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방주의자 논고』에 나타난 내셔널리즘의 해석: 연방적 정체성을 위한 국민주의

        병권 ( Byoung Kwon Sohn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7 미국학 Vol.40 No.1

        This article attempts to elucidate what the Federalists meant by ‘the national government’ and, by extension, the nationalism when they wrote The Federalist Papers by focusing on Alexander Hamilton’s and James Madison’s writings. This article finds that what the two Founding Fathers meant was neither ethnic nationalism nor civic nationalism as we know them from Kohn’s conceptualization of two versions of nationalism. Among other things, Hamilton and Madison’s case for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unity was rather for creating a kind of national identity of the American people toward the newly created federal government, which should supercede the local loyalties Americans long had held after the independence. Seen in this light, the nationalism of the two Federalists was advocated in order to make room for the federal government to directly influence the American citizens individually and as a whole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state government.

      • KCI등재후보

        한국 선거정치에 있어서 실질적 기회균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병권(Byoung Kwon Sohn)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5 미래정치연구 Vol.5 No.1

        포괄적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목표에서 볼 때 한국 선거정치는 새로운 정당이나 소수정당 혹은 새로운 인물이나 정치적으로 열위(劣位)에 있는 후보자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서 정치권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려는 노력은 공정한 선거를 통해서 실질적인 기회균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서 이 글은 선거정치의 공정성 제고라는 각도에서 매우 개괄적인 수준에서 문제점을 제기하고 기존의 논의에 필자의 의견을 더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선거정치의 기회균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의 영역을 현역의원과 도전자 혹은 정치신인 간 기회균등, 현행 선거공영제와 선거보조금제도의 합리적 운영, 선거보조금 지급 뒤 후보자 사퇴의 문제 등으로 크게 대별하여 제시하고, 이에 따른 대략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현행의 제도는 민주주의라는 이름하에서 운영되고는 있으나, 정치과정의 곳곳에 법령이나 규칙의 비호하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익의 굴절점(bias of interests)들이 점차적으로 제거되거나 완화되어야 공정한 선거정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선거운동 기간에 대한 규정이나 선거자금과 관련된 선거공영제는 현직의원이나 거대정당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익의 굴절을 유도하고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democracy, Korean politics needs more to help new and minor parties, and freshmen and disadvantaged candidates. The way for this endeavor should designed in a way to make it sure that a substantive degree of equality of opportun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fair electoral competition. With this reform vision in mind, this article diagnoses some problems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at the most general level, and proposes some reform areas and their solutions, partly relying upon the ideas suggested by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be more specific,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s for more equal and fair competition between incumbents and challengers, and for more rational management of the current government financing of campaigns. It also addresses remedies for the cases where candidates suddenly exit the campaign without paying back the government campaign subsidy they were already paid. In conclusion, despite the Korean politics having stepped on the path of democratic deepening, it needs to be more fair in terms of electoral competition and campaign financing. Since the current system largely favors the major parties and their candidates at the cost of the minor parties and their candidates, it needs to be revised for wider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자율적 의회의 조건 : 미국의회의 경우

        병권(Byoung Kwon Sohn)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1 미래정치연구 Vol.1 No.1

        이 글은 미국의회의 자율성을 의원 개인의 자율성과 의회제도의 자율성이 적절히 결합하여 나타난 결과라고 파악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논지를 전개하기 위해서 이 글은 의원의 개인 수준과 의회의 제도화 수준에서 의회 자율성에 기여한 요인을 각각 의원의 선거정치과정과 의회 상임위원회제도의 영역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먼저 의원 개인의 자율성 제고와 관련된 선거정치과정에서 필자는 예비선거제도의 도입, 후보중심의 선거운동, 높은 재선율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러한 요소들의 내용, 역사적 기원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의회의 제도적 영역에서는 미국의회의 핵심기구인 상임위원회가 행정부에 대한 의회의 자율성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기제였다고 파악하고, 상임위원회제도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상임위원회의 권한의 토대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선거정치과정에 있어서 예비선거제도, 후보중심의 선거운동, 높은 재선율 등은 당선된 의원이 정당 지도부의 영향력에서 독립하여 자율적으로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데 기여했다. 그리고 상임위원회제도는 자율적인 의원들이 자신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면서 정책전문성을 발휘하여 의회전체가 집행부에 대해서 독자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와 같이 선거정치과정을 토대로 나타난 의원 개인의 자율성이 의회제도 수준에서 상임위원회를 통해서 의회 전체의 자율성으로 발현됨으로써 미국의회는 견제와 균형, 그리고 권력분립의 원칙에 따라서 대통령과 함께 명실상부한 국정의 동반자로 기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oundations of the legislative autonomy of U.S. Congress. The thesis unfolds into two mutually related domains, individual member’s electoral politics on the one hand and the standing committee system in Congress on the other hand, arguing that when combined, the two domains help Congress enhance its policy-related autonomy vis-a-vis the executive branch. More specifically, a member’s autonomy gained through his electoral campaign?including primary election, candidate-centered campaign, and high reelection rate?and the standing committee system, where the elected member can accumulate policy expertise, are the foundations of congressional autonomy. A congressional candidate,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system, where the party leadership’s pulse is less felt than in the traditional caucus-convention system, and running the campaign on his own, can be a best model of an independent member of Congress when elected and working in Congress. The standing committees, 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the committee members with opportunities to repeatedly delve into committee jurisdiction-specific policy areas, help the members to grow as and remain experts when it comes to their policy turf. In this way, when a member’s electoral independence is coupled with th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the committee system, where policy expertise reinforces the member’s autonomy, Congress as a whole stands on its own in its interaction with the executive branch.

      • KCI등재
      • 재작업과 폐기가 수반되는 경제적 생산량 모형

        손권익(Sohn, Kwon-Ik)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6 産業技術硏究 Vol.36 No.1

        This paper presents EMQ models in which some proportion of defective items are produced and some of them are converted to good items through rework process and items not converted are disposed. Numerical models are developed for three cases of disposal and optimal solution of each model is derived. In the first model, if a defective item is foun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nly re-workable items are stored and reworked after normal production is finished. Not re-workable items are disposed immediately during normal production. The second model deals with the case where all defective items are stored and items to be disposed are determined in rework process. In the third model, an additional inspection process exists before rework to determine rework or disposal.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s.

      • KCI등재

        민주주의 규범의 민족주의적 로컬화 과정: 미군정기 공민과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병권 ( Byoung Kwon Sohn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 2021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7 No.2

        이 글은 1945년 일본으로부터 한국이 해방된 이후 미군정의 초기 단계에서 미국식 민주주의 규범이 군정청 학무국에 의해 새로 채택된 공민과의 교과 내용에 도입되는 과정 가운데 어떻게 ‘변용’과 ‘혼종적 규범틀’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화’의 과정을 거쳤는지를 아차리아(Acharya)의 ‘규범 로컬화’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이 글은 군정 당시 민주주의 규범의 로컬화 과정은 미국식 민주주의 규범과 한국의 다양한 교육 엘리트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또한 미국식 민주주의 규범이 공민교과서의 교과 내용 구성과정에서 민족주의 성향의 한국 교육 엘리트에 의해 민족적 정체성과 민족적 자긍심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재해석되고 재구성되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이 글은 패권국이나 국제사회의 지배적 규범의 확산은 많은 경우 로컬 엘리트의 수용과 저항을 동시에 포함하는 여과(濾過)적 과정임도 발견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how the norm of democracy was adjusted and reshaped to the Korean nationalistic context when the idea was introduc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newly adopted subject of Civic Education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1945. Utilizing the notion of Acharya’s ‘norm localiz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trace the process of adjustment of the norm of democracy to the Korean contex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shuffling. This article finds out that the localization process was an outcome of a set of interactions both between the democratic norm and the local elites, that the democratic norm was reformulated to contain important elements of Korean nationalism and Korean national identity, and finally that the spread of norm from the hegemonic state or/and the global regime is more often than not a filtered process which involves both accommodation and resistance of the local elit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