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시체중과 이유시 체중이 한우 거세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송유나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rth weight, weaning weight, and economic features of Hanwoo Steer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breeding farm established as the foundation for improvement goals for birth weight and weaning weight. Data on the birth weight, weaning weight, and carcass grade of 1,921 Korean cattle born between 2006 and 2019 was analyzed. Regarding the environmental effects, farm, year of birth, birth year-half year, weaning days, and carcass days data were used. A total of 7 models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birth weight and weaning weight with carcass traits while considering environmental effects affecting traits. Among the seven used models, Model 1 for farm effects, birth year-half year, birth weight, and carcass days, and Model 7 for farm effects, birth year-half year, weaning weight, weaning days, and carcass days were the best suitable model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in the birth year-half year effect, as the age at birth increased from the year 2006 to 2019, the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first half year than the second half year (p<0.01). The phenotypic correlation results revealed a moderate association with birth weight and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of 0.353 and 0.249, and a low correlation with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content of 0.026 and –0.005, respectively. The associations between weaning weight and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ere 0.279, 0.157, 0.093, and 0.05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birth weight and weaning weight are associated with each carcass traits, indicating that the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ts studied.

      • 2013 개정 중학교 미술 인정 교과서 감상영역 비교분석연구

        송유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oday, in the reality that private educational market on the basis of market capitalism is prevalent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is major tasks of Korea society. Moreover, whenever personality problems or school violence problems of youth become issues, the voice of improvement toward public education from all walks of life has been growing louder and louder. It might be from general expectations that public education would cultivate human beings with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 as well as cognitive domain unlike private education. For internal substantiality of public education, class would be the essence and it should be developed as the learning- centered class which practices cooperation and sharing. During the process to practice learning, as a significant medium to guide the direction of class, the role of textbook would be expected. Textbook in the present is not to deliver uniform knowledge but to progress as a role to guide abundant experiences how to re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in actual classes. Moreover, ‘paper’ textbook would replace ‘digital’ textbook within a few years, and according to existing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system would be abolished and government- recognized system would be introduced,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how much textbook would guide subject objects with various contents and activities. In other words, future classes would go toward the direction that main agents of education would create new value on the basis of learning contents that textbook guide. Thus, in this thesis, by focusing on appreciation domain, 10 kinds of middle school art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s which was revised in 2013, it was sought improvement plan and known the present situation of art textbooks by analyzing 1. learning contents (selected three kinds), 2. plates according to period, mod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works (10 kinds) and 3. Critical point of view and critic type stage (10 kinds). Chapter II considered educational effect according to tendency of recent art education such 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tc on the basis of paradigm of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changing according to period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limitation and implication. Chapter III selected art appreciation point of view which is appropriate to field adapt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and criticism stage of T. Anderson in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and E. Feldman which has been applying in class generally. Chapter IV compared changed background and direction, and external contents system of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nd considered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nd critical ability which are essential achievement element of art subject as well as reconsider limitation and implications when art curriculum would be adapted into actual field. Chapter V investigated the direction to compile, evaluation standard and precautions of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 to analyze middle school art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 which was revised in 2013. Chapter VI is the chapter to compare and analyze appreciation domains of 10 kinds of art government-recognized books, three kinds of textbooks which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to compile was chosen and learning contents were analyzed. And to analyze present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s selected art works in various cultural areas evenly, proportion of plates of 10 kinds were analyzed per nation, period, mode and technique of expression, and through accumulative proportion analysis per works, art works which were suggested the most by 10 kinds of textbooks. Lastly, through critical standard and types suggested by each textbook, it was analyz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at art curriculum pursues. On the basis of this, the results analyzed by focusing on appreciation domain of art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 of 2009 revised curriculum published in 2013 are as follows: As results to analyze learning goals and contents in unit of appreciation domain of three kinds among 10 kinds of revised art textbook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each textbook has different point of view to compile likewise suggesting various art critical activities or organic approach betwee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domains or art history comprehension etc, it is judged that it was according to the phenomenon to compose learning contents freely in accordance with adaption of ‘government-recognized system’ of curriculum books. As for the most crucial point of view applied by 10 kinds of textbooks, it was covered the social cultural critical point of view and iconology analytical critical point of view mainly by focusing on comparative appreciation method. In addition, textbooks applied critical type stage were total three kinds and two kinds of textbooks suggested critical discourse of Feldman and it seems that one kind of textbook reconstructed by mixing critical type of Anderson considere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critical stage of Feldman. Likewise, it was possible to know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changing such as suggesting learning contents by applying comparative appreciation method and social and cultural critical stage by accepting multicultural point of view and treating appreciation domain significantly as middle school art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s were according to that art curriculum pursues to cultivate critical ability.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to analyze plates of art government- recognized textbooks, the improvement of art textbooks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As results to analyze plates of 10 kinds of textbooks, it was appeared that it was focused on Korean and Western works, so it is hard to see that art works in various cultural areas were covered evenly. From now on, art works in various cultural areas would be suggested evenly it is judged that organic, integrated thematic approach to comprehend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ultural areas rather than chronicle list would be effective. Furthermore, though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mage medium has suggested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importance per technique of expression, it was appeared that image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covered carelessly. Therefore, it should be added composition of contents to cultivate media literacy required as essential capability in actual life of learners as well as traditional art works of various cultural areas. From now on, through art appreciation class, it is expected to instruct class to create new value and meaningful class to help actual life of learners as well as value of traditional art culture. 오늘날 시장 자본주의를 토대로 한 사교육 시장이 만연한 현실에서 공교육 정상화는 우리사회의 주된 과업이다. 더욱이 청소년들의 인성문제 또는 학교폭력 문제가 이슈화 될 때마다 각계각층에서 공교육을 향한 개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교육은 사교육과 달리 지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심동적인 영역을 고루 갖춘 인간을 양성 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수업이 핵심이며 협력과 나눔이 실천되는 배움 중심 수업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배움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수업의 방향을 안내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교과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오늘날의 교과서는 단순히 일률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교육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안내하는 역할로 진일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년이 지나지 않아 ‘지면 교과서’가 ‘디지털 교과서’로 대체될 것이며, 기존의 국정교과서제도가 폐지되고 인정제가 도입됨에 따라, 교과서가 교과 목표를 얼마나 다양한 내용과 활동을 안내하는지의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앞으로의 수업은 교육의 주체들이 교과서가 안내하는 학습 내용들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3년에 개정된 중학교 미술 인정교과서 10종을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1.학습내용 분석(3종 선정), 2.시대, 양식, 표현기법 및 작품에 따른 도판 분석(10종)과 3.교과서에서 제시한 비평관점과 비평 유형단계를 분석(10종)하여 미술 교과서의 현 주소를 알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Ⅱ장은 시대에 따라 변모하는 미술교육의 패러다임, 이론적 배경과 특징, 한계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시각문화 미술교육 및 다문화 미술교육 등 최근 미술교육의 동향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고찰하였다. Ⅲ장은 미술 감상과 미술비평의 이론적 개념과 특징을 바탕으로 현장적용에 알맞은 미술 감상 관점을 선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수업에 활용되는 펠드먼(E. Feldman) 및 사회·문화적 관점의 앤더슨(T. Anderson)의 비평단계를 살펴보았다. Ⅳ장은 2007 개정과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화된 배경과 방향 및 외적 내용체계를 비교하였으며, 미술교과의 핵심적 성취 요소인 미적감수성, 창의적 표현활동 및 비평능력을 고찰하는 한편 미술과 교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했을 때의 한계와 시사점을 재고하였다. Ⅴ장은 2013년에 개정된 중학교 미술 인정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해 인정교과서 편찬 방향과 평가기준 및 유의점을 알아보았다. Ⅵ장은 미술 인정교과서 10종의 감상영역을 비교 분석한 장으로서, 편찬 관점이 다른 3종의 교과서를 취사선택하여 학습내용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현행 인정교과서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미술 작품을 고루 선정하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10종의 도판을 국가별, 시대별, 양식별, 표현기법별로 비율분석을 하였으며, 작품별 누적비율분석을 통해 10종 교과서가 가장 많이 제시하고 있는 미술작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평기준 및 유형을 통해 미술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사회·문화적 관점에 적합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에 출간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인정 교과서를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정 미술 교과서 10종 중 3종의 감상영역 단원의 학습목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미술사 이해 또는 감상 및 표현 영역간의 유기적 접근 또는 다양한 미술비평활동 제시 등 각 교과서마다 편찬관점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교과용 도서 ‘인정제’ 적용에 따라 학습 내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된 현상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10종 교과서가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비평관점은 비교감상법을 중심으로 도상해석학적 비평관점과 사회·문화적 비평관점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비평유형단계를 활용한 교과서는 총 3종이며, 2종의 교과서가 펠드먼의 비평적 담화를 제시하였고, 1종의 교과서가 펠드먼의 비평단계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앤더슨의 비평유형을 혼합 해 재구성 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중학교 미술 인정교과서는 미술과 교육과정이 비평능력의 함양을 추구함에 따른 것으로 감상영역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다문화적 관점을 수용하여 사회· 문화적 비평단계와 비교감상법을 활용한 수업내용을 제시하는 등 변모하고 있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술 인정교과서 도판 분석 결과에 따라 미술 교과서가 개선해야 하는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0종 교과서의 도판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및 서양 중심으로서 다양한 문화권의 미술작품이 고루 다루어졌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미술작품을 골고루 제시하되, 연대기 식 나열보다는 서로 다른 문화권의 특징 및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유기적이며 통합적인 주제적 접근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아울러 현 미술교육은 영상매체의 발달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표현기법별 비중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영상 감상 교육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실생활에서 핵심적인 역량으로 요구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육성을 위한 내용 구성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미술 감상수업을 통해 전통미술문화의 가치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수업, 새로운 가치가 창조되는 수업이 이루어지길 기대 해 본다.

      • 전자 누설 경로를 이용한 청색 형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수명 향상 연구

        송유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re are several complex factors, which affect the lifetime of blue OLEDs. damage to OLED components by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from cathodes and anodes by the polarity of OLED, one of the elem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leading to the deterioration of blue OLED. In particular, when electron injection is dominant over hole injection,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ectrons are not completely bound within the EML, act as a leakage current moving toward the anode, affect the EML nearby layer of blue fluorescent OLED, and lead to poor performance, especially a decrease in lifetime. HTLs configured between the anode and the EML in OLEDs are mostly composed of amine compounds. Amine compounds are suitable as HTL components with excellent hole injection and transport capability. However, the C-N bond of amine compounds has a weak bond dissociation energy (BDE), especially in the Anion state, compared to other atomic bon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when electron current is present in OLED, HTL materials become anion state due to the electron leakage current, thus the bond is easily broken even with small energy. In particular, the EBL closest to the EML is most easily anionized by the electron leakage current, and the bond of the constituent molecules is easily broken due to the transfer of emission energy from the EML or the emission within the EBL. Damage to EBL eventually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the entire blue fluorescent OLED device and affects the OLEDs lifetime. In this study, Electron Leakage Bypass was introduced within the EBL to prevent damage to the EBL by the electron leakage current flowing in the OLED. The electron leakage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on leakage bypass, and it is recombined with the hole flowing toward the EML to emit light or partially flow toward the HTL. Therefore the electron leakage current is properly adjusted without damaging the EBL by making it anionic. As a result, blue fluorescent OLEDs with electron leakage bypass hav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lifetime, and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e performance of blue fluorescent OLEDs has been improved by modification of device aspects rather than material aspects like other studies.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완전히 소모되지 못하고 주변층으로 흐르게 되는 전자 누설은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을 저해하는 중요 요수 중 하나이다. 특히, 전자 누설은 전자 차단층을 음이온 상태로 만들고, 음이온 상태에서 취약한 결합 해리 에너지를 갖는 전자 차단층은 발광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작은 에너지에도 해리되게 된다. 이러하게 전자 누설에 의한 전자 차단층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 차단층에 전자 누설 경로를 도입하였다. 누설된 전자는 전자 차단층을 음이온 상태로 만들지 않고, 도입된 전자 누설 경로를 통해 소모되거나 일부 흐르게 되어, 소자의 열화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전자 누설 경로를 도입한 소자들에서 33 %,32 %의 수명 향상을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는 전자 누설에 대한 소자의 열화 현상에 대한 문제를 소재적인 측면이 아니라 소자적인 관점에서의 해결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 남성 헤어 커트 각도에 관한 연구 : 側頭部와 後頭部 사이 연결 각도

        송유나 光州女子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남성 헤어 커트는 개인의 요구와 디자이너의 커트 시술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 헤어 커트에 대한 연구는 주로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만이 있을 뿐 커트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미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헤어 커트의 유형에 따라 측두부와 후두부 사이의 연결 각도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여 현대 남성 헤어 커트에 대한 경향성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고 형 커트를 실시한 총 30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헤어의 커트 각도를 직접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은 측두부의 이어 포인트(Ear point)를 1지점으로 하고, 후두부인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를 5지점으로 하여 총 5개 지점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2지점과 3지점은 1지점과 4지점 사이의 임의의 중간 지점을, 4지점은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ape side point)를 선택하여 디지털 각도기(DXN-360, PRO ANGLE, Korea)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남성 헤어 커트 각도 결과는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남성 헤어 커트에서 낮은 상고 형 커트의 각도는 44.07°, 중간 상고 형 커트의 각도는 54.99°, 높은 상고 형 커트의 각도는 67.58° 로 조사되었다. 남성 헤어 커트에서 연령에 따라 20대는 높은 상고 형 커트를, 30대와 50대 이상은 낮은 상고 형 커트를, 40대는 중간 상고 형 커트를 선호하였다. 남성 헤어 커트의 지점 별 각도는 중간 상고 형은 전체적인 평균에 유사한 각도로서 직선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높은 상고 형과 낮은 상고 형의 경우 1지점과 5지점에서 커트 형태는 유사하나 2지점, 3지점, 4지점에서 커트 형태와는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남성 헤어 커트에서 상고 형 커트는 커트 유형에 따라 고유의 커트 각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한 지점의 각도 변화는 다른 지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헤어 커트의 각도 이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dividual needs of the modern man hair cut and a cut of the designer, depending on how the procedure is clearly very diverse. However, these studies mainly for men hair cut hair cut, as in the study, only there is negligible for practical research. In this study, male hair cu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temporal and occipital angle, conducted research for the modern man hair cut is to study the trends. This study conducted by the Appeals inch cut hair with a total of 300 male subjects were measured directly, Measurement point of the temporal area Ear point and a point and deny the larynx Nape point in the five points were a total of five points. And 2 points and 3 points 1 point and 4 point halfway between arbitrary 4 points Nape side point Select the digital protractor (DXN-360, PRO ANGLE, Korea) were measured. Men's hair cut, all measured angles results significance level p <0.05 in the valid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SPSSWIN 12.0. Survey results, men's hair cut in the Low gradation cut angle of 44.07 °, Medium gradation cut angle of 54.99 °, High gradation cut angle of 67.58 °, respectively. Men's hair cuts, depending on the age of 20 stands High gradation cut and, More than 30 s and 50 Low gradation cut in favor of, the middle 40's appeal was preferred type cuts. Men's hair cut by the point angle Medium gradation cut angle is similar to the overall average was maintained as a linear form. High gradation cut and Low gradation cut in the form of a point and five points in the similar cut in two points, three points, four points are the opposite of the cut tended to form. When you see more Men's hair cut as a result of the gradation cut depending on the type of cut to maintain the unique angle of the cut was a change in the angle of the point to change the angle of the other points were. In this study, male hair cut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ngle that can be used is considered.

      • 여성 신체의 사물화를 통한 사회 풍자적 표현 연구

        송유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인간은 생존을 위한 투쟁 속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오래도록 그 안에서 안정을 찾고자 한다. 그러나 실제로 완전하지 않은 인간이 만든 이 시스템은 모두에게 공정 하고 항상 적합한 것은 아니며, 배제되는 누군가가 있다. 보통은 사회적 약자 라고 불리는 이들이 바로 그 ‘누군가’인데, 특별히 여성은 역사의 과정에서 객체로 전락하면서 ‘누군가’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20대 여성으로서의 연구자가 생생하게 겪고 있는 차별적 구조를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차별적 구조는 실제 여성의 삶에 위협으로 다가오기도 하며, 삶의 양태 를 바꾸는 요소가 된다. 연구자는 이미지가 당대의 관념을 읽기에 가장 좋은 도구라는 것을 인지하 고, 아르데미스 여신상부터 현대의 기호화된 여성 이미지까지 사회 구조가 요 구하는 여성 이미지란 어떤 것인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이해해 본다. 이 과정 에서 전에는 신체의 기능을 포함하며 비교적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여 성의 이미지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섹슈얼한 측면으로 축소되었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의미의 변화 과정에서는 여성의 주체적 시선을 발견하기 어려웠고, 오 히려 타자의 시선에 의해 의미가 점점 좁아지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에, 연구자는 여성 신체의 일부를 전체 몸에서 분리시켜 물화시키는 표현을 통해 그 시선을 보여주고자 했다. 추후에는 신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 이미지에서 탈피하려고 한다. “인간은 설교로는 고칠 수 없던 잘못들을 웃음거리가 되면서 고칠 수 있었다.”라는 사회학자 프랜시스 허치슨 (Francis Hutcheson)의 말에서 유추해 낼 수 있듯이 풍자는 기존에 불합리한 구조들을 전복시킬 때 이용된다. 또한 풍자적 기법은 기존에 공고한 시스템을 비평하면서 동시에 희화화라는 과정을 한 번 거쳐 현실을 재창조한다. 그렇기에 연구자가 만들어낸 풍자적 이야기와 함께 버무려진 변형된 신체 표현은, 혹시 모를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방지하는 동시에 여성에 대한 협소한 시선들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러 한 이야기나 웃음의 맥락을 잘 보여주기 위하여 설치, 퍼포먼스 등 현장성 있 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나타난다. 연구자는 여성을 향한 사회의 편협한 시선을 유머러스하지만 적나라하게 보 이며, 극복하려는 노력을 한다. 끝으로는 작품<보급형 요술봉>에서 인간의 삶 자체에서 나타나는 고충을 은유 하면서 여성에서 인간으로 시야를 넓힌다.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치는 인간 전체에 대한 연민을 표하며 그렇기에 오히려 불완전한 시스템 속에서 되도록 배제되는 사람이 없도록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Human undergo many trials and errors in struggle for survival. When a system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in this process is created, human try to find stability in it for a long time. However, the system created by human who are in fact not perfect is not always fair and suitable for everyone, and there are always someone who would be excluded. Those who are normally called a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re 'someone', and women especially became 'someone' as they degenerated into object in the process of history.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kind of critical mind, and is based on discriminatory structure that the researcher is currently experiencing as a woman in my 20s living in Korea. This discriminatory structure seems to be a threat to actual woman's life and becomes a factor that changes the aspect of the life. The researcher recognizes that the image is the best tool in reading ideas of the time and tries to understand what the images of women required by the social structure from the statue of Artemis to symbolized woman's image in modern times are through concrete cases. In this process, I found that the image of woman which had relatively various meanings including physical functions has been reduced to a sexual aspect in modern times. It was difficult to find subjective view of woman in the change process of meaning. Instead,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was narrowed down by the view of others.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show such views through the expression of separating and materializing part of women's body from the whole body. In the future, the researcher will try to break from the image of women required by society through a form in which the body is continuously connected, and exist as the physical body itself by revealing women's body as it is and transcending the views. As we can infer from the words of Francis Hutcheson, a sociologist, that "Human could fix their mistakes that couldn't be corrected by preaching after being in the pillory", the satire is used to overthrow existing irrational structures. In addition, satirical techniques criticize existing notified system and recreates the reality after passing through travesty at the same time. This is why transformed body expression combined with the satirical story created by the researcher prevents any discomfort or displeasure. At the same time, it shows critical voice for narrow views against women. Various methods with a sense of practice such a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s are applied to show the context of such stories and laughter well. The researcher tries to overcome narrow-minded views of society on women by showing them humorous but frank manners. Lastly, the researcher tries to broaden views from woman to human by making metaphor on the difficulties appeared in human's life itself in <Popular Magic Wand>. The researcher expresses compassion for all human who are struggling for the survival, and would like to mention that communal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no one would be excluded in an incomplete system.

      • 소도구 활용에 따른 발레 폴드브라(Port de bras)운동 프로그램이 야구선수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팔 스윙 가속도, 타겟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송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소도구 활용에 따른 발레 폴드브라(Port de bras) 운동 프로그램이 야구선수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팔 스윙 가속도, 타겟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야구선수 총 30명으로, 20명의 실험집단과 10명의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피험자 내 반복실험으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인은 사용한 소도구의 종류이다. 소도구는 초당 4.5Hz의 고유진동을 제공하는 바디 블레이드, 보수 위에서 중량 야구공(1.5oz)을 사용하였고 맨 손 집단은 대조군으로 두었다. 발레 폴드브라 프로그램은 앙바, 안아방, 앙오, 알라세꽁 동작을 기본으로 팔의 다양성을 주었고, 발 지지는 운동 조절의 요구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수파인, 하프닐링, 런지, 스탠딩, 원 레그 동작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어깨관절 가동범위, 팔 스윙 가속도, 타겟 정확도이다.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고니오미터를 사용하여 내회전·외회전을 측정하였다. 팔 스윙 가속도는 푸쉬 밴드를 착용하여 측정하였고, 타겟 정확도는 점수화된 표적판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WINDOW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정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운동 프로그램 전·후비교를 위해 맨휘트니u 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소도구 활용에 따른 발레 폴드브라 운동 프로그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레 폴드브라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세 집단 모두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내회전·외회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보수 위에서 중량공 집단에서 어깨관절의 내회전·외회전의 각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둘째, 발레 폴드브라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팔 스윙 가속도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소도구를 사용한 집단보다 맨손으로 진행한 대조군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셋째, 발레 폴드브라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타겟 정확도는 세 집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지는 못 하였다. 바디 블레이드를 사용한 집단과 맨손으로 진행한 대조군은 각각 29%와 18%의 향상도를 보였지만 보수와 중량공 집단은 오히려 –38%로 운동 프로그램 전보다 타겟 정확도가 떨어졌다. 결론적으로 발레 폴드브라 훈련은 어깨관절의 내·외회전 각도, 팔 스윙 가속도, 타겟 정확도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세 가지 방법 중에서 보수 위에서 중량공을 가지고 폴드브라 운동을 했을 때, 어깨관절의 내·외회전 각도의 향상도가 가장 컸고, 맨 손으로 운동했을 때 스윙 가속도가 가장 증가하였으며, 바디 블레이드를 가지고 발레 폴드브라 훈련을 했을 때 타겟 정확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도구 활용에 따른 발레 폴드브라 운동 프로그램이 야구선수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팔 스윙 가속도, 그리고 타겟 정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운동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rt de bras, ballet exercise program with use of small equipments on baseball players’ shoulder motion range, arm swing acceleration, target accuracy. To measure shoulder range of motion, used a goniometer to measure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And to measure arm swing acceleration, subjects put on a push band and performed. To measure target acceleration, used a target plate. Scores were written in the plate so it can be used for measurement. Used SPSS WINDOW 23.0 to process the data and calculated. Among the 3 methods, When subjects exercised with port de bras moves with a heavy ball on Bosu,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of shoulder, arm swing acceleration, and target accuracy. Port de bras, ballet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capacity baseball players want to enhance. With this training, increased internal rotation angle of shoulder, external rotation angle of shoulder, arm swing acceleration, and target accuracy. But among the 3 methods, when subjects trained with port de bras exercise with a heavy ball, on ‘Bosu’, the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angle of shoulder joint increased the most. And when subjects did port de bras training with a body blade, target acceleration has increased the most. Therefore, to improve flexibility of shoulder, arm swing acceleration, target accuracy which are essential in playing baseball, baseball players need to train with port de bra exercise program Performed without equipment, and also using body blade, training with a heavy ball standing on ‘Bosu’.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we could find out that port de bras, ballet exercise program with use of small equi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shoulder motion range, arm swing acceleration, and target accuracy of baseball players.

      • 조선시대 단청 안료의 재료학적 특성

        송유나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15C ∼20C 초반에 걸친 조선시대 단청 중 개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 등을 참조하여 시기가 정확한 사찰 단청 12곳과 궁궐 단청 3곳 등 총 15곳을 선정하여, 성분 분석 및 색도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청 안료의 종류 및 시기별 사용 특성을 검토하고 단청의 색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각 색상별 색분포 경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단청에 대한 분석은 현장분석과 시료분석을 병행하였다. 현장분석은 X선형광분석과 현미경 촬영, 색도 측정 등 비파괴분석을 수행하여 색상별 안료 성분, 입자형태 그리고 채색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분석은 채취된 시료에 대하여 X선회절분석, 라만분석, SEM-EDS 분석 등을 통하여 안료의 동정 및 층위별 안료성분을 확인하였다. 백색 안료는 연백과 백토가 전시기에 걸쳐 사용되었다. 토양성 안료인 백토는 궁궐 단청에서는 바탕칠로만 사용된 반면, 사찰 단청에서 조선 중기까지는 바탕칠뿐만 아니라 상부채색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황색 안료는 황토와 황색 유기안료 및 석황이 확인되었다. 황토는 바탕칠로는 전시기에 걸쳐 사용되었지만, 상부 채색칠로는 조선 전기에는 유기안료와 함께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점차 황색유기안료로 대체되어 후기로 갈수록 거의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석황은 19C 후반 이후 궁궐과 관련된 단청에서만 확인되어 그 당시 석황의 희소성을 유추해볼 수 있다. 적색 안료에서 연단과 주사 그리고 주토는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온 안료이다. 육색은 분홍토와 연백, 주사와 연백, 장단과 연백, 적색유기안료와 연백 등 다양한 조색방법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연단과 주사, 주토가 전 시기에 걸쳐 단일 종류의 안료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육색에서도 시기적인 구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녹색 안료는 인공 안료인 동록이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색은 먹이나 쪽을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하였으며, 무기안료로는 회청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연구 대상의 녹·청색의 안료는 석록(Malachite)과 석청(Azurite)과 같은 천연의 광물성 안료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에, 동시대의 불화나 초상화, 궁중화 등 회화문화재에서는 석록과 석청의 사용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어 단청과는 안료의 사용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녹색과 청색 안료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차 19C 이후 서양안료인 에메랄드그린과 울트라마린블루 등으로 대체되어 가는 양상을 보였다. 백토, 뇌록, 황토, 분홍토, 주토 등 토양성 안료는 조선 전기의 단청에서 사용이 두드러졌으나, 연단, 연백, 주사(은주) 등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인공 안료는 납과 수은 계통의 인공 안료는 전시기의 단청에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창경궁 통명전, 창덕궁 구선원전, 경복궁 자경전 단청의 분석을 통하여 영건도감의궤에 기록된 일부 단청 안료명은 실제 사용된 안료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녹색 안료 중 의궤에 언급된 뇌록은 뇌록(Celadonite)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나, 하엽, 삼록은 천연 안료인 석록에서 만들어진 안료가 아니라 동록으로 만들어진 안료인 것으로 추정된다. 청색은 영건도감의궤에서 이청, 삼청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분석 결과, 궁궐 단청에서도 회청이 확인되고 있어 이 명칭은 석청을 원료로 하는 안료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전통 단청들의 색상분포는 채색 시기와 원료에 따라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단청의 박락 및 퇴색 등으로 인한 원색의 훼손이 가장 큰 원인이며, 단청 제작 시 제작 기법, 원료의 다양성, 교착제의 차이 등 등 다양한 원인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각 색상은 단청별로 독특한 색도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다. 단청의 색상은 원료보다는 각 단청별로 특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장단과 주홍, 양록과 하엽 등 일부 색상은 대부분의 단청에서 공통된 색도 분포 패턴, 즉 유사한 a*, b* 값의 비율을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전통단청의 색상 분포는 비록 원단청의 색상보다는 명도와 채도 면에서 낮은 영역에서 형성되었지만, 각 색상의 분포 패턴은 향후 전통 단청의 색 복원을 위한 원단청의 색정보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sage in each period with regard to coloring pigments in dancheong (traditional Korean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chromaticity of dancheong in order to contemplate the inclinations for the distribution of each color. This will be achieved based on the results of component analysis and chromaticity measurements, referencing the sangryangmun that was discovered during the restoration and repair process of the Joseon period dancheong during the 15th ∼ early 20th centuries and by selecting 15 dancheong of the accurate time period including 12 Buddhist temple dancheong and 3 palace dancheong. Both field and sample analyses were conducted on dancheong. Fiel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ondestructive means such as X-ray Fluorescence, microscope photography, and chromaticity measur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lor pigment components for each color, particle forms, and chromatic characteristics. Sample analysis was conducted on gathered samples using X-ray diffraction, Raman, SEM-EDS, etc.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igment components in each layer. In white pigments, lead white and white clay were used in all periods. While white clay was only used as a priming layer in palace dancheong, it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not only as a priming layer but also in the upper layer coloring in Buddhist temple dancheong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period. In yellow pigments, yellow ocher, yellow organic pigments, and orpiment were identified. While yellow ocher was used as a primer layer during all periods, it was mainly used as an upper layer coloring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ogether with organic pigments.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gradually replaced with yellow organic pigments so that toward the latter periods it was almost never used. Orpiment was only found in dancheong related to palaces after the late 19th century, so it is possible to infer the scarcity of orpiment at that time. In red pigments, the pigments that were use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were red lead, Cinnabar(Vermilion), and red ocher. Yuksaek(a pink color) was shown to use various mixing combinations such as pink clay and white lead, cinnabar and white lead, Minium and white lead, and red organic pigments and white lead. This appears to show that red lead, Cinnabar(Vermilion), and red ocher were used as a singular type of pigmen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so it seems that Yuksaek also does not have a division by time period. Green pigments were revealed to have used the artificial pigment of verdigri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Blue was expressed through Chinese ink or indigo, and for mineral pigments it was revealed that Smalt was used. In addition, the research subjects revealed that natural mineral pigments such as malachite and azurite were not used. On the other hand, in painting from the same period such as Buddhist paintings, portraits, and royal paintings, the usage of malachite and azurite was common, which reveals a large difference with the pigments used in dancheong. The pigments for green and blue showed a tendency to be gradually replaced with post-19th century Western pigments such as emerald green and ultramarine blue as time progressed into the late Joseon period. While soil pigments such as white clay, celadonite, yellow ocher, pink clay, and red ocher, were commonly used in dancheo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artificial pigments used from ancient times such as red lead, white lead, and cinnabar(vermilion) were artificial lead and mercury pigments that were used in dancheong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Meanwhile, through an analysis of the dancheong of Tongmyeongjeon Hall in Changkyung Palace, Old Seonwonjeon in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Jagy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it was confirmed that some pigment names recorded in the Yeonggeondogam-uigwe (construction reports) differed from the actual pigments used. Regarding green pigments, while the Noirok mentioned in the uigwe was revealed to be the same as the celadonite used, the pigments of Hayeop and samrok are estimated not to be pigments made from malachite but rather pigments made from verdigris. The blue colors are recorded to be Icheong and Samcheong. However it was founded that smalt used even in palace dancheong, which indicated a difference in this name and the pigment made from azurite. The color distribution of traditional dancheong does not reveal a clear division by painted period or component of pigments. The most significant reason for this is the damage to the original color of the dancheong due to peeling and color fading, and it is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method, variety of raw materials, differences of binders etc., comprehensively affected this. However, each color has a unique chromaticity distribution range by dancheong. It is believed that the color of dancheong is characterized m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ancheong rather than the raw materials. In addition, some colors such as Jangdan and Juhong or Yangrok and Hayeop are shown to have a mostly common chromaticity distribution pattern in dancheong; that is, they are shown to have similar ratios for a*, b* values. Although the chromaticity distribution of traditional dancheong identified in this research was formed at a lower level in terms of brightness and chroma compared to the colors of the original dancheong, it is expect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color of original dancheong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restoration of colors in traditional dancheong.

      •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 설계에 관한 연구 : InterPARES 3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을 기반으로

        송유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이메일은 조직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을 위한 보편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업무 용도로 이용되는 이메일 기록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이메일 기록과 관련한 논의가 다수 진행된 바 있다. 이에 국외의 많은 대학 또한 이메일 기록관리에 관련한 정책이나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이메일 기록관리와 관련한 논의는 대부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이며, 대학의 사례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를 위한 지침을 설계하고자 InterPARES 3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의 방법과 절차를 조사·분석하였다. 보다 실질적인 모듈의 적용 절차를 살펴보고자 InterPARES 3 프로젝트의 테스트베드 사례를 분석하였고 종합한 결과를 바탕으로 D대학교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는데 시범적으로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InterPARES는 ICA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와 공동으로 교육 실행계획인 디지털 기록의 방향: 디지털 보존의 주제를 개발하였다. 이 중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은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델의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설계 및 개발 절차를 위한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델의 이메일 맥락 식별 단계는 조직의 기록관리 원칙, 기술적인 능력, 법적 문제, 조직 문화 경향과 같은 맥락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는 이메일 관리와 보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 결정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이전의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메일 관리 및 보존의 정책과 절차를 설계/수정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작성된 이메일 관리 및 보존의 정책과 절차를 구현한다. 본 연구는 보다 실질적인 적용 절차 및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InterPARES 3 프로젝트의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에 기반을 두고 있는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 빅토리아대학교, 사이먼 프레이저대학교의 사례연구 보고서, 웹사이트, 이메일 관리 지침 또한 검토하였다. 위에서 분석한 InterPARES 3의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과 세 개 대학의 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범적으로 D대학교에 적용하여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였다.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법률 및 지침, 이메일 보안, 이메일의 유형과 처리방법, 관리방법, 저장방법, 보존방법, 첨부파일, 이름 지정 규칙, 보존 및 폐기, 권장사항의 10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함에 있어 국제적인 표준 모듈에서 명시하고 있는 방법과 절차를 분석하고 적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본 논문에서 적용한 방법론은 대학을 비롯한 유사기관에서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고자 할 때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본 논문을 통해 설계된 D대학교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D대학교와 유사한 성격이나 규모의 대학 및 조직에서 확대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계된 지침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반복적인 검증을 통해 수정해 나가는 InterPARES 3의 마지막인 구현단계까지는 수행하지 못하였다. 보다 견고한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이러한 구현단계를 통해 가능해질 것이다. E-mail is recently used as a general tool for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in work processes of various organizations. Accordingly,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e-mail records and management used for business has been strengthened. There were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e-mail records in Korea as well as overseas. Many overseas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provided policies or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as well. In Korea, however, most discuss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e-mail records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public organizations and cases of discussions rarely have been conducted by universities. Thus, in order to design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suggested by the InterPARES 3 project. To search for the process of practical module appli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est-bed case of InterPARES 3 project and, based on overall results, applied them to the design of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of D university on a trial basis. InterPARES jointly developed a theme for educational initiative, ‘digital records pathways: topics in digital preserv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in it intends to explain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el and includes five steps of design and development procedures. First, e-mail context identification step of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el considers contextual factors such as record management principles of the organizati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legal iss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endencies. The next step decides on the best way to manage and preserve e-mail and designs/revises policies and procedures for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receding step. The final step implements the policies and procedures for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epared. In order to analyze more pract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application, this study also reviewed reports of case studies, websites and e-mail management guidelines of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Victoria, Simon Fraser University in Canada, which are based on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of the InterPARES 3 project. Based on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of InterPARES 3 analyzed above and the results of case studies of the 3 universities, this study designed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through trial application to D University.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consist of ten elements: law and guidelines, e-mail security, types of emails and handling methods, management methods, saving methods, preservation methods, attached files, naming conventions, retention and disposition and recommend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analyzed and appli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stipulated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dule in designing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at is,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by similar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when designing guidelines for their e-mail records management.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D university designed by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xtensively applied to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s with characteristics and sizes similar to those of D university. This study, however, could not perform through the implementation step of designed guidelines which is the final step of InterPARES 3 where designed guidelines are applied to the field in practice and are modified through repeated verifications. More robust and solid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w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this implementation step.

      •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의 육류조림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및 품질 특성

        송유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structure of products preferred by older adults, in order to develop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nior-friendly food products. To achieve this, animal protein-based food, specifically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was used as the sample.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11 trained individuals in their 20s to evaluate 10 different commercially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A total of 82 individuals aged 50 and above were surveyed to assess the hedonic ratings of 8 different commercially available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ased on age and the presence of swallowing disorder. Additionally, liking and disliking factors were analyzed, and perceptions and consumption behaviors related to senior-friendly food, meat, and braised meat in soy sau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sorted Napp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and methods of product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among older adults. In 'Study 1,' a descriptive analysis and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of the 10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revealed a total of 25 characteristics, with 20 characteristic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excluding smoked smell, sweet taste, bitter taste, umami, and savory taste. General braised beed in soy sauce (SGB) was rated highly for brown, surface gloss, grain of meat, pepper flavor, soupy, residual, toughness, chewiness, and roughness. The general pork product (BGP) exhibited strong chili pepper and garlic flavors, while the general pork product (DGP) showed pronounced soy sauce flavor and salty taste. Among senior-friendly products, HSB and HSP were highly rated for lumpiness, oil flavor, nutty flavor, smoothness, moistness, and a swallowing. The senior-friendly product SSP had a strong gamey smell. The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including pH, color value, water content, salinity, sugar content, and texture properties of the 10 samples, showed that HSP and SSP, pork senior-friendly foods, had higher pH levels. SSP had higher L and b values, and SGP had a higher a value. Water content was higher in pork samples compared with beef samples from the same manufacturer, and senior-friendly products had lower saltiness and sugar content. Overall, senior-friendly products (HSB and HSP) had a softer texture. Multiple factor analysi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dat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howed that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from the same manufacturer exhibited similar characteristics despite differences in the variety of meat used. In “Study 2”, the sorted Napping and consumer preferences about eight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selected based o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the descriptive analysis, were investigated for older adults. During the sorted Napping, older adults primarily recognized attributes such as roughness, smoothness, sweet taste, and salty taste. A distinction was observed between senior-friendly foods and general braised meat samples, and senior-friendly product samples could also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manufacturer. Furthermore, when compared to the overall liking ratings, it was evident that products were divided based on preference. Participants showed a high recognition of swallowing disorder(61.0%) and a low incidence of swallowing disorder(67.1%). More participants had not purchased senior-friendly foods, with "Never heard of it(41.7%)" being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purchasing. "For taking nutrition(31.8%)" was the primary reason for purchasing. Participants had a high preference for meat, with 56.1% consuming it 2~3 times a week. The primary reason for preference was "For taking nutrition(55.7%)," with "Taste (30.5%)" b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onsuming meat. Participants who had purchased braised meat in soy sauce more frequently had preferences for "Easy to eat(47.1%)" and were less likely to “Cooking it myself(48.4%)”. "Taste (45.1%)"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raised meat in soy sauce preference. The consumer preference survey for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among older consumers showed that BGP, a general product with pork, was the most preferred option across all categories, except for color preference. However, senior-friendly products scored lower in overall liking, appearance preference, color preference, flavor preference, taste preference, texture preference, familiarity,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mong the sensory intensities, sweetness and softness were rated closest to 'just right' for CGB, saltiness for SSP, and swallowing for DGB. Participants aged 75 and older rated familiarity,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higher than participants aged 74 and younger. Participants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 rated overall liking, color preference, flavor preference, texture preferenc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higher. Familiarity, taste preference, texture preference, overall liking, and swallow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urchase intention, also age and saltiness influence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liking factors for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included brown, lumpiness, grain of meat, smoked smell, chili pepper flavor, soy sauce flavor, savory taste, salty taste, umami, smoothness, chewiness, moistness, and swallowing. The disliking factors included brown, lumpiness, smoked smell, Gamey smell, soy sauce flavor, sweet taste, salty taste, smoothness, soupy, toughness, chewiness. BGP, with high overall preference, was preferred for chili pepper flavor, savory taste, and brown but was not preferred for brown. Senior-friendly products were preferred for moistness, smoothness, savory taste, lumpiness, and swallowing but were not preferred for smoothness, lumpiness, gamey smell, and soy sauce flav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aised beef and pork in soy sauce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foods with high palatability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older ad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the research of senior-friendly foods consisting of meat and braised dishes.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of sensory attributes from highly preferred products to senior-friendly foods for quality improvement implies the potential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demands of older adults. 본 연구에서는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가 선호하는 제품의 특성과 인지 구조를 분석하여 고령친화식품의 품질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동물성 단백질 급원 식품이며,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가 선호하는 재료와 맛, 조리방법으로 만들어진 육류조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훈련된 20대 패널 11명을 대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육류조림 10종의 묘사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2>에서는 50세 이상의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 82명을 대상으로 sorted Napping을 통해 육류조림 인지 구조와 제품 분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고령친화식품, 육류, 육류조림에 대한 인식 및 소비행동과 시판 육류조림 8종의 기호도를 조사하였고 선호 및 비선호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제품의 관능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육류조림 시료 10종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 총 25개의 특성이 도출되었으며, 훈연향, 단맛, 쓴맛, 감칠맛, 풍미 있는 맛을 제외한 20개의 특성에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 소고기 육류조림인 SGB의 갈색, 윤기, 고기의 결, 후추 향미, 텁텁함, 잔여감, 질김, 씹힘성, 거침이 높게 평가되었다. 돼지고기 일반제품인 BGP는 고추 향미와 마늘 향미, DGP는 간장 향미와 짠맛이 강하게 나타났다. 고령친화제품 중 HSB와 HSP는 덩어리짐, 기름 향미, 고소한 향미, 부드러움, 촉촉함, 부드러운 목넘김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고령친화식품인 SSP는 누린내가 강하게 나타났다. 육류조림 10종의 pH, 색도, 수분함량, 염도, 당도, 조직감 등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돼지고기 고령친화인증 제품인 HSP와 SSP의 pH가 높았으며, 색도 중 명도와 황색도는 SSP, 적색도는 SGP가 높게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동일한 제조사의 육류조림 중 우육 조림보다 돈육 조림의 수분함량이 높았고, 고령친화제품 육류조림의 염도와 당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감은 전반적으로 고령친화식품인 HSB와 HSP가 낮았다. 묘사분석 데이터와 품질특성 결과를 다중 요인분석한 결과, 원료육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제조사의 육류조림이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묘사분석의 질감 특성 결과를 반영하여 선정된 육류조림 8종의 sorted Napping, 소비자 조사를 통해 예비고령자 및 고령 소비자의 기호도와 제품 인지 구조를 확인하였다.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들은 sorted Napping 수행 시 질김, 부드러움, 단맛, 짠맛을 주로 인식하였다. 고령친화식품과 일반 육류조림이 구분되었고 원료육에 따른 분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선호도에 따라 제품이 나누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 중 연하곤란에 대해 알고 있는 비율은 61.0%로 높았으며 저작의 어려움을 겪는 비율은 32.9%였다. 고령친화식품의 구매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는 ‘들어본 적이 없어서(41.7%)’가 가장 많았고 구매 이유로는 ‘영양가가 많아서(31.8%)’가 가장 높았다. 육류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며 1주일에 2~3회 섭취하는 비율이 56.1%로 가장 높았다. 선호 이유는 ‘영양가가 많아서(55.7%)’가 가장 많았고 육류 섭취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맛(30.5%)’의 비율이 높았다. 육류조림에 대한 선호도는 보통 이상이었으며, 구매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더 많았다. 구매 이유로는 ‘먹기 편해서(47.1%)’가 가장 많았고 67.7%가 주로 소고기 조림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구매 이유로는 ‘직접 요리해서(48.4%)’의 비율이 높았다. 육류조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맛(45.1%)’이었다. 육류조림에 대한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의 기호도 조사 결과, 일반 돈육 제품인 BGP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기호도, 향/냄새 기호도, 맛 기호도, 질감 기호도, 친숙도, 구매 의도, 추천 의도 등 색상/색깔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고령친화제품의 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기호도, 색상/색깔 기호도, 향/냄새 기호도, 맛 기호도, 친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돼지고기 고령친화제품인 SSP과 HSP의 구매 의도와 추천 의도 점수가 낮았다. 특성 강도 중 단맛과 부드러움은 CGB, 짠맛은 SSP, 부드러운 목넘김은 DGB에서 ‘적당하다’를 나타내는 4점과 가장 가까운 점수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기호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75세 이상의 소비자는 74세 이하의 소비자보다 육류조림의 친숙도, 구매 의도, 추천 의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삼킴장애에 따른 기호도 비교 결과, 삼킴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삼킴장애가 없는 대상자보다 전반적인 기호도, 색상/색깔 기호도, 향/냄새 기호도, 질감 기호도, 추천 의도 점수가 더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친숙도, 맛 기호도, 질감 기호도, 전반적인 기호도, 부드러운 목넘김이 높을수록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도가 높아지며 추천 의도에는 향/냄새 기호도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요인으로 갈색, 덩어리짐, 고기의 결, 훈연향, 고추 향미, 간장 향미, 고소한 향미, 짠맛, 감칠맛, 부드러움, 씹힘성, 촉촉함, 부드러운 목넘김이 주로 선택되었고, 비선호 요인으로는 갈색, 덩어리짐, 훈연향, 누린내, 간장 향미, 단맛, 짠맛, 부드러움, 텁텁함, 질김, 씹힘성이 높은 빈도로 선택되었다. 기호도 점수가 높은 돼지고기 일반 육류조림 시료인 BGP의 선호 요인으로 고추 향미, 감칠맛, 갈색이 주로 선택되었고 비선호 요인으로는 갈색이 나타났다. 고령친화제품의 선호 요인으로는 촉촉함, 부드러움, 고소한 향미, 덩어리짐, 부드러운 목넘김이 나타났으며 부드러움, 덩어리짐, 누린내, 간장 향미 특성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육류조림의 관능 및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의 인식을 이해하여 기호도가 높은 고령친화식품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는 육류 및 조림으로 구성된 고령친화식품의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선호도가 높은 제품의 관능특성을 고령친화식품에 적용하여 품질을 개선하고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