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도로서의 기구 ; 특집논문 : 삐라와 연애편지 -일제 하 노동자소설에 나타난 노동조합의 의미-

        손유경 ( You Kyung S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본고는 식민지 시기 노동자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형상화 문제를 노동조합이라는 기구의 문학적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노동조합 결성이라는 집단적 움직임을 통해 스스로를 가시적 존재로 인지하게 된 노동자라는 새로운 인물형이 프로문학의 새 지평을 어디까지 확대시켰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송영, 한설야, 강경애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노동자의 ``생활``을 밀도 있게 묘사한 송영은 그들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되 그것을 자생적 노동조합의 결성 과정 속에서 그려낸다. 특히 사랑이냐 혁명이냐의 갈림길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을 내세우는 서사의 클리셰를 동시에 프로문인과 공유하면서도 송영은 혁명을 위해 사랑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제 삼의 길에서 부르주아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랑하고 혁명하는 노동자의 길을 보여준다. 한설야는 송영 소설 득의의 영역인 자생적 노동조합이 자생성과 투쟁하는 양상을 묘사한다. 노동자 내부의 ``이단적 세력``들을 규합하는 문제를 밀도 있게 묘사한 『황혼』에서도 이단적 세력들이 합류한 이후 노동자들이 자본과 투쟁하는 모습이 리얼하게 그려지기보다는 준식의 노선과 동필의 노선이 갈등하고 화합하는 양상이 도드라지게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정작 일제 하 노동자소설에서 문자 그대로 ``자생적인`` 노동조합을 찾는 일은 의외로 쉽지 않다. 순수한 분노와 열망을 가지고 지식인을 압도하는, 충분히 분노한 노동자 인물을 발견하기 어려운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읽는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주인공인 첫째와 선비가 하층민 특유의 열정과 분노를 차근차근 쌓아가는 과정에 집중했다는 데 그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유신철이라는 ``개입된 주체``가 첫째의 각성에 큰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강경애는 유신철이라는 인텔리를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시켜 버린다. 대신 읽을 줄도 모르는 삐라를 주고받는 첫째와 선비가 서로에 대한 사랑과 계급적 분노를 함께 키워가는 과정을 공들여 묘사하고, 지식인과 노동자의 상호 개입의 결과물을 노동자인 첫째의 손에 쥐어주면서 그를 역사의 주인공으로 남겨 놓는다. 부재함으로써 존재(의미)가 증명(생성)되는 유신철의 이러한 역설적 상황은 노동자와 지식인의 선 자리를 다시 한 번 성찰적으로 되돌아볼 것을 지금의 우리에게 요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question of labor unions in colonial Korean literature by focusing on Song Young, Han Sul-Ya, and Kang Kyung-Ae`s literary works. Song Young`s works are characterized by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laborers` lives and the optimistic view about their future in terms of their efforts at organizing labor unions. Song depicts the alternative ways in which his young characters who face dilemma over socialist movement struggle to gain their loves. Han Sul-Ya describes dynamic movement of labor unions to rally unorthodox groups. In an exemplary text Hwanghon, laborers are striving to associate different groups with the union instead of struggling against the capitali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fully`` angered laborers and ``literally`` spontaneous labor unions in colonial Korean literature. In this respect, Kang Kyung-Ae`s In-gan Mun-je is a significant text which deals with subaltern`s resentment and desire. Especially, the leaflets in In-gan Mun-je which the intellectual Yoo Sin-Chul writes and the laborer Choe-chae scatters plays an vital role in laborers` emotional as well as ideological growth.

      • KCI등재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손유경(You Kyung S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6

        This paper explores Yi Kwangsu`s literary works in 1910`s by focusing on their intertextual features in order to reexamine the inner world of enlightened subject. From “Little Sacrifice” to “Kim Kyung” Yi`s short stori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narratives in which the heros are not only anxious to keep humanitarianism but they also really want their own love and private lives. Resonating with those previous texts that depict dual aspects of the heros` sacrificial spirit, The Heartless develops the more dramatic narrative where the humanitarianism and self-love are conflicting each other. In this sense, Lee Hyung-sik, the hero of The Heartless, is not so much a subject interpellated by nation (as the imagined community) but a subject ``after`` this interpellation. Enlightened subjects such as Kim Kyung, Lee Hyung-sik and Yoon Kwang-ho in Yi Kwangsu`s texts believe that they can realize sublime public ideal through oppressing their private desire. However, they tend to confront with many problems caused by individual desire that return. Their anguish and pain play an vital role in symbolizing the inner struggle of the enlightened subjects and their great efforts to maintain their private lives.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현장과 육체 -『창작과비평』의 민중지향성 분석

        손유경 ( You Kyung S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글은 『창비』의 민중문학담론이 민중의 ``현장``과 ``육체 방식을 본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민중지향성``이라는 이들의 모토가 실제로는 누가 무엇을 왜 지향하는지 알려주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민중지향성이 그려 놓은 이념의 궤적을 따라가기보다는 민중지향성이라는 의장趙裝) 아래 감추어진 비평가의 시선과 욕망을 분석하고자했다2장에서는 ``민중``이라는 용어가 1970~80년대 문학 · 학술 담론장에서 어떠한 위상의 변모를 겪어왔는지를 백낙청,김명인,정과리의 글을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 시기 민중지향성의 이론적 안테나에 잡힌 여러 개념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민중지향성이 발생시킨 특유의 미학적 파토스를 포착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한다는 판단에 따라, 3장에서는『창비』의 민중문학담론이 민중의 현장과육체를 과소/과잉 재현하는 특수한 계기들을 분석하는 데 집중했다. 그 결과r창비』 특유의 민중문학론은 역사학계가 발견한 민중의식의 전폭적 수용과 민중적 삶의 현장에 대한 강한 애착이 결합된 형태로 출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에 밝지 못했던 백낙청,염무웅,신경림,이선영,구중서 등은 역사학자들이 발견한 (과거) 민중의식에 꼭 맞는 (현재) 민중의 몸이 비루하고 너절한 삶의 현장에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것은 양심 있는 지식인이라면 모름지기 현장을 알아야 한다는 시대의 당위적 요청에 이들이 매우 정직하게 반응했기 때문이다. 삶의 현장에 진리가 주어져 있다는 믿음을 기반으로 이들은 가난과 폭력으로 피폐해진 민중적 삶의 현장에서 건강과 순수를 찾았고, 특히 민중이 구사하는 사투리(토속어)와 비속어에 따뜻하면서도 활기찬 민중의식이 담겨있다고 판단했다. 흥미로운 사실은,건강한 민중의식이 민중의 목소리에 현전 한다는 이들의 주장에서 데리다의 정밀한 독법에 따라 내파된 바 있는 형이상학적 사유의 편린들을 발견하게 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우리는 어떤 뚜렷한 모순을 발견하게 된다. 즉『창비』의 민중문학론자들은 민중문학을 구성하는 요소로 자신들이 꼽은 온갖 형이하학적 삶의 요소들에 다름 아닌 형이상학적 지위를 부여한 것이다. 『창비』의 민중지향성이 안고 있는 이러한 모순과 불투명성에도 불구하고 『창비』는 1970년대문학 · 학술운동의 주류에서 한 번도 벗어나지 않았다. 그것은 『창비』라는 잡지 자체의 운명이 유신체제를 살아가는 민중적 몸의 현현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저항정신, 불굴의 의지, 건강성, 생명력, 포용력이라는 민중의식이 엄혹한 현실에 안착할 수 있게 한 몸은 다름 아닌 『창비』라는 잡지 자체였다. 유신체제하 『창비』에게는 잡지 출간이야말로 그 잡지가 주장하는 특별한 권리였을 것이다. ``민중적 몸의 현현으로서의 잡지`` 발간이라는 1970년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민중지향성이라는 용어는 애초의 그 불투명성을 그대로 고수해야 할는지 모른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 in which Changbi`s Minjung-oriented literary criticism represent Minjung``s field of lives and their bodi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analyse unique gaze and desire of Changbi`s Minjung-oriented literary critics. Chapter II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term ``Minjung`` the literary as well as academic field paying attention to the writings of major critics such as Baek Nak-cheong, Yom Mu-ung, and Shin Kyung-lim. In chapter III, I discuss what motivated them to over/underrepresent Minjung``s field of lives and their bodies. They believe that they can find out the best model for sound body and spirit of Minjung in mean and shabby places in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m, true spirit of Minjung are present in various dialects and slangs they speak in everyday lives. Interestingly enough, their concern with physical materials including Minjung``s voice remind us of Heidegger`s metaphysical thinking of presence what Derrida tried to deconstruct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lthough there is explicit inconsistency in Changbi`s Minjung-oriented literary criticism, Changbi played a key role in building, spreading, and supporting progressive thoughts in Korean society. It is the specific circumstance where Changbi can be the manifestation of the oppressed but energetic body of Minjung that made Changbi the most influential media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여류’의 교류

        손유경(Son, You-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형제애가 특권화 되었던 1930~40년대의 대표적 여성 작가 최정희 이선희 지하련의 글쓰기를 ‘자매의 서사’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이들은 남성중심적 문단의 구성원인 동시에 그 물적 기반인 매체를 전유해 문단의 체질을 탈구축 하려한 이단적 존재였다. 최정희와 그의 벗들은, 어머니로 살 것이냐 애인이 될 것이냐 사이에서 갈등한 것이 아니라, 그 둘을 양분해 가두는 제도에 도전한 이들이었다. 먼저, 그간 주목되지 않았던 최정희와 이선희 사이의 우정은, 이들이 어린 시절 비슷한 책을 읽으며 성악가나 배우로서의 화려한 삶을 꿈꾸었다는 사실로부터 이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이 정작 마주친 현실은 궤도를 이탈한 별 같은 삶이었다. 아름다운성좌에서홀로 떨어져 나온 듯한 공포와 고독감, 영혼을 팽팽하게 긴장시켜 줄 짝을 찾지 못한 절름발이의 상실감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최정희와 이선희 소설 주인공의 내면은, 이들의 작품을 실연이나 재취 같은 쇄말한 개인사가 아니라 이반을 감행하려다 좌절한 여성 예술가들의 정신적 공명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게끔 한다 . 다른 한편, 최정희와 지하련의 소설을 겹쳐 읽을 때 우리가 목도하게 되는 것은 서로의 재주와 기량을 넘보는 맞수들 간의 긴장감 감도는 애증 관계이다. 지하련의 특기는 한 남성을 사이에 둔 두 여성 간의질투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별 볼일 없는 남성 때문에 총명하고 아름다운 젊은 여성들의 오랜 우정이 깨져 나가는 과정을 냉철히 그리는 것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지하련은 남편의 외도로 발생한 불화를 남성이 주도권을 갖고 해결하도록 놔두지 않고 여성 간 문제로 이전시켜 처리함으로써 상대 남성의 행위성(agency)을 박탈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을 남긴다. 마지막으로 남은 짝은 이선희와 지하련이다. 지하련이 남성적 자원을 공략함으로써 인격화한 진보에 맞서고자 했다면, 이선희는 그것을 낙후시키는 전략을 취했다는 점에서 둘은 구별된다. 최정희의 역할이 ‘사라진’ 해방기에 월북이라는 행보를 공유한 두 작가가 애초에 바랐던 것은, 어려운 일은 남성이 도맡아야 한다는 저주로부터 남성 스스로가 풀려나는 일이었는지 모른다. 이 이단적 자매들의 비극적 삶과 어두운 문학은, 이들이 가장 먼저 넘어야 할 산은 제도가 아닌 인간이었다는 것, 다시 말해 아버지이고 남편이고 오빠이며 애인이었다는 사실을 웅변한다. ‘여류’ 간 교류가 남긴 이러한 갈등과 경합의 드라마야말로 이들의 전위적 면면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문학사적 사건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ster narrative” of the works by Choe Chung-Hui, Lee Sun-Hee and Ji Ha-ryeon, the representative female writers in the 1930s and 1940s. The three writers were members of the male-dominated literary circle and at the same time were outsiders who aimed to d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circle by appropriating its media, its physical basis. The three authors did not agonize over whether to live as mothers or as lovers, but chose to challenge the system which dichotomized the two roles and entrapped women. First, this paper posited that the friendship between Choe Chung-Hui and Lee Sun-Hee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se two writers read similar books and that they both dreamt of a glamorous life as an opera singer or an actress as children. The reality the two authors faced, however, was a life as a planet out of orbit. The protagonists of Choe Chung-Hui and Lee Sun-Hee’s novels suffer from the fear and sense of isolation as if they were a star left out from a constellation, as well as a sense of loss as if they were crippled, without a partner who could provide tension to the soul. This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that these works are not about trivialities in one’s personal life such as a broken heart or remarriage but are rather about the inner resonance of frustrated female artists. On the other hand, when reading Choe Chung-Hui with Ji Ha-ryeon’s novels, what can be sensed is a tense rivalry between two talents and a love-hate relationship. Ji Ha-ryeon was exceptional in portraying the process of a long-lasting friendship between two intelligent and beautiful women break due to an insignificant ma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jealousy between two women concerning one man. When depicting this process, Ji Ha-ryeon did not leave the upper hand of the conflict to the male protagonist, who had an affair with another woman, but shifted the focus to the two women, putting great effort in depriving the agency of the male protagonist. The final couple this paper focused on is Lee Sun-Hee and Ji Ha-ryeon. The two authors differ in that while Ji Ha-ryeon aims to challenge the personified progressive ideas by attacking male resources, Lee Sun-Hee decides to deteriorate them. The two novelists, who both decided to defect to North Korea in the liberation period when the role of Choe Chung-Hui ‘disappeared,’ may have originally wished for men themselves to be released from the curse which obligates them to take care of difficult tasks. The tragic lives and dark literary works of these heretic sisters assert that the first obstacle these writers had to overcome was not the system but human beings, that is, their fathers, husbands, brothers and lovers. The dramatic tens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is “sisterhood” was itself a historical event in Korean literature which shed light on the avant-garde qualities of the three writ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 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손유경 ( Son Yo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이 글은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한 기원으로 여겨지는 백낙청의 비평담론이 과연 어디에 닿아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기원의 기원을 탐색한다는 것은 기원 뒤에 숨은 진짜 기원을 찾아내려는 것이 아니라 지금껏 기원으로 간주되어 왔던 지점 바깥의 어떤 조건과 계기들에 주목함으로써 그 기원의 자리를 조금 낯설게 만들어 바라보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형성기의 백낙청 민족문학론에서 민족문학은 세계문학과의 ‘관계’로 존재한다는 특징을 지녔고, 세계문학에 참여하고 공헌하는 것이 민족문학론의 주요 의제로 등장했음을 알 수 있다. 세계문학을 알아야 바람직한 민족문학론을 개진할 수 있다는 그의 믿음은 우리와 같은 후진국에서 ‘오히려’ 훌륭한 민족문학의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일관된 신념과 맞물려 있었다. 이런 믿음이 심정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이론의 힘에 의해 뒷받침될 필요가 있을 때 등장한 것이 다름 아닌 민족문학론이라고 할 때, 중요한 것은 이 안에 숨은 보편적 세계문학과 특수한 민족문학의 관계에 대한 백낙청 특유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점검해보는 데에 있을 것이다. 백낙청이 상정한 보편적 세계문학이 과연 누구/무엇/어디를 가리키고 있었는지를 추적하다 보면 백낙청 비평의 숨은 주역 F.R.리비스의 존재가 단연 눈에 띈다. 여기서 핵심은 그가 리비스의 ‘무엇’을 인용하고 있느냐가 아니라 그가 리비스와 자기 자신을 ‘어떻게’ 관련짓고 있느냐에 놓여 있다. 즉 리비스와 백낙청의 관계를 기원-파생의 영향관계가 아니라 상관성과 유사성을 본질로 하는 ‘유비관계’에 놓는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리비스:영문학 = 백낙청:국문학’이라는 유비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백낙청으로 대변되는 서구문학 전공자들뿐이다. 리비스 쪽을 모르거나 그와 어떤 관계도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자리에 들어설 수 없는 구조였던 셈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례관계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우리가 더 나을 수 있음을 증명하는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백낙청과 『창비』 필진들은 ‘토속’이라는 이름의 한국적 특수성 발굴에 공을 들인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보편의 헤게모니적 본성을 충분히 인정하지 않은 채 ‘주어진 보편에 공헌하는 특수’라는 발상에 머묾으로써 보편의 수행적 번역이라는 탈식민 지식인 고유의 과제는 미완으로 남겨질 수밖에 없었다. 1970년대 한국의 진보적 지식인 사회는 결국 대역(代役)들이 주축이 되지 않고서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그야말로 후진적이고 폐색된 시공간이 아니었을까 라는 것이 이 글이 마지막으로 던지려는 질문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fresh perspective on Baek Nak-cheong’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through the genealogical approach to his writing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Baek Nak-cheong tries to theorise his firm belief that national literature of undeveloped Korean society can be superior to that of developed western society. Understanding western literature properly, according to Baek, is crucial to achieving proper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More importantly, his understanding of ‘universal’ world literature and of ‘particular’ national literature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Bae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pays close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well as world literature in Baek’s writings so as to offer a fresh interpretation of progressive literary movement in the 1970’s. Baek’s deliberate effort to establish a tradition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minds us of F. R. Leavis’s achievement in building a ‘great tradition’ of English literature. By examining how and where Baek introduces F. R. Leavis in his writings, we might demonstr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 R. Leavis and Baek Nak-cheong is not based upon the ‘origin-derivation’ relation but an ‘analogy to each other’. Baek goes on to discover Korean ‘folk’ culture thereby finding out the way to surpass elite western style of art and literature. Seen from today’s perspective, however, Bae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has failed to reveal the hegemonic feature of ‘universality’ so that the postcolonial intellectuals’ duty of performative translation of universality has yet to be completed.

      • KCI등재

        특집논문 : 해방기 진보의 개념과 감각 -지하련을 중심으로

        손유경 ( You Kyung S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이 글은 진보에 관한 소략한 개념사를 바탕으로 지하련의 소설에 나타 난 해방기 진보의 감각을 고찰한다. 해방기는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특정 한 정치적 성향으로서의 진보 개념과 감각이 처음으로 뚜렷한 상을 그렸 던 시기로, 진보적 리얼리즘과 혁명적 로맨티시즘이라는 비평담론이 이 시기의 진보 개념을 대표한다. 지하련의 소설은 진보적 남성 지식인의 일 제 말기와 해방기 행적을 단절이나 비약이 아닌 연속과 지속의 차원에서 다룸으로써, 진보가 일상 속에서 어떻게 감각되고 구현되었는지를 조명 하는 문학적 성취를 이룬다. 지하련의 일제 말기 소설에서 동지관계로 등 장하는 두 남성인물은 다른 한 명의 여성을 밝고 순수한 대상으로 타자화 하는 경험을 공유하면서, 서로 존경하거나 질투하는 호모소셜한 연대를 구성한다. 그러나 지하련은 이들 남성 간 연대가 왜 상호 불신을 수반할 수밖에 없는 비극적 역사의 산물인지를, 그리고 내면의 깊이를 가지지 않 은 누이-스크린이라는 환상 구조가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를 폭로함으로 써 진보적 남성 지식인의 호모소셜한 연대를 탈신비화한다. 이러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다시 읽는 <도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 은, 주인공 석재에게 해방기의 입당이 ``두 번째`` 사건이라는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그는 첫 번째와는 ``다른`` 방식의 결단과 투신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어야 했지만, 그는 이러한 질문에는 괄호를 치고 단지 옳다고 상정 되는 ``당``의 이름으로 자신의 소시민성을 폭로하는 낯익은 레퍼토리를 반 복하고 만다. 이처럼 지하련은 우리문학사에서 개념화한 진보와 구별되는 인격화한 진보의 한 양상을 묘파하면서 호모소셜한 남성 멤버들에게 결여되어 있 는 자율성과 민주주의적 감각을 폭로한다. 식민지 체제 하에서 처음으로 형성된 우리의 현대적 사고 체험은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비판과 토론이 아니라 ``권력-생존``의 문제로 고착되었다는 비극적 상황이야말로 지하련 소설의 남성인물들이 서로에 대한 불신과 막연한 공포에 시달리는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협소하고 폐색된 사고 체험의 장에서 민주주의적 감각을 기르기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는지 모른다. 개인의 자 율에 기반을 두고 평등과 연대를 추구하는 것이 민주주의이며, 진보는 이 러한 민주주의와 별개로 사유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지하련 소설의 누이들이 꿈꾼 것은 다름 아닌 이러한 민주주의적 감각 또는 수행 적 진보가 아니었을까 자문하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notion and sense of progres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focusing on Ji Ha-Ryun`s case. Ji Ha-Ryun`s works are telling examples that portray the daily lives of seemingly progressive male character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terms of its consistency. In her short stories of the late colonial period, male characters who are characterized by their otherization of female character as pure and innocent tend to establish homosocial solidarity between them based on their mutual respect as well as jealousy. However, Ji Ha-Ryun demystifies the homosociality between the two men through revealing the fact that this solidarity, which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mutual distrust and suspicion,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our tragic history. She also deconstructs the hidden structure of male fantasy on naive and cheerful sister. In this sense,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Ji Ha-Ryun`s representative text Dojung. Interestingly enough, Seok-jae, the hero of Dojung, decides to join the Communist Party ``once again`` after the liberation. For him, it is the ``second`` chance to devote himself to Communism because he ``was`` a socialist during the colonial period. However, Seok-jae is described as timid and weak person who just repeats the same repertoire of self-criticising. In short, Ji Ha-Ryun`s works, depicting various aspects of ``impersonated progress`` instead of dealing with ``conceptualized progress``, shed a new light on the issue of performative progress based on the democratic sense in everyday lives.

      • KCI등재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학

        손유경(You Kyung S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현대소설연구 Vol.- No.42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the meaning of politics of mourning in narratives of Manchukuo cultivation. There was a hierarchy of grief in public sphere of Manchukuo. People in Manchukuo had to express public mourning with deep grief over the soldiers who had died in holy war. However, certain lives were not considered lives at all. Death of Bijuk was not grievable. It was also unburiable. Han Sol-ya`s Daeruk is a very important text which represents Bijuk with their voices and faces. However, two main characters in Daeruk who have utopian dream of free associated society share the same view on Bijuk with imperial army. They are described as Japanese men who enjoy `Bijuk hunting`. Women in narratives of Manchukuo cultivation are also `the invisible`. For women in Manchukuo the only way to be considered as a member of a nation was to become more devoted to comfort male soldiers. Kang Gyung-ae`s Odum deals with the politics of mourning with its female character Young-sil, who becomes insane because she is prohibited from mourning the death of her br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