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로공사 공정계획을 위한 공정 로직 및 건설장비 효율화 방안
송호정,최재현,Song, Hojeong,Choi, Jaehy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6
Highway construction is a combination of linear, repetitive, and highly equipment intensive operations.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are deployed to ensure undisrupted performance of construction, and thus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saving can be achieved through well-thought-out planning.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is dependent upon construction sequence, site conditions, and construction methods. In the process of planning, management should consider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methods per each type of construction operation. Also, management should map out prope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plan that takes th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measures into consideration. However, limited availability of historic data from the similar types of operations has been a stumbling block to proper construction planning, making the operations performed based upon experience and intuition guided by rules-of-thumb. As a consequence, the planing phase rarely provided an adequate validity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researchers developed a process logic for each construction type that management can utilize from early phase of highway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Moreover, derived the construction equipment combination optimized for efficiency by using the process simulation technique. The developed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ims to evaluate efficiency of various process plans and to ensure optimal selec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송호정,Song, Ho-Je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6 디지털콘텐츠 Vol.8 No.-
국내 산업 경기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하향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데이터베이스 산업은 3분기에 도호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 지난 6월5일부터 6월 28일까지 데이터베이스산업체 305개 및 데이터베이스정보서비스이용자 22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산업기업경기실사지수(DB-BSI) 및 이용환경지수(DB-CSI)’를 조사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내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2006년 2~3분기 현황을 짚어봤다.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8
고조선사에 대한 역사 지리 연구는 각 시대의 역사인식과 연구과제에 따라 그 관심과 방법론이 변화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요동 지역에 초기 중심지를 두었던 고조선이 후기 단계에 이르러 燕의 진출로 서북한 지역으로 이동했다고 보고 있다. 최근 들어 고고학자를 중심으로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를 대릉하 유역까지 포함시켜 보려는 견해가 집중 검토되고 있다. 여전히 평양 대동강 유역에 중심지를 두고 있었다는 견해도 존재하는 데, 이 주장도 초기 고조선의 서변은 요동까지였다고 보고 있다. 만일 일반적인 주장처럼 遼東地域 정치체를 古朝鮮과 관련시켜 볼 경우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지에 명확한 고찰이 필요하다. 요동 지역에서는 서북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동기가 많이 나오나 현재까지의 고고학 자료 출토 상황으로는 요동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 고조선의 중심지를 찾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 과정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비파형동검문화 범위 내의 모든 유적유물 갖춤새를 고조선에 속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경계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인 바, 결국 중심되는 청동기 문화유형을 찾는 것이 가능할 뿐이다. 기원전 4~3세기 중국 전국시대 후기에는 중국으로부터 철기문화가 전래되면서 요동 지역도 燕 문화의 영향권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조선은 이 시기 언젠가 千山山脈 이남의 압록강과 청천강을 경계로 그 이남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漢 이후 중국과의 경계 지점인 浿水 역시 압록강이나 청천강으로 비정되며, 고조선의 마지막 수도 왕검성은 패수 남쪽인 대동강 유역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전성기 古朝鮮과 漢의 경계 문제는 문헌상에 보이는 ‘秦故空地 上下障’과 ‘滿藩汗’의 위치 및 요동~서북한지역의 명도전ㆍ초기세형(한국식)동검문화ㆍ초기철기문화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더 분명해지리라 생각한다. The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has changed in its interest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of each era and research project, and it is thought that such a trend will be going as ever. Most of the research works up to the present indicate that Gojoseon, which had located its initial central place at Liaodong area, moved to the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its latter period with the launch of Yeon State. In recent times, the opinion arguing, with archaeologists as the center, that the initial central area of Gojoseon covered as far as the Dalinghe Basin is being intensively discusse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n argument that the central area of Gojoseon was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is argument also reports that the westward area of initial Gojoseon reached up to Liaodong. In the latter period of Civil Wars in China in the 4th~3rd century before Christ, Liaodong area also came under the influence of Yeon culture with ironware culture handed down from China. Gojoseon seemed to have developed itself sometime in this period on the background of the area south of the border formed by the Yalu and Chungcheon River south of the Cheonsan Mountain Ranges. In addition, the Paesu River, which was a border with China after the period of the Han Dynasty, is also conjectured to be the Yalu or Cheongchun River, and thus it's the most rational to judge that the last capital of Gojoseon-theWanggeum Castleis estimated to be located at the Daedong River basin south of the Paesu River.
송호정(Song Ho-jung) 湖西史學會 2012 역사와 담론 Vol.0 No.61
In the history, the appearance of the society of the early Gojoseon which corresponds to Bronze Age mostly remains as archaeology material and some of historical fact are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PreChin era. Among PreChin literatures, the books in which the contents related to Gojoseon are recorded are 『Gwanja』, 『Sanhaekyung』, 『Jeongukchaek』 (The Warring States Book), 『Chunchu』 and 『Sangseo』. Through the record of 『Gwanja』, we can know that the early Gojoseon was located in Liaodong or in the area adjacent to Liaodong and did not exist in Liaosi area. Furthermore, it is highly likely that Gojoseon existed in the area adjacent to Liaodong. And Gojoseon was famous for regional product tiger leather which has pattern and in Chunchu period the Ji(齊) country discussed trade with Gojoseon. It can be confirmed that according to the record in 『Jeongukchaek』(The Warring States Book), at that time the Gojoseon was located in the area not distant from the frontier of Yan(燕) and was an influence group which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when discussing situation or foreign relation of Yan country. Accordingly it can be known that at the latest in the middle of the 4thcentury B.C. the true substance of Gojoseon was distinctly recognized by the people in northern China. In 『Sanhaekyoung』's 「Hanaebukkyung」 the gojoseon was located in the north of the sea and the south of the mountain, and because the area of the present Liaodong and west North Korea area is located with their back toward Jangbaek and Nangrim mountain range and facing the sea with the front it corresponds to the record in 『Sanhaekyoung』. In addition, in 『Haenaekyoung』 it is written that Gojoseon is located in the inside of seashore of the East Sea and the corner of the north sea. This means that roughly saying the Gojoseon is within the bounds of the East Sea. Finally the article in 『Sanhaekyoung』 only explains the rough situation about the location of Gojoseon and it is inadequate as a material which discusses the original location of Gojoseon. Some disputants strongly raise the contention that the influence expressed as 'Sukshin' or 'Doyee', 'Dongyee'(eastern barbarian) in the literature in ancient China can be seen as the real substance like 'Joseon'. However, because these tribes appear in the same record with 'Joseon' it is reasonable that they are seen as tribe groups different from 'Joseon'. In the above the conclusion obtained while reviewing the PreChin literature is the fact that Gojoseon was powerful influence group located in the east of Yan and maintained confrontation situation against Yan in the 4thcentury B.C. Only, about the fact that when and where in 7th century B.C. the true substance 'Joseon' appeared in the history, there is limitation in approaching to it with literature anymore. For clearer interpretation, we have no choice but to assume the area related to the early Gojoseon and judge through remains and relics excavated from there.
송호정(Song, Ho Jung)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7
고조선이 중국과 국제 관계를 맺는 것은 역사상 ‘중국(中國)’ 또는 ‘중화(中華)’라는 개념이 출현한 이후에야 가능하다. 중국에서 천하(天下)나 사해(四海)의 개념이 성립한 시점은 대개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부터이고, 진(秦)․한(漢) 제국의 통일 이후에야 체계적인 이론이 완성되었다. 따라서 동아시아가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들어가는 진(秦)․한(漢) 시기부터 고조선의 외교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고, 그 이전 단계는 경제적 교역만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에 저술된 문헌 기록에서는 고조선과의 국제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아 기원전 4세기 이전 고조선과 중국의 외교 관계를 말하기 어렵다. 단지 경제적 교역이나 문화적 교류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의 고조선은 요동군(遼東郡)의 외곽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중국의 변군(邊郡)과 같은 국가로서 연(燕)에 사신을 파견하고, 요동군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해 나갔다. 진대(秦代)에 이르러 고조선은 진(秦)에 내속(內屬)하여 간접적이고 집단적 지배 체제로 편입되었다. 영토는 진(秦)의 군현(郡縣)에 직접 편입되지 아니하였고, 고조선의 고유한 지배질서를 유지하였다. 기원전 2세기 초 위만(衛滿)의 등장 이후 고조선은 한(漢)의 외신(外臣)으로서 중국과 관계를 맺었다. 그 외교 형식은 한(漢) 황제로부터 관직(官職)과 인수(印綬)를 사여 받아 제후국(諸侯國)으로서 국가를 통치하는 형태였다. 당시 고조선은 한(漢) 왕실에 조공을 바치고 회사(回賜)라는 경제적 관계를 맺는 책봉(冊封) 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다. It is only possible for Gojoseon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concept of “China” or “Chinese” emerged in history. In China, the concept of the whole world(天下) was established after the Warring States, and on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Qin(秦) and Han(漢) empires, a systematic theory wa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Han since the Qin and Han periods, when East Asia enters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The previous phase can only be talked about economic trade. Literature records authored in the Warring States do not mentio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Gojoseon,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Gojoseon and China before the 4th century B.C.. We can only talk about economic trade or cultural exchange. The Gojoseon of the Warring States wa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Liaodong County(遼東郡), and it grew up by sending envoys to Yan(燕) and establishing relations with Liaodong County. At the era of the Qin(秦), Gojose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of indirect and collective control in Qin. Territories were not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County of Qin (秦), but maintained a unique control order of Gojoseon. Since the emergence of Wim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Gojoseon has established relations with China as an feudal lords[外臣] for Han. The form of diplomacy was appointed by the emperor Han and ruled the country as an imperial power. At that time, Gojoseon made an economic relationship in which he offered tributes to the Han royal family and received gifts for them.
학교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현황과 교과서 서술의 올바른 방향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학교 현장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문제를 전문 연구자와 교사, 그리고 학생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연구자의 연구 성과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잘 반영되어 학생들에게 교육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는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논문으로 그치고 교과서나 개설서에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 한국 고대사 서술은 지나치게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정리되어 있다. 역사의 민족주의적 서술은 우리 역사를 중심에 놓고 이해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결함과 위험 요소도 가지고 있다. 즉 우리 민족체에 대한 충성 의무를 앞세움으로써 내적으로는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 대한 억압 이데올로기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배타적 국수주의로 발전할 위험성도 있다. 한편, 한국 고대사 내용은 증거가 부족하고 다양한 설이 많은데, 아이들에게 다양한 설에 대해 이야기해주거나 생각해보게 하지 않고 많은 학자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설을 사실인 것으로 가르친다. 현행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는 많은 학자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설을 하나의 사실처럼 서술해놓은 부분이 많다. 이에 대해 다양한 설을 제시해주고 학생들이 생각해보게끔 하는 부분이 많았으면 좋겠다. 많은 교사들이 교과서 속 한국 고대사 서술과 역사교육 실천 과정에서 여러 문제의식을 갖게 된 것은 그간 학계에서 연구되었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교과서 서술에 반영되지 않거나 늦게 반영된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학교에서의 고대사교육 실천과 관련해 공통의 견해를 마련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미 학계에서 합의된 내용이나 정리된 내용들을 교과서나 개설서에 반영토록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다. 나아가 연구 분야 및 방법론상의 다양화를 모색하는 일 역시 필요하다. 예를 들면 문화사나 일상 생활사에 대한 연구 성과를 교과서에 반영하기 위한 교과서 기술의 방향이나 맥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the viewpoints of historians, history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 was that the findings of historians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r the textbook and also was not well passed to students. Historians’ findings are mostly ended in their exclusive contents and are scarcely included in textbooks or compendiums. Ancient Korean history tends to be described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Nationalistic description has the merit that the historic view is shaped centered on the n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shortcomings and risk factors. Specifically, it may push an ethnic community to be loyal to their country, but the loyalty to their country may be an ideology to oppress individuals or minority groups. Moreover, it can lead to exclusive nationalism. For ancient Korean history, there are a variety of views rather than historical evidences. Nevertheless, students have little opportunity for listening to such views and pondering of them. Instead, they are just taught the views regarded by many historians as reasonable. In the current textbook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re are many cases where historians’ views are described as if they were true. Thus, students need to have more chances to learn various views and ponder of them. Many teachers are aware of issues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in textbooks and practical education on it. The reason is that lots of historical findings have not been included in textbooks, or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include them in textbooks. Accordingly, historians need to find common ground with one another regarding practical education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t is more important and urgent to include consensual or definitive contents in textbooks or compendium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seek a way to diversify the fields and methodologies of historical studies. For instance, descriptive or contextual reconstitution is expected to enable the textbook to cover the findings of cultural history and life history.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2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글 속에는 비록 소박한 형태로 개진되었지만 20세기 들어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된 고조선의 중심지 위치 및 한사군에 대한 요즘 학계의 주장 내용이 모두 나타나고 있다. 실학자들 가운데 가장 치밀한 논지를 전개한 정약용은 고조선과 漢四郡의 위치 비정을 통해 대체로 압록강 이남을 우리의 영역으로 보면서 압록강 중류의 이북 지역에 대해서는 우리 영역과 관련이 있는 지역으로 보았다. 그러나 압록강 이북 지역을 우리 강토로 생각한 것은 분명 아니었다. 이는 일제 시기와 해방 후 한국고대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이병도의 입론의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실증적인 학풍이 계승ㆍ발전되어 나갔다면 고조선사를 포함한 한국고대사에 대한 논의는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전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 역사는 일제 식민지로 귀결되었고 실학자들의 문헌고증에 바탕한 역사 지리 연구 흐름 또한 단절되고 말았다. 다만 실학자들의 연구 성과는 일제시기와 해방 후 오늘날까지도 일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약용 등 실학자들의 고조선사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시되는 것은 실증에 입각한 문헌고증과 비판정신이다. 실학자들의 방대한 문헌 고증은 이후 고조선사를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에 관한 위치나 강역의 문제가 애국심 논쟁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엄밀한 사료비판을 통해 객관적인 고조선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때, 정약용 등 실학자들의 연구방법과 비판정신은 훌륭한 귀감이 되고 있다. Though it was stated in simple form in the articles of Sirhak(Practical Learning) scholar of the latter period of Old Chos.n, the three views of the center location of Old Chos.n which became the object of much controversy in the 20th century all appear. If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s of Sirhak scholar was succeeded to and developed, discussion on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ing Old Chos.n history might have been advanced to more desirable directions. However, the history of Old Chos.n was concluded to Japanese colony and the flow of research on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n literature by Sirhak scholars was also cut off. Only, the research result of Sirhak scholars has certain influences in Japanese empire period and until today since the Liberation. Especially, Jeong Yak-Yong who unfolded the most elaborate point of the argument among Sirhak scholars by and large regarded the south of Aplok River as our region through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Hansagun(Han Chinese Commanderies) and regarded the north of the midstream of Aplok River as the region related to our territory. However, it was certainly not that he thought the region of the north of Aplok River to be our territory. I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argument of Lee Byeong-Do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studies on Korean ancient history in Japanese empire era and after the Liberation. Above all, what is regarded as being important in Sirhak scholars’ recognition of Old Chos.n history is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and spirit of criticism based on proven facts. The enormous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as much as it is impossible for scholars today who are to study Old Chos?n history to find something additional to the literature materials he proved is providing precious materials to the researcher who are to study the history of Old Chos?n.
송호정(Song Ho 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본 연구는 『삼국지(三國志)』 및 『후한서(後漢書)』 등에 보이는 기원전 2세기 초 고조선 준왕(準王)이 ‘한(韓)’ 지역(=馬韓)으로 내려왔다는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준왕이 내려 온 지역은 고려시대 이래 전통적인 견해에 따라 익산(益山)으로 파악하였다. 기원전 3~2세기경 후기 청동기문화가 한반도 서북지방과 금강~만경강 유역에서 유사하게 번성한 점은 문헌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작성하면서 크게 두 가지 사실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고조선 준왕이 한강 이남의 한(韓) 지역에 내려오면서부터 처음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었다면, 두 지역은 동일한 청동기문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고고 자료에 대한 고찰 결과 한반도 서북지방의 후기 청동기문화(=준왕 단계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가장 유사한 청동기 문화가 집중하는 곳은 전라북도 익산(益山) 지역이었고, 그 지역이 바로 준왕이 내려온 곳이었음을 설명하였다. 다른 하나는 진국(辰國)의 위치 문제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강 이남에서 금강 이북에는 ‘진국(辰國)’ 또는 ‘중국(衆國)’이 존재하고, 금강 이남 지역은 ‘한(韓)’으로 불렸으며, 이 지역에 준왕이 내려온 것으로 보았었다. 이에 대해 본고는 금강 이북에서는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이지만 특별한 고고 자료가 조사되지 않아 특별한 정치체를 비정하기 어렵다고 보았고, 오히려 금강~만경강 일대에 걸쳐 진국(辰國)이 위치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 지역에 준왕이 내려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분명 고조선 준왕의 남쪽 이주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선진적인 금속문화의 경험을 일찍 할 수 있게 하였고, 그것이 바탕이 되어 삼한(三韓) 사회가 열리는 기본 배경이 되었으며, 마한(馬韓)의 진왕(辰王)을 중심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rust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Book of the Later Han’ mention that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MAH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th the traditional view from the GORYEO Dynasty, it appears that he went down to IKSAN. Meanwhil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th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s thriving as the basins around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which seems to substantiate literature records. The autho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that the bronze ware cultures of the two regions might have in common if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and first formed a union. So far,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showed that the lat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of GOJOSEON at the time of King JUN) was most similar to that of IKSAN, whereto King JUN went down. The other is the problem of the kingdom called ‘JIN.’ Many scholars have viewed that a kingdom named ‘JIN’ or ‘JUNG’ was located in the north of GEUM River, and that the south of the river was called the HAN region and the king went down there. In the author’s opin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ment on a specific political body because at least for now there has been no archaeological material that could be evidence in the north of GEUM River. Instead, the author’s argumentum is that the JIN Kingdom was more likely to be located along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and moreover it was highly likely that King JUN went down to the region. Evidently, the transfer of King JUN enabled the early spread of advanced metalwork to the sou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led to the opening of the Three HANs and the consequent HAN U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