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민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연구

        송나경(Na Kyoung S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다층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1수준 개인변수로 서울서베이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서울통계(stat.seoul.go.kr)의 2015년, 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행정동 단위의 지역변수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높은 스트레스 수준은 주관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적 신체활동 및 높은 보행 만족도, 사회참여와 모임 및 단체 활동은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수준 변수의 경우 1인당 공원 면적, 지역생활안전 수준이주관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개인 변수를통제하고도 개인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행정동 단위의 지역 주민 주관적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in Seoul using HLM analysis. Proposing that regional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of individuals,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ir impact by using variables not included in previous research. For analysis, two different data sources were merged: the individual-level data derived from the 2017 Seoul Survey and the socio-demograph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424 administrative districts collected from Seoul Statistic (stat.seoul.go.kr) in 2015 and 2016. Among individual-level variables, stress level, physical activities, satisfaction for pedestrian, social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amenities such as local park area per person and local life safe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and happiness index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refore, the empirical evidence establish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validat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local community environment for promoting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bjective health promotion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1인 가구의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비교연구

        송나경(Na Kyoung Song),박향경(Hyang Kyung Park),노재성(Jai Sung Noh)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1인 가구 형태에 주목하여 연령에 따라 청년, 중ㆍ장년, 노년층으로 집단을 나누고, 집단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혼자 사는 청년보다 중ㆍ장년과 노년의 자살 생각 경험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계층에 따라 자살 생각에 차이가 있으며,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영향요인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에 따라 공통으로 자살 생각에 가장 큰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우울감, 일상생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에서는 공통요인을 제외하고 걷기운동 빈도가 자살 생각과 연관이 있었다. 중ㆍ장년 1인 가구의 경우 배우자, 경제적 특성, 흡연, 그리고 사회활동참여 및 가족, 이웃, 친구와의 연락 빈도가 자살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며, 65세 이상 노년 1인 가구의 경우 소득과 직장 유무의 경제적 특성과 고위험 음주, 걷기운동의 빈도 및 사회활동참여빈도가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인 가구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지금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1인 가구의 연령계층별 특성 및 욕구를 고려한 사회복지 차원의 예방, 관리 대책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ged 19 and older. Using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grouping them into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it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suicidal thoughts by age groups. Suicidal thoughts rat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 adults. Also, according to age group,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uicidal thoughts associated factors. Depress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thoughts regardless of the age group. Except the common factors, the frequency of walking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thoughts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middle-aged people in single-person households, spouse, economic status, smoking,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neighbors, and friends were statistically related to suicidal thoughts. In case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income, employment status, high risk drinking, the frequency of walking exercise, and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suicidal thoughts. This study finding shed light on single-person household s psychological difficulties. It also discusses social health and welfar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희 ( Jung Eunhee ),채철균 ( Chai Choulgyun ),문하늬 ( Moon Hani ),송나경 ( Song Na K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거주 중고령자의 물리적 환경과 우울증상의 관계에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시의 각 동주민센터와 노인복지시설 및 중고령층을 위한 교육시설을 방문하거나 이용한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31부의 설문이 회수되었고 주요변수에 대한 무응답 사례를 제외한 309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물리적 환경의 직접 및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고령층의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은 통합성을 매개로 우울증상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안전성, 쾌적성, 접근 편의성, 보행친화성과 같은 근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통합성이 높고, 통합성이 높은 사람은 낮은 우울증상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층의 우울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symptom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metro city. To verify correlates of community environment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 model structured by social capital and sense of coherence(SOC) were used.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ged 48 - 70 from the local community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the total collected cases were 331. After data cleaning, total 309 cases were used.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applied to analys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 findings were followed : First, the community environment did not directly affect level of depression. Second, i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social capita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only through the SOC. To be specific,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creased SOC, and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s on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ose who are exposed to poor community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