia contents(modality effect) were developed and the four instructional efficienci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s of performance and mental effort during the learning and test periods under this instructional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D-instructional efficiency based on the measures of test performance and mental effort during learning and test situations provided the most useful information on the value of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as it incorporated both learning and test effort throughout the whole instruction process. Although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is finding, it seems that this study demonstrated under what condition each instructional efficiency is appropriate to use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of instruction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