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Giemsa 분염법에 의한 솔나리의 핵형 분석

        손진호(Jin Ho Son),송남희(Nam Hi Song) 한국식물학회 1978 Journal of Plant Biology Vol.21 No.1-4

        The karyotype of Lilium cernum has been analysed by means of C-banding technique. Most of clones observed were 2n=24 chromosomes which consist of two pairs of submetacentric and ten pairs of subtelocentric chromosomes, among which two pairs of chromosomes (B and E) showed secondary constriction in the short arm. In addition to these chromosomes a small supernumerary telocentric chromosome was seen in the eight clones. Sixtyeight bands were observed in the twentytwo chromosomes of complement and one band in the supernumerary chromosome. A pair of chromosome (L) did not show any band. The bands on the chromosomes were distributed in the contromere, secondary constriction and intercalary regions of arms. Of the twelve pairs of chromosomes ten pairs showed symmetric banding patterns in each, but two pairs (I and K) showed asymmetric banding patterns.

      • KCI등재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학습과정에서 초등학교 아동들의 지식구조의 변화

        김종중(Jong Jung Kim),송남희(Nam Hi Song)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2 초등과학교육 Vol.2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structure constructed by children before formal instruction, and successive changes in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knowledge during the learning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unit. The researchers let the 5th graders draw the first draft of their concept maps in order to examine the pre-existing knowledge structure concerned with the unit and also four concept maps after completing every fourth lesson. Each concept map drawn by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one showed the degree of their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two levels of hierarchy and fiv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rst concept map(relationship, hierarchy, cross link and example) were proven to be valid in terms of conceptual relevance. According to the standard map, there was no change in hierarchy from the 2nd to the 3rd map, and in example from the 2nd to the 4th map. However, the gradual and successive increases of the scores in all components appeared in the children`s maps throughout the unit. Knowledge restructuring occurred strongly in the early periods from the 1st to the 6th lesson, and the significant stable changes in tuning and accretion appeared throughout the whole less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the 5th grader`s knowledge structuring.

      • 예비 초등교사들의 세포에 대한 개념

        송남희,장명덕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3 No.1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4학년까지 총 127명의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면담에 의해 세포에 대한 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으며, 어떤 유형의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모든 예비 초등교사들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기본단위가 세포라는 과학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감자나 고기와 같이 우리가 음식물로 이용하는 생물체의 일부분은 단순히 양분 덩어리인 것으로 인식하는 등, 학습에서 얻은과학 개념과 실제 세계에 대한 또 다른 개념 체계를 병행하여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초등교사들은 핵,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 등과 관련된 세포의 기능에 대한 개념이 세포에 대한 다른 개념들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기 보고(장명덕과 송남희, 1978)된 초등교사들의 개념 형성 정도보다는 10%정도 높았다. 그러나 개체의 성장을 세포의 수준에서 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예비 초등교사는 조사 대상자의 57% 정도였으며 초등교사들보다 17% 정도 낮았다. 본 연구와 기 보고된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며 나타난 오개념들의 유형이 서로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러한 오개념들은 교정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예비 교사의 양성과정이나 현직교사들의 연수과정에서 이러한 기본 개념들이 바르게 확립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gree of the concept formation and to clarify the patterns of misconception on cell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with 120 pres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nged from freshman to senior, studying at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Jang and Song(1998).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ose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ell conceptions(Jandg and Song, 1998).

      • 예비초등교사들이 작성한 강낭콩의 한살이에 대한 관찰일지의 내용 분석

        송남희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9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2 No.-

        예비초등교사의 관찰 활동과 관찰일지 작성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이 작성한 ‘강낭콩의 한살이’에 대한 관찰일지를 관찰일지의 양식, 탐구의 계획성, 식물의 생장단계별 관찰 내용 및 관찰일지 작성의 끈기성 등을 분석하였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씨앗을 심는 방법’과 ‘강낭콩의 재배 방법’에 대한 사전자료조사를 하였으나 일지작성을 포함하여 관찰 활동에 대한 사전계획을 세운 학생의 비율은 10%로 낮았다. 2. 학생들의 관찰일지에는 날짜와 그림(사진)과 글을 병행한 관찰결과가 포함되어 있으나 날씨와 온도 등 식물 재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기록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학생들의 관찰일지에는 느낀 점이나 반성란이 포함되어 있었다. 3. 씨앗이 싹트는 단계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관찰한 사항은 ‘시간에 따른 떡잎의 변화’였다. 학생들은 겹잎보다 흩잎에 대해 더 많은 관찰결과를 기술하였으며,겹잎을 이루는 소엽을 각각의 잎으로 헤아렸다. 약 70%의 학생들이 줄기의 생장을 측정하였으나 7회 이상 측정한 학생의 비율은 30% 이하로 낮았다. 꽃의 모양에 대해 구체적인 관찰을 한 학생은 없었으며, 열매의 크기를 측정한 학생은 17% 에 불과하였다. 4. 떡잎과 본잎을 바르게 구별하지 못하는 학생이 약 20% 에 해당하였으며, 계속관찰과 관찰일지 작성에 관한 끈기성은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 for the observational activity and for writing the observation diary in the life cycle of the kidney bean. The observational pattern, planning, and contents by growth stage and the patience m writing the diary were analyzed for the freshmen of university of education. Most students investigated the materials in advance about "how to plant the seed" and "how to grow the kidney bean" through the internet. But the rates of the students making a preliminary plan about observation activity including a daily record writings were very lowC10%). The observation diary included the observational results such as the date, drawingCor photo) with writings, but the record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growth such as weather conditions were likely to be omitted. The observation diary also included the feeling and reflection for growing plants. Most students observed "the change in appearance of the cotyledon over time" in the germination stage, and described more about the simple leaf than the compound one after the stage, and misunderstood the leaflet of the compound leaf as the leaf. About 70% of students measured quantitatively the growth of the stem, but the rate of students measuring the growth more than 7 times was lowtbelow 30%). There was no one who observed the shape of the flowers concretely. The ratio of the students who measured the fruit in size was no more than 17%. 20% of students can't discriminate between the cotyledon and the mam leaf. There was no tenacity in observing the growth of the plant periodically and in writing the observation di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