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액체의 유동적 현상을 모티브로 한 도자조형 연구 : 스크래치를 중심으로

        송경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동성은 액체와 같이 흘러 움직이는 성질로, 이는 환경이나 타의적인 요소에 의해 움직임을 가지고 변화된다. 또 불확정성, 가변성, 우연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그것을 규정짓거나 정확히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유동성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새롭게 생성, 제거, 확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동적 현상에서 발견되는 다채로운 형상은 예술로서 표현하는데 새로운 영감과 동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액체의 유동적 현상을 모티브로 하여 유동하는 실체를 도자조형을 통해 나타내고자 한다. 액체 안에서 변화되는 물감형상을 관찰하고 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초기, 중기, 후기 단계별 각각의 형태적 특징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입체적으로 형태화하였다. 제작 과정에서 형태의 특성상 굴곡이 많고 축적된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형태 변형과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백색조형토 소지를 사용하였다. 반면 백색조형토의 특성상 낮은 백색도와 표면에 분포된 샤모트 입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두운 색의 유약과 색화장토를 사용하여 색상과 샤모트 질감을 최소화하여 나타냈다. 스크래치를 통해 바탕색과 표면색의 대비를 표현하고자, 재벌이 완료된 표면에 테라시질라타를 도포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반복된 선을 나타냈다. 스크래치를 통해 나타나는 두 가지 색상의 결합은 반복의 선으로 형태적인 굴곡을 따라 이동하며 선의 이동은 어느 시점에서 단절되지 않고 형태의 굴곡을 따라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나도록 하였다. 이때 나타나는 스크래치 선은 반복을 통해 일정한 무늬를 형성하고 이는 시각적으로 움직임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스크래치에 나타난 선의 움직임과 질감은 유동적 현상에서 느낄 수 있는 역동성, 방향성, 시간성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극적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의해 유동하는 물질의 움직임과 상반되는 정지된 상태의 도자 조형물로 실체에서 나타나는 각 과정의 특징과 변화를 다각도로 제시하고, 스크래치를 통해 액체의 유동적 현상이 가지는 역동성, 방향성, 시간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Fluidity is a property to flow and to move like liquid and changes with motion through its environment or external factor. And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such as uncertainty, variableness and contingency, it is difficult to define or predict accurately it, But fluidity implicates many possibilities of generating, removing and expanding. Colorful forms discovered in these fluidic phenomena provide new inspirations and motivations to express as an art. This study aims to express a substance to flow through ceramic plastic art based on the motive of fluidic phenomena of liquid. By observing form of paints changed in liquid and understanding the phenomena, characteristics of forms in initial, middle and late stages, respectively were discovered and based on them, characteristics appeared in each stage were shap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production, in order to express a very crooked and accumulated shape in the aspect of form, white grogged clay body was used for minimizing shape transformation and crack. And dark glaze and colored clay were applied to minimize lower whiteness and chamotte grains. To express contrast between background color and surface color through scratches, the surface finished with second-baking were applied with Terra Sigillate and then repeated lines were expressed with scratches. Combination of two colors appeared by scratches is moving in accordance with winding shape with repeated lines while motion of lines is expressed in continuous connection according to winding of forms without discontinuity in a moment. The line of scratches forms regular patterns through repetition and it makes visual motion. And motion and texture of line on the scratches function as dramatic factor to show dynamic, direction and temporality in fluidic phenomena. The work is a ceramic plastic art of static status, which is opposite to motion of matter to flow by time, suggesting multilaterall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each stage in reality and expressing effectively dynamic, direction and temporality of fluidic phenomena of liquid by scratches.

      • 코퍼스 기반 원어민 화자와 한국인 화자의 학술 논문에 나타난 언어적 비교 분석 : 영어 관련 학술 논문 중심으로

        송경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ould be far from an easy goal for Korean learners to become able to speak or write like native speakers in an EFL environment. As educational methods have developed and diversified, more and more academic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this field. It is important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the results of one’s research logically. Therefore, in order to help Korean learners write academic articles more efficiently and naturally, in this study I have compared, based on corpus linguistics, various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academic articles written by English-native speakers and Korean auth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nglish-native speakers and Koreans in terms of academic writing, and to discuss how to apply these findings to English education. For this study, among many other disciplines, academic articles on English literature,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 analysis of vocabulary in regard to content words, nouns appeared similarly in the two corpora, but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used a more diverse range of verbs and adjectives than Korean authors did. Then, in regard to function words, compared with the British National Corpus(BNC), these same results showed that articles and prepositions usually appeared at the same rate in the two corpora. Second, among function words, pronouns were separately analyzed. The personal pronoun, ‘we’ in academic articles by native English speakers appeared twice as often as in articles written in English by Koreans. And in terms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these’ and ‘those’, native English-speaking authors used ‘these’ more than Korean authors did. Third, modal verbs,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in communication, were examined. On the whole, modal verbs were used a little more often in academic articles of English-native authors, and, specifically, English-native authors used the past form of modal verbs such as ‘could’, ‘would’, and ‘might’ much more than Korean authors did. Finally, ‘should’ and must’, which represent obligation, were used even more often by Korean authors than by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Fourth, lexical bundles such as 'in terms of the' and 'on the other hand' were examined. These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frequency, structure, and function. Concerning frequency, in the case of academic articles by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lexical bundles appeared in papers on English linguistics more than in other fields, and in the case of journal articles by Korean authors, lexical bundles appeared in English education articles more than in other fields. ‘At the same tim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academic articles of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and ‘on the other hand’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journal articles of Korean authors. Regarding structure, noun and prepositional phrases which include the preposition ‘of’, appeared most often, and prepositional phrases including other prepositions also appeared frequently. And last, as for function, by and large, referential bundles were frequently used in the two corpora. In terms of sub-category, the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used quantifying bundles a lot more often than Korean authors did. Framing, a sub-category that functions as a text organizer,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in the two corpora. Fifth, conjunctions and conjunctive adverbials needed for writing cohesion were investigated. Regarding ‘however’, there we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rpora, but in terms of position, the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used ‘however’ similarly in both initial and medial positions. On the other hand, Korean authors used ‘however’ far more often in a initial position than in a medial position. In the case of ‘therefore’ and ‘thus’, there were also not many differences regarding frequency. But in terms of position, the great majority of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used ‘therefore’ in a medial position, while Korean authors used ‘therefore’ in an initial position. Sixth, key words in the two corpora were examined, using the BNC as a re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words such as ‘student’, ‘teacher’, ‘learner’, ‘as’, ‘of’, ‘in’ were used commonly by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in academic articles by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key words included ‘dialect’, ‘variation’, ‘texts’, and ‘frequency’, while for Korean authors, ‘feedback’, ‘proficiency’, ‘native’, ‘syntactic’, ‘constructions’, ‘clauses’, and ‘adjunct’ appeared often. The results of key words present in each corpus also showed that ‘we’, ‘these’, ‘our’, and ‘would’ appeared frequently in academic articles of native English speaking authors and that ‘the’, ‘Korean’, ‘feedback’, ‘EFL’, ‘proficiency’, and ‘his’ were common in those of Korean auth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opportunities to learn authentic English through diverse genres need to be given to English learners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s in using English. And also, if educators recognize these differences and teach their students properly,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training English learners to write academic articles as well as various other forms of writing.

      • SQ3R의 상세화가 한국어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송경진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상세화된 SQ3R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로써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학문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며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의 방법으로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Robinson의 SQ3R을 각 단계에 읽기 전략을 접목시킨 상세화된 SQ3R을 고안하였다. 이는 훑어보기-제목 기억하기 전략, 질문하기-질문하기 전략, 자세히 읽기-밑줄 긋기 전략, 되새기기-노트하기 전략, 다시 보기-도해 조직자 만들기 전략이다. 상세화된 SQ3R이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의 맥락 이해하기, 세부 내용 파악하기, 중심 내용 파악하기, 추리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알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세화된 SQ3R은 맥락 이해하기, 세부 내용 파악하기, 추리 및 추론하기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읽기 전·중·후 전(全)단계에 걸친 활동을 통해 읽기 지문을 세부적으로 읽게 되었으며 도해 조직자를 구성해봄으로써 글의 구조와 맥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상세화된 SQ3R은 중심 내용 파악하기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이지 않았다. 상세화된 SQ3R 훈련을 통하여 세부적인 내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됨으로써 중심 내용 파악에 소홀하게 되어 효과를 보이지 못한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의 경우 10차시라는 짧은 훈련 기간과 연구 대상이 된 집단별 표본 수를 많이 확보하지 못하였다. 둘째, 중·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생만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진 한계가 있으므로 상세화된 SQ3R이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적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도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seek for a way to develop reading comprehension of foreign students who aim to study Korean to apply for a university or a college. And it also examines the usefulness of specific SQ3R. Hereby, the study investigates if the SQ3R practically helps foreigners to learn Korean efficiently and suggests teaching method in educating the students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strategies have been added to each step of Robinson’s SQ3R in order to prove its hypothesis. The specific SQ3R uses the following strategies: survey—memorizing a title, question—asking questions, read—underlining, recite—taking notes, and review—creating graphic organizer. The hypothesis has been tested to figure out how the specific SQ3R has an effect on understanding context, understanding details, understanding main idea, and reasoning ability of Chinese students. Based on this experiment, the SQ3R has pros and cons. Firstly, the specified SQ3R has had positive influence on understanding context, understanding details, and reasoning ability. The students are able to read a passage thoroughly by doing activiti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Moreover, making graphic organizer lets the Chinese students understand the writing structure and the context. Secondly, the specific SQ3R has not been effective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context. The main reason is that since the specific SQ3R has made them focus on the details, they fail to understand the main idea. This experiment has several limits that block the study from getting accurate result. First of all, this hypothesis has been tested only ten times and 20 people including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are subjects to this experiment. This means that the experiment hasn’t provided the students enough time for training and had enough participants to make this experiment accurate. Secondly, only the Chinese students with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in Korean are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An experiment involving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with various levels in Korean is expected to be conducted to popularize this newly designed SQ3R and to find out if the beginners are eligible for the SQ3R.

      • 회계정보특성이 정보수용의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경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정보화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기업의 업무방식도 변화했다. 수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정보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근로자는 필수적으로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업무에 임하게 되었다. 특히 경영활동의 결과를 나타내고 미래를 예측하여 기업 내·외부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정보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정확한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회계정보시스템을 통한 회계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며 이는 곧 기업의 경영성과와 직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계정보시스템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강제적으로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회계정보시스템의 이용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거나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계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의도를 높이는 것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여 회계정보특성이 기술수용모델(TAM)의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을 거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의료기관과 비의료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314부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 후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및 AMO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정보특성 중 정보범위, 적시성, 요약화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계정보특성 중 정보범위, 요약화, 통합성이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수용의도 중 인지된 유용성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수용의도 중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모두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재무성과는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무분야에 따라 의료기관과 비의료기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추가분석 한 결과, 의료기관은 회계정보특성 중 요약화가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고 통합성이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의료기관은 적시성이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보수용의도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의료기관은 인지된 유용성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의료기관은 인지된 용이성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두 집단 간의 경로분석 결과를 토대로 두 경로계수 간 차이의 t값을 비교하였다. 회계정보특성 중 적시성이 정보수용의도 중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수용의도 중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이 경영성과 중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회계정보특성과 정보수용의도, 경영성과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회계정보특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정보수용의도가 매개변수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adv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ay companies work changed,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in order to handl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more effective manner. Using an information system, therefore, has become an essential way for a worker to perform her work.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which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important decision making for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a company by means of indicating the results of business activities and predictions of the future, is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For precise information and effective decision making, it is essential to utilize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an accounting system.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hinges upon this. For this reason, a user must be able to understand the accounting system correctly and use it effectively. However, as the users are forced to use these systems regardless of their intent, some feel resentful against the use of accounting systems, while the utilization level of these systems sometimes suffer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he TAM upon the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creasing the intent of acceptance among the users of an accounting syste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s. For this study, the worker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non-medical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31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data so collected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and AMOS 2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scope of information, timeliness, and aggreg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scope of information, aggregation, and integr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of the intent to accept the information, perceived usefulnes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s. Also, of the intent to accept the informa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bot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s. Fourth, non-financial performa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s. Fifth, further analyses conducted separately for medical institutions and non-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the field of work showed that, in medical institutions, aggreg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had an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while integr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On the other hand, in non-medical institutions, timeli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both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 to accept inform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s,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non-medical institutions,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s. Seventh, the researcher compared the t-values of the two path coeffic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es between the two group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timeliness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mong the intent to accept information. Of the intent to accept informa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its impact upon financial performances among business performan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intent to accept inform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hile the intent to accept information serv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s.

      • 공공도서관에서의 리터러시 가치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송경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and reaffirm the non-economic values of public library in literacy as it’s core miss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one of the critical research aims is to analyze librarians and patrons’ perception of the values in literacy an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ir recognition.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bibliometric analysis and a survey are used. Literature review of literacy theories and value theories shows that the concepts of literacy have been defined differently in each disciplines and new literacy concepts have been deriv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topics of study. The concept of literacy has been formulated initially to expla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autonomous model and the ideological model in the field of early cultural anthropology. Since then, literacy has been differentiated into the functional literacy and the so-called ‘new literacy’ from the viewpoint of practicing the concept. Especially the well-cited functional literacy concept as in the global literacy campaigns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the meanings of essential features like basic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for daily human life. Also the ‘new literacy’, conceptualized as the multi-layered meanings in social contexts, has been serv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accepting newly derived literacy concept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literacy as “a comprehensive ability to use a medium,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solving the problems people faces in order to understand particular subjects or situations they are in.” And also it defines literacy services as “the services or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patrons’ literacies.” One thousand and two articles from literacy related studies were collected for bibliometric analysis from the Web of Science database using the keyword ‘literacy.’ All articles belonged to the subject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Library Science’ of WOS. According to the results, literacy-related research has been increased exponentially since 2006.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social changes accompanying the advances in ICT from 1990 increased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and prompted nation-wide literacy campaigns in UK and USA resulting in legislation. Results of bibliometric analysis also showed that literacy-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of LIS has been concentrated i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under the condi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A case study for literacy services in Korea and overseas was conducted with the frame of Queensland State Library’s literacy service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iteracy services both in Korea and overseas had two common features. One was that literacy concept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were multi-layered, and the other was that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formalized types. Most of public libraries were using newly derived different literacy concepts for their services, but their contents of services could not discriminated. In addition, literacy services adopted in public libraries could be classified several common types. These features showed a possibility that librarians and patrons both have not been aware of concept of literacy and the necessity of literacy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Thus public libraries have to clarify the relevant concept of their literacy services, reorganize and promote their literacy services to patrons in a way that they can recognize the value of those serv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3 to March 2, 2014. Thirty public libraries were selected from National Library Statistics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full-time librarians, but two public libraries were dropped from the sample for during the survey. One was where the response rate of librarians were very low, and the other was where the user survey was not possible for it’s renovation. Total of 1,0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473 librarians and 565 patron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an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ypical public librarian could be profiled as a woman aged over 40, educated in university, has one or more children, and has worked more than 15 years. In the case of patrons, the largest percentage of ages was people in their 20s. And students and unemployed were the highest among occupations. Librarians and patrons showed gaps in their experiences for the literac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For librarians, their experience in the literacy services were related with the ones designed to enhance resour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trast, patrons’ experiences were related with practical or socially trendy services. The public library budgets were related with labor costs, but not with library programs and educations for patrons. The statistical tests found cognizance of literacy concept as the most affecting variable to the perceptions of literacy values. The cognizance of literacy concept was affected by the librarians’ gender, region, and education, and was affected by the patrons’ region and occupation. Gender, region, and occupation were demonstrated to affect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literacy values. But there were no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patrons’ perception of literacy values. Experiences in literacy services were represented as affecting factors to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literacy value as a whole including ‘family security’, ‘broad mind’, ‘capability’, and ‘equality’, but they were not affecting the patrons.’ Each value items of literacy were found to affected by experiences in literacy services except ‘capability’ in both groups. ‘Capability’ was the most valuable value item in the librarians and the patrons, but it was not affected by experiences in literacy services. The result implies that ‘capability’ may be perceived as the most universal value in literacy values on the basis of conceptual agreement not related with practical experiences. Library input variable as a whole was found to be not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iteracy values, but each library input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literacy values of librarians and patrons respectively. The annual budgets and the numbers of librarians were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values of ‘family security’ and ‘equality’ in the librarians. Frequency of cultural and reading programs in libraries have effect on the perceptions of literacy values for patrons as wel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vides considerations for literac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s below: 1) current literac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failed to serve the purpose and to have the effect of the services. It also might not reflect patrons’ need; 2) there seems to be a lack of consensus for literacy concept in public libraries as well a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3) the value of literacy was recognized only in personal dimension, and not in public or social dimensions of public libraries. In light of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or literacy services of Korean public libraries. There are needs to 1) re-organize and re-categorize current literacy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clear perception of the purpose and values of the services; to 2) clarify the concept of literacy and literacy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and to establish theories for public libraries’ literacy services in academic and public libraries; to 3) promote literacy values such as ‘broad mind’ and ‘equality’ on taking account of values and role of public library as a public good; and to 4) offer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and patrons to recognize diverse values of literacy.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ointed out. The study aimed to identify literacy values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values of Rokeach(1973) and Schwartz(1994). But the survey sample was limited to librarians and patron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literacy services defined in this study. 본 논문은 근대 시민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시민의 교육기관으로 발전해 온 공공도서관의 비경제적 가치를 공공도서관의 핵심임무인 리터러시의 가치에 비추어 재평가 하고 재인식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논문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문제는 공공도서관의 이해당사자인 사서와 이용자의 리터러시 가치 인식과 이에 유의한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 등을 사용하였고,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리터러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인용빈도와 내용분석에 따른 계량서지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리터러시 이론과 가치탐구 이론에 나타난 리터러시의 개념과 가치를 발췌하여 정리한 결과 리터러시 개념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각기 다르게 정의되고 있었으며, 여러 주제와 결합하여 새로운 파생 리터러시 개념이 등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기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자율 모델과 이데올로기 모델의 대립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으로 논의되었던 리터러시는 이후 리터러시 실천의 문제와 연결되면서 기능적 리터러시와 뉴 리터러시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분화하였다. 특히 세계적인 문맹퇴치 캠페인 등에 폭넓게 인용된 기능적 리터러시 개념은 최초의 어원이 의미하던 문맹과 비문맹의 이분법을 떠나 기본적인 문해력과 수리능력 등을 포함하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기능을 가리키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반면, 사회적인 맥락 안에서 다의성을 지니는 개념으로서의 뉴 리터러시는 다양한 매체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파생 리터러시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이론적 근거로 역할을 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에서 나타난 비판적 리터러시의 개념을 수용하여 리터러시의 개념을 ‘특정 주제나 상황을 이해하고, 해당 주제와 상황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체나 정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리터러시 서비스로 간주하였다. 리터러시 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은 Web of Science(WOS)에서 수집한 ‘Information Science Library Science’ 연구 분야의 논문 1,002건을 데이터로 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2006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리터러시 관련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정보 통신의 발달을 토대로 급변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생애교육 필요성의 증가, 그리고 이를 반영하여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성인 리터러시를 제고하려는 움직임이 새로운 법안의 설치와 국가적 차원의 캠페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키워드 분석과 초록 내용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연구는 정보 통신 환경에서의 정보 활용, 정보 리터러시 등의 문제로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리터러시 서비스 사례에 대한 조사는 호주 퀸즈랜드주립도서관이 국가 차원의 리터러시 캠페인에서 사용한 공공도서관에서의 리터러시 서비스의 종류와 개념을 틀로 하였다. 조사 결과 국내외를 막론하고 공공도서관의 리터러시 서비스 사례는 두 가지의 공통된 특징을 나타냈다. 그것은 각 공공도서관이 서비스를 기술함에 있어 서로 다른 파생 리터러시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내용상으로는 비슷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 ‘리터러시 개념의 혼재’와 리터러시 서비스 대부분이 내용상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 ‘리터러시 서비스의 정형화’이다. 이러한 특징은 이용자는 물론 사서들조차 리터러시의 개념이나 리터러시 서비스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양한 파생 리터러시를 포함,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터러시 서비스의 개념을 명확히 재정립하고, 리터러시 서비스의 목표, 내용, 대상을 이용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홍보함으로써 리터러시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는 국가도서관통계를 표집틀로 하여 정규직 사서수 10명 이상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역별 분포 비율에 따라 30개관을 선정하였으며, 설문지는 사서와 이용자에게 동수로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1월 23일에서 3월 2일까지였으며, 조사과정에서 사서의 응답률이 극히 저조했던 1곳의 공공도서관과 리모델링으로 이용자 조사가 불가능했던 1곳의 공공도서관이 표본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최종 회수된 설문은 28개 공공도서관의 사서 473부, 이용자 565부로 총 1,038부였다. 설문분석에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했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설문분석 결과 사서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은 대학을 졸업한 40대 이상의 여성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둔 15년 이상의 장기 근속자로 요약할 수 있었고, 이용자의 경우 연령별로는 20대가, 직업별로는 학생과 무직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사서와 이용자의 리터러시 서비스 경험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는데, 사서의 경우 도서관의 콘텐츠를 활용하는 목적의 리터러시 서비스 경험이 높았고, 이용자의 경우 실용적이고 사회적인 이슈를 반영한 리터러시 서비스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운영예산의 대부분은 인건비와 관련이 있었으며, 프로그램이나 이용자 교육 등의 서비스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 리터러시 가치 인식과 유의한 관계에 있는 중요한 변인은 리터러시 개념의 인지로 나타났으며, 리터러시 개념의 인지는 사서의 성별, 지역, 학력에 따라 그리고 이용자의 지역과 직업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는 사서에서만 성별, 지역, 학력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이용자에서 유의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리터러시 서비스의 경험은 ‘가족의 안위’, ‘관대함’, ‘유능함’, ‘평등’의 네 가지 가치항목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리터러시 가치의 인식에 있어서는 사서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에서는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가치항목별로는 두 집단에서 ‘유능함’을 제외한 나머지 가치항목의 가치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유능함’은 두 집단 모두에서 가장 가치인식이 높게 나타난 가치항목이었지만, 리터러시 서비스 경험의 영향은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능함’이 경험과 상관없이 관념적 동의를 바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리터러시의 가치일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서관 서비스 투입 자원은 전체적인 리터러시 가치 인식에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개별 가치항목의 가치인식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예산과 정규직 사서 수는 사서의 ‘가족의 안위’와 ‘평등’의 가치인식에 유의한 변인이었고, 연간 문화프로그램 실시 횟수와 연간 도서관 및 독서 관련 프로그램 실시 횟수는 이용자의 ‘평등’의 가치인식에 유의한 변인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결과에 비추어 공공도서관의 리터러시 서비스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1)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리터러시 서비스는 구체적인 목적, 내용, 효과 등을 제시하지 못한 채 제공되고 있으며, 이용자의 요구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2) 사서와 이용자의 혼란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문헌정보학계의 연구와 실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도 리터러시와 리터러시 서비스의 개념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고 혼재되어 있다. 3) 리터러시의 가치가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기능을 담지하지 못한 채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가치만 높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공공도서관에서의 리터러시 서비스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1)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리터러시 서비스를 이용자들이 그 목적과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리터러시의 개념과 리터러시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명확하게 재범주화 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2) 문헌정보학계와 공공도서관 현장이 주축이 되어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리터러시와 리터러시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공도서관 서비스와 관련된 리터러시 서비스 이론을 확립하여야 한다. 3) 공공재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가치와 역할을 고려하여, ‘유능함’과 같은 개인적 가치뿐 아니라 ‘관대함’과 ‘평등’의 사회적 가치도 높게 평가할 수 있도록 리터러시 서비스의 가치가 홍보되어야 한다. 4)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적용되는 리터러시와 리터러시 서비스 개념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사서에 대한 재교육과 이용자에 대한 홍보가 강화되어야 한다.

      •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한 주사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 적용

        송경진 건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을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지역에 소재한 중소병원 두 곳, H시 중소병원 한 곳, G시 중소병원 한 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9년 4월 15일부터 2019년 5월 20일까지 연구동의서를 작성 후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dent t-test, On-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안전한 주사실무에 대한 지식은 총 22점 만점에 평균 16.01 ± 1.54점이였고 안전한 주사실무에 대한 태도 6.45 ± 0.69점, 주관적 규범 5.70 ± 1.53점, 지각된 행위통제 5.71 ± 1.20점, 수행의도 6.26 ± 1.22점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한 주사실무에 대한 지식은 연령(F=7.33, p=.001), 병원경력(F=3.70, p=.012), 근무부서(t=1.71, p=.02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태도는 연령(F=8.90, p<.001), 근무부서(t=2.7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규범은 종교(t=1.58, 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행의도는 성별(t=1.33, p=.042), 종교(t=.534, p=.02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안전한 주사 실무에 대한 수행의도는 태도(r=.265, p<.001), 주관적 규범(r=.443, p<0.01), 지각된 행위통제(r=.77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행위통제(β=.73,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6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행위통제로 나타났다. 향후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한 주사실무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 시 주사실무 수행시 방해가 되거나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이 우선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assess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execution of safe injection practices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the level of execution of safe injection duties and settlement of the execution of safe injection practices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Data needed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April 15 to May 20, 2019 on the nurs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including 2 in D city, 1 in H city, and 1 in G city as the subjects, after having secured written informed consent of the subject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l conducte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on the knowledge of the safe injection practices was 16.01±1.54 out of the possible full score of 22 points, and the scores for the attitudes towards safe injection practic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action control, and executional intent were 6.45±0.69, 5.70±1.53, 5.71±1.20, and 6.26±1.22 points,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n the safe injection practi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n terms of the age (F=7.33, p=.001), work experience at hospital(F=3.70, p=.012) and department affiliated with (t=1.71, p=.025)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in terms of age (F=8.90, p <.001) and department affiliated with (t=2.73, p=.001). Mean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norm in terms of religion (t=1.58, p=.032), and in the intention to execute in terms of gender (t=1.33, p=.042) and religion (t=.534, p=.023). The intent of the subjects to execute safe injection practic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r=.265, p<.001), subjective norm (r=.443, p<0.01), and perceived action control (r=.778, p<.001). Factor that affected the intent of the subjects to execute safe injection practices was found to be perceived action control (β=.73, p<.001) with an explanation power of 60%. In summary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results, perceived action control was found to be the factor that affects the intent of the subjects to execute safe injection practic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ecut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ith priority in order to reduce the factors that cause the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o experience difficulties or interfere with the execution of injection practices at the time of developing interventional strategies to increase the level of execution of safe injection practices by the nurses.

      • 아동문학 활용 장르별 글쓰기 독후활동이 초등학습자의 언어 및 비언어적 특징에 미치는 영향

        송경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mand to explore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of written languages in modern times when using written languages through the Internet, such as social media, is becoming more promin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o access reading and writing simultaneously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and genre-based writing and to explore the efficiency and use of genre-based writing activiti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into two categories. First, what features were observed in elementary English learners'‘linguistic category (changes i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rough genre-based post-reading writing activities? Second, what features were observed in elementary English learners’‘non-linguistic category(changes in attitude and perception)’ through genre-based post-reading writing activiti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Thus, six four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ttended genre-based writing class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for about three weeks, and the characteristic aspect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learners' writing results, questionnaire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data on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Creswell, 2017), and the detailed procedure was categorized by key concepts through open cod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In the case of data such as questionnaires, it was presented as supplementary data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a t-test using SPSS.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are shown as follows: First, in the‘linguistic category,’the learners showed improvement in both reading and writing areas through genre-based writing using children's literature. First, in the reading aspect, the learne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comprehension. The learners have shown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a positive impact of appropriate questions, organizer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learners. In the writing aspect, it was also found that their writing ability was enhanced, although it varied by the learner. In particular, presenting a genre in writing related to the story's subject matter provided the basis for activating the learners' schema, and the learners applied it in their wri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writing could be developed into a more logical one with a higher level of completion through such a process. Second, in the‘non-verbal category,' it was found that genre-based writing activiti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positively impacted their voluntary learning attitudes as well as their reading and writing. Regard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learners showed an attitude of self-learning by searching for books to read or words they did not know. The reason for this change in learning attitude can be interpreted as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nal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along with the interest in children's literature. Moreover, the learners' interests in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writing have changed positively. In English wri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interests had shown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experienced a relatively low burden, and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experienced a high burde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den of writing needs to be reduced through vocabulary learning and tasks appropriate to their levels. Based on these comprehensiv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children's literature and writing genres, there should be a connection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genre, and the selection of writing genres should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s. Selecting children's literature that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and inducing its application to the learners' writing can positively affect their vocabulary development. Furthermore, selecting a writing genre that is familiar to the learners or that the learners can use in daily life can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Second, level-based classes, such as high or low, are needed to reduce the learners' writing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arner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writing due to their difficulty with English. Considering such a result, segmenting class groups and providing guidance tailored to the learners' individual level will reduce their writing burden. Third, when planning a cla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ing and learning to express learners' thoughts and opinions freely. By allowing learners to think about and express their feelings and ideas, they can be helped to become more involved and active in writing.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method linking children's literature and genre-based writing can be effectively used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applied efficiently in the field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he subsequent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genre-based writing using children's literature will be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Keywords: Children's literature, Genre-based writing, Post-reading writing activities, Elementary English, Written language 본 연구는 현재 SNS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문자언어의 사용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기에, 효율적인 문자언어의 학습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는 요구에서 기인하였다. 이에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아동문학과 장르별 글쓰기를 통해 읽기와 쓰기 학습을 동시에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들의 특징을 관찰하여 아동문학을 활용한 장르별 글쓰기 활동의 효율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부응하기 위하여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문학 활용 장르별 글쓰기 독후활동을 통해 초등영어 학습자의‘언어적 부분(읽기·쓰기 능력 변화)’에 어떠한 특징이 관찰되었는가? 둘째, 아동문학 활용 장르별 글쓰기 독후활동을 통해 초등영어 학습자의‘비언어적 부분(태도·인식 변화)’에 어떠한 특징이 관찰되었는가? 이를 위해 초등학생 4학년 6명을 대상으로 약 3주 동안 아동문학을 활용한 장르별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의 영어 학습과 관련된 특징적인 부분을 탐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글쓰기 결과물과 영어 학습과 관련된 설문지,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의 경험과 생각을 담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Creswell, 2017)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세부 절차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에 따른 오픈 코딩(open coding) 기법을 통해 키워드를 중심으로 주요 개념을 범주화하였다. 더불어 설문지와 같은 자료의 경우에는 SPSS를 활용한 t-검증을 통해 연구 결과의 보강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언어적 범주’에서 학생들은 아동문학을 활용한 장르별 글쓰기를 통해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모두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먼저, 읽기 영역에 있어 학생들은 내용 이해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학생들의 읽기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었던 원인으로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적절한 질문, 오거나이저 활동,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쓰기 영역에 있어서도 학생 별로 상이하지만 글쓰기에 발전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이야기의 소재와 연관성 있는 글쓰기 장르의 제시는 학생들의 스키마(schema)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며, 학생들은 이를 글쓰기에 반영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글이 보다 논리적이고 완성도가 높은 형식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비언어적 범주’에서는 아동문학을 활용한 장르별 글쓰기 수업 활동이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 태도와 읽기와 쓰기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 측면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책을 찾아 읽거나 모르는 어휘들을 찾아보며 스스로 학습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학습 태도의 변화 원인으로는 아동문학에 대한 흥미와 함께 영어 공부에 대한 내적 동기의 강화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문학과 글쓰기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어 글쓰기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학습자의 영어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 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영어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에서는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어 학습과 수준에 맞는 과제를 통해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초등영어 교육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문학 및 글쓰기 장르 선정에 있어 아동문학과 장르의 연관성,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글쓰기 장르 선정이 필요하다. 특히, 각 장르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아동문학을 선정하고 글쓰기에 응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학생들의 어휘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글쓰기 장르 선정 시에는 학생들이 실생활에 활용하거나 익숙한 글쓰기 장르를 선정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느끼는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기 위해 상위·하위 수준별 수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영어 학습 실력이 낮은 학생은 영어 난이도에 따른 어려움으로 쓰기에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업 그룹을 세분화하여 학생들의 개별 수준에 맞는 지도를 한다면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업 계획 시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자신의 감정과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글쓰기에 보다 도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등영어 교육에서 아동문학과 장르별 글쓰기를 연계한 교육 방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영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되기를 바라며, 아동문학을 활용한 장르별 글쓰기의 효율성에 대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차기 연구가 시도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아동문학, 장르별 글쓰기, 독후활동, 초등영어, 문자언어

      • 장기수선계획의 수선 이력 특성 연구 - 충청북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

        송경진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ctually compared the history of repairing apartment houses with the repair standards of the long-term repair plan proposed in the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Act and presented the problem and need for improvement of the repair standards raised. In Korea, apartment houses are the main means of living, and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s increasing. However, as there is a situation of concern about the safety of apartment houses these days, awareness about the safety of apartment houses is rising.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s for the repair cycle of long-term repair plans proposed by related laws have not changed since they were enacted in 2016. Current apartment houses have been diversified and complexed for the demand of many residents, but the repair cycle of the long-term repair plan, which has not changed since 2016, is becoming less realistic. Apartment houses are aging because of the time required. If left unattended, the safety of the facility is threatened. In order to safely maintain aging facilities, the long-term repair plan is to set the cycle of the facilities and replace them when they are old. The cost of the owner of the apartment house saving money and replacing the old facilities until the facility is repaired is a long-term water supply contribution. If the long-term repair plan is incorrectly established,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owner who has used it so far does not bear much cost, and the owner at the time of ownership sometimes bears excessive repair costs. As the number of residents in apartment hous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long-term water donation,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of complaints, conflicts, and even lawsuits, and the safety of facilities that promote the safety of residents by safely repairing facilities should be sensitive. In this stud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maintenance work and the maintenance cycle from August 2016 to June 2023 was compared for Chungcheongbuk-do, and the importance of the maintenance cycle was divided into four major areas of apartment houses. First, it was carried out on a scale, second, old age, third, business entity, and fourth regional basis. Keywords : apartment houses,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long term repair plan, Rules on th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repair period *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February 202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