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서울시 온라인 기반 우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우울감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우울증 자가증진 프로그램 「마음터치」를 중심으로

        손기화,오현아,김지은,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5 정신건강연구집 Vol.6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서울시 우울증 자가증진 프로그램 마인드스파 홈페이지 내 ‘마음터치’ 프로그램 5회기가 참여자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적인지 검증하는데 있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08월부터 2015년 04월까지 마인드스파 내 마음터치에 로그인하여 프로그램 서비스를 경험한 10,168명의 이용자중 마음터치 5회기를 모두 완료한 437명을 선택하였다. 이용자의 마음터치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프로그램 완료 이후의 우울감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CES-D(우울척도)를 실시하고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 이용자는 서울 거주자가 전체의 50,8%를 차지하였고,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약 3배 높은 참여를 보였다. 연령대로는 20-30대가 전체의 73%를 보였고, 미혼이 79.6%를 보였다. 또한 참석자들의 72%는 정신과 치료의 경험이 없는 이였고, 직업에서는 학생이나 가사에 종사하는 이들이 전체의 47%를 보였다. 마음터치를 완료한 437명의 우울감 변화정도는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8문항으로 이루어진 만족도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 364명의 평균 점수가 10점 만점(가장 만족한다)에 6.5점을 보였다.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um Touch’ program in the website of Mind Spa, the self-care depression program of Seoul city, 5 times, and then verified the participations were effective to reduce their depression. ■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10,168 users who logged in the Maum Touch in Mind Spa between August, 2013 and April, 2015 and experienced the program service, and then selected only 437 users who finished to use the program service 5 times. It used the CES-D(depression scale) to compare the levels of depression of the user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nd analyzed the matching samples using t-test through SPSS 18.0. ■ Results : About 50.8% of user lived in Seoul, and the number of female users were 3 times higher the number of male users. About 73% of user were 20s and 30s, and about 79.6% of users were single. Also, about 72% of users had no experience in psychiatric help, and about 47% of users were students or housewives. As a result of the T-test for the matching samples, the depression levels of 437 users who completed the Maum Touch were meaningfully changed. Also,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users with 8 questions for understanding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s, the average of answers from 364 respondents was 6.5 out of 10(very satisfactory). .

      • 온라인 기반 우울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연구 - 「마음터치 블루」를 중심으로

        최다솜,손기화,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1 정신건강연구집 Vol.11 No.-

        ▪ The purpose of the study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Internet-based depression Self-help program has any influence on acceptance behavior, pursuing values, and any changes in the depression of the program’s user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forming an objectiv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based mental health Self-help program and in proving its effectiveness. ▪ The methods of the study : Among the people that are registered with ‘MAUM TOUCH BLUE’ from January 2019 to October 2020, the study, as a quantitative research, selected those who dropped out in the middle of the first session and those who have completed five sessions as the population. Among them, 154 people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version.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program was completed followi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verage scores of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between the groups.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and to figure out the persistency of effectiveness. ▪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 percentage of females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82.5%, which was higher than males (17.5%). The percentage of those ages 18-29 was 59.7%, which was the highest. 71.4% of people lived in Seoul, and 42.2% of people graduated from college. 77.3%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never’ visited a psychiatric clinic. To compare acceptance behavior, pursuing values, and changes in depression of those that have completed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s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chang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thre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with those in the program showed that the effects continued when compared with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 Conclusions : ‘MAUM TOUCH BLUE’ is an online program for those who experience mild depression to examine their mental health on their own and to manage it. In particular, those in normal groups and those with mild depression showed a high rate of completion of the program.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 acceptance behavior and pursuing values of those in the program were improved, and they felt less depressed. With respect to online programs, although there is the benefit of participating, not being bound by time and space,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which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s when compared with the face-to-face services. For online us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programs, developing various strategies and complementing the system will be promot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기반 우울 자가관리 프로그램 「마음터치 블루」가 프로그램 이용자의 수용행동, 가치추구, 우울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정신건강 자가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객관적 근거 마련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마음터치 블루’의 가입자 중 1회기 중도탈락자와 5회기 완료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연구 설문에 응한 154명을 대상으로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프로그램 만족도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완료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완료자의 사전-사후 비교 분석과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82.5%로 남성(17.5%)보다 높고, 연령대는 만 18-29세가 59.7%로 가장 높았다. 거주 지역으로는 서울이 71.4%,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42.2%, 정신과 이용경험은 ‘없음’이 77.3% 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완료자의 수용행동, 가치추구, 우울감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완료자에게 완료일로부터 3개월 후, 추후 설문을 한 결과, 사전 점수와 비교하여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마음터치 블루는 가벼운 우울감을 경험하는 이들이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살펴보고,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그램이다. 특히, 정상군 또는 경증의 우울감을 가진 이들이 프로그램의 완료율이 높았으며 프로그램 완료 후, 완료자의 수용행동 및 가치 추구는 향상되었고, 우울감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프로그램의 경우,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대면 서비스에 비해 참여율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온라인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온라인 기반 불안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연구 - 「마음터치 그린」을 중심으로

        이해우,손기화,김지은,조성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0 정신건강연구집 Vol.10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 온라인 자가관리 프로그램 ‘마음터치 그린’의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고, 중도탈락자의 중도탈락원인을 분석함으로써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이용 확산 및 완료율을 증가시키고 운영의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며, 나아가 향후 정신건강 분야의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근거가 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마음터치 그린’ 이용자 1,982명의 자료를 통계패키지 PASW(SPSS)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중도탈락 관련 항목, 프로그램 만족도 및 회기별 탈락사유를 빈도분석 하였고, 성별, 연령, 학력, 정신과 이용경험에 따른 중도탈락률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 집단 간 초기 불안증상 및 주관적 능력향상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교 졸업 후 기타업종에 근무하며, 서울에 거주하는 동거가족이 있는 20대 미혼의 정신과 치료 경험이 없는 여자가 인터넷검색을 통해 마음터치 그린 프로그램에 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완료 여부에는 차이가 없으나, 정신과 진료 경험 여부가 프로그램 완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완료자의 상태불안척도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불안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중도탈락자의 초기 불안증상 정도는 참여완료자의 정도 보다 높았고, 프로그램 중도탈락자의 주관적 능력향상 정도는 참여완료자의 주관적 능력향상 정도보다 낮았다. 또한 참여완료자의 인지변화와 행동변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상생활 적용 여부와 과제수행의 도움 정도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음터치 그린’은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온라인 기반 불안 자가관리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 중도탈락 사유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온라인 기반 프로그램의 장점을 살려 완료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또한 이를 토대로 스스로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건강한 문화가 생겨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Objective]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online self-management for anxiety known as ‘Maum Touch Green,‘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dropouts. Based on such results, the primary purpose is to secure more users and increase the completion rate by supplementing the program, as well as to establish an objective basis for operation. Moreover, it is intended to set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uture online-based program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1,982 users of 'Maum Touch Green' from January 2018 to April 2020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SPSS) 18.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ropout-related items, program satisfaction, and factors that cause dropout at each session. Also, a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ropout rate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with the psychiatry service. A paired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o compare the initial anxiety symptoms and subjective improvement of the ability between group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Result] It is found that a female in her 20s with a college diploma who works in the field of additional industry and cohabits with her family in Seoul, who has no experience in psychiatric treatment, mainly uses the Maum Touch Green through the internet search.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program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t is indicated that an experience with psychiatric treatment has an effect on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For the analysis result of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te (STAI-S) of those who complete the program, the average valu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ogram i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egree of anxiety in participants. The degree of the initial anxiety symptoms of those who drop out of the program are higher than the ones that complete the program, and the degree of the subjective improvement of the ability in dropouts are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complete the program. In addition, it is uncovered that there is a positive shifting i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and a positive evaluation is made in whether to apply in their daily life as well as in the degree of support in performing the task.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ndicated that 'Maum Touch Green' is an effective 'online-based anxiety self-management program' in reducing anxie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to supplement the program through analyzing the factors that cause the dropouts and increase the completion rate by emphasizing the advantage of the online-based program. Also, based on such outcomes, it is our greatest hope to create a healthy culture in which people can manage their mental health on their own.

      •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장성진,오현아,손기화,조성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8 정신건강연구집 Vol.8 No.-

        .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affects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changes in their values and attitude on the human rights advocacy. . Methods : In March 2018,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held for 78 person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who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training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operated by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April, 2018. First of all, we us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evaluation tool (Mental disorder person-simple type) develop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8) in order to observe changes in understanding human rights, their value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ok place. After that,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in SPSS 24.0 .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and afterwa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s well as the values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were improved by 0.37 points. Thus,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was 4.39/5 points. The keywords of education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were the 'understanding', 'fundamental rights', and 'the table of human rights' in order. . Conclusion :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specifically their values and attitude towards human rights advocacy. This suggest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ose who work at mental health facilities. ▪Keywords : Human rights education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promo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on human rights,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table of human rights, semantic network analysis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이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8년 3월, 4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운영한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 인권교육에 참여한 정신재활시설 종사자 78명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를 보고자 국가인권위원회(2008년)에서 개발한 인권교육 평가도구(정신장애인분야_간편형)를 교육 전후 동일하게 실시하고 spss 24.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교육의 성취도, 키워드 등 보다 다양한 효과성평가를 위해 교육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키워드는 의미연결망분석으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실시 전후를 비교한 결과,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는 사전대비 0.37점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성취도 평균은 4.39점/5점으로 나타났고, 연구 참여자들이 제시한 교육의 핵심키워드는 ‘이해’, ‘기본권’, ‘인권식탁’의 순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은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